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병자리 EZ

(글리제 866에서 넘어옴)

물병자리 EZ(EZ Aquarii) 또는 루이텐 789-6, 글리제 866물병자리 방향으로 태양으로부터 약 11.3 광년(3.5 파섹) 떨어져 있는 삼중성계이다.

물병자리 EZ A/B/C
EZ Aquarii A/B/C
물병자리 EZ 같은 삼중성계의 개념도. 근접한 구성원 둘은 하나의 별처럼 기능하여 다시 쌍성계 구조를 만든다.
물병자리 EZ 같은 삼중성계의 개념도. 근접한 구성원 둘은 하나의 별처럼 기능하여 다시 쌍성계 구조를 만든다.
명칭
다른 이름 Luyten 789-6, GCTP 5475.00, LHS 68, GJ 866, G 156-031.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
별자리 물병자리
적경(α) 22h 38m 33.73s[1]
적위(δ) –15° 17′ 57.3″[1]
겉보기등급(m) 12.87 (13.33/13.27/14.03)[2]
절대등급(M) 15.64/15.58/16.34[2]
위치천문학
시선속도 –59.9 km/s[3]
적경 고유운동 +2314 mas/yr[4]
적위 고유운동 +2295 mas/yr[4]
연주시차 294.3 ± 3.5 mas[5]
성질
분광형 M5 V[2]
U-B 색지수 +1.54
B-V 색지수 +1.96[6]
추가 사항
질량 0.11/0.11/0.10 M[2]
항성 목록

겉보기등급순 · 절대등급순
거리순 · 질량순 · 반지름순

상세 편집

글리제 항성 목록에서 866번 번호를 받은 이 천체는 30년 동안 단독성으로 여겨져 왔다. 1986년 막스 플랑크 천문학 협회(MPIA)의 천문학자들은 고해상도 반점 간섭기의 힘을 빌려 주성으로부터 고작 0.4 초각 떨어진 위치에서 반성 하나를 찾아냈다. 1999년 프랑스 천문학자들이 계의 세 번째 구성원을 발견했다.[7] 빌럼 야코프 라위턴은 이 계의 고유운동 값이 크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계를 이루는 구성원 전부는 적색왜성으로, 셋 모두 질량이 수소 핵융합의 하한선인 태양질량의 0.08 배 또는 목성질량의 83 배에 가까워서 융합으로 만들어낸 열을 대류 작용을 통해서만 전달할 수 있다. 물병자리 EZ는 용자리 BY형 변광성으로도 분류된다. 계의 구성원들 중 A와 C는 분광쌍성이며 A와 C는 서로를 3.8 일 주기로 0.03 천문단위만큼 떨어져서 공전하고 있다. AC는 다시 물병자리 EZ B와 823 일을 1 주기로 질량중심을 공전하고 있다.[8] 물병자리 EZ의 구성원들 중 A와 B는 둘 다 엑스선을 방출하고 있다.[9]

데이터들을 조합하여 구한 구성원 셋 각각의 질량은 다음과 같다.(오차율 ≈ 1%)

  • 물병자리 EZ A : 0.1187 ± 0.0011 M
  • 물병자리 EZ B : 0.1145 ± 0.0012 M
  • 물병자리 EZ C : 0.0930 ± 0.0008 M , 셋 중 제일 어두운 구성원이다. 동역학적으로 구한 질량값은 태양질량의 10% 미만이다.

물병자리 EZ AC 주변의 생명체 거주가능 영역 안에서 쌍성주위 행성이 AC를 어머니 항성 하나처럼 삼아 돌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10] 물병자리 EZ는 태양계에 가까워지고 있으며 약 32300년 후 태양에 8.2 광년(2.5 파섹)까지 다가왔다가 다시 멀어질 것이다.[11] ChView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물병자리 EZ 계에서 가장 가까운 이웃은 라카유 9352이며 둘 사이 간격은 약 4.1 광년(1.3 파섹)이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Cutri, R. M.; 외. (June 2003). 《2MASS All Sky Catalog of point sources》. NASA. Bibcode:2003tmc..book.....C. 
  2. “The One Hundred Nearest Star Systems”. 《RECONS》. Georgia State University. 2012년 5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6월 30일에 확인함. 
  3. Wilson, Ralph Elmer (1953). 《General Catalogue of Stellar Radial Velocities》. Washington: Carnegie Institution of Washington. Bibcode:1953GCRV..C......0W. 
  4. Salim, Samir; Gould, Andrew (January 2003). “Improved Astrometry and Photometry for the Luyten Catalog. II. Faint Stars and the Revised Catalog”. 《The Astrophysical Journal》 582 (2): 1011–1031. arXiv:astro-ph/0206318. Bibcode:2003ApJ...582.1011S. doi:10.1086/344822. 
  5. Gliese, W.; Jahreiß, H. (1991). “Gl 866”. 《Preliminary Version of the Third Catalogue of Nearby Stars》. 2014년 10월 20일에 확인함. 
  6. Eggen, O. J.; Greenstein, J. L. (October 1965). “Observations of proper-motion stars. II”. 《Astrophysical Journal》 142: 925. Bibcode:1965ApJ...142..925E. doi:10.1086/148362. 
  7. 《Jahresbericht 1999》 (PDF). Heidelberg-Königstuhl: Max-Planck-Institut für Astronomie. 1999. 2020년 2월 13일에 확인함. 
  8. Delfosse, X.; 외. (October 1999), “Accurate masses of very low mass stars. II. The very low mass triple system GL 866”, 《Astronomy and Astrophysics》 350: L39–L42, arXiv:astro-ph/9909409, Bibcode:1999A&A...350L..39D 
  9. Schmitt, J.H.M.M.; Golub, L.; Harnden, F.R. Jr.; Maxson, C.W.; Rosner, R.; Vaiana, G.S. (March 1985). “An Einstein Observatory X-ray survey of main-sequence stars with shallow convection zones”. 《Astrophysical Journal》 290 (Part 1): 307–320. Bibcode:1985ApJ...290..307S. doi:10.1086/162986. 
  10. Popova, E. A.; Shevchenko, I. I. (April 2016), “On possible circumbinary configurations of the planetary systems of α Centauri and EZ Aquarii”, 《Astronomy Letters》 42 (4): 260–267, Bibcode:2016AstL...42..260P, doi:10.1134/S106377371604006X. 
  11. Bobylev, V. V. (November 2010), “Stars outside the Hipparcos list closely encountering the Solar system”, 《Astronomy Letters》 36 (11): 816–822, arXiv:1009.4856, Bibcode:2010AstL...36..816B, doi:10.1134/S1063773710110071 

외부 링크 편집

좌표:   22h 38m 33.4s, −15° 18′ 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