글로불린

단백질의 부류

글로불린(영어: globulin)은 알부민보다 분자량이 높고 순수한 물에는 불용성이지만 묽은 염 용액에는 용해되는 구형 단백질이다. 일부 글로불린은 간에서 생성되고 다른 글로불린은 면역계에 의해 생성된다. 글로불린, 알부민, 피브리노젠이 주요 혈장 단백질이다. 인간의 혈액에서 글로불린의 정상 농도는 약 2.6~3.5g/dL이다.

때때로 글로불린(Globulin)은 구체 단백질(Globular Protein)과 동의어로 사용된다. 그러나 알부민은 구체 단백질이지만, 글로불린은 아니다. 다른 모든 혈청 구체 단백질은 글로불린이다.

글로불린의 종류

편집
 
단백질 전기 영동의 개략도

모든 글로불린은 다음 4가지 범주 중 하나에 속한다.

글로불린은 혈청 단백질 전기 영동을 사용하여 서로 구별 할 수 있다.

크기와 질량

편집

글로불린은 다양한 크기로 존재한다. 가장 가벼운 글로불린은 알파 글로불린이며 평균적으로 약 93kDa의 분자량을 갖는다. 반면 가장 무거운 글로불린은 감마 글로불린이며 평균적으로 약 1193kDa이다. 감마 글로불린은 가장 무겁기 때문에 겔 전기 영동에서 가장 느리게 분리된다.

면역학적 활성 감마 글로불린은 면역 글로불린 또는 항체라고도 불린다.

인간 혈장에서의 농도 수준

편집

인간의 혈액에서 글로불린의 정상 농도는 약 2.6~4.6g/dL이다.

 
혈액 검사 기준 범위표에서의 글로불린 혈액 함량(오른쪽에 자주색으로 표시)

비인간 글로불린

편집
 
호박 씨앗 글로불린의 결정 구조

글로불린 단백질은 다른 동물 종뿐만 아니라 식물에도 존재한다. 완두콩과 다른 콩류에서 나온 비실린(Vicilin)과 레구민(Legumin)은 종자 내 단백질 저장 기능을 한다. 이 단백질은 인간의 면역글로불린 E와 결합하면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1]

모조 글로불린 및 유글로불린

편집

모조 글로불린(Pseudoglobulins)은 유글로불린(Euglobulins)보다 황산 암모늄에 더 잘 용해된다. 모조 글로불린은 순수한 에도 용해되지만 유글로불린은 용해되지 않는다.[2]

각주

편집
  1. SanchMonge, R.; Lopez-Torrejón, G.; Pascual, C. Y.; Varela, J.; Martin-Esteban, M.; Salcedo, G. (2004년 11월 12일). “Vicilin and convicilin are potential major allergens from pea”. 《Clinical & Experimental Allergy》 34 (11): 1747–1753. doi:10.1111/j.1365-2222.2004.02085.x. PMID 15544600. 
  2. Harris, T; Eagle (1935). “THE IMMUNOLOGICAL SPECIFICITY OF THE EUGLOBULIN AND PSEUDOGLOBULIN FRACTIONS OF HORSE AND HUMAN SERUM”. 《J Gen Physiol》 19 (2): 383–396. doi:10.1085/jgp.19.2.383. PMC 2141424. PMID 198729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