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울여 풀어쓰기

기울여 풀어쓰기김정수 교수가 1987년에 제안한 한글 풀어쓰기의 한 방법이다. 한글의 각 자모를 왼쪽으로 45도 기울여 씀으로써 눈으로 볼 때 모아쓴 효과가 나도록 만들었다.

한/글의 초기 버전에서 기울여 풀어쓰기를 지원하였다.

다음은 김정수 교수의 기울여 풀어쓰기용 한글 글꼴인 neohpen2.ttf를 설치하고 몇 개의 문장과 팬그램을 쓴 결과이다. 이 글꼴은 이곳에서 구할 수 있다.

한국어 위키백과
기울여 풀어쓰기는 김정수 교수가 만들었다.
첫 흙 담은 팥쥐 컵
"웬 초콜릿? 제가 원했던 건 뻥튀기 쬐끔과 의류예요."
"얘야, 왜 또 불평?"

한글 풀어쓰기는 음가가 없는 초성의 ㅇ을 사용하지 않고 앞 글자의 받침을 이어 쓰지만, 기울여 풀어쓰기는 글자를 45도 기울이는 것만으로 모아쓰기 효과가 나타나도록 하는 것이므로 한글의 자모를 따로 한 글자씩 쓰는 풀어쓰기와는 다르다.

기울조합

편집

기울조합은 기울여 풀어쓰기와 비슷한 것인데, 자음이 두 종류가 있다는 것이 다른 점이다. 바로 윗자음, 밑자음이다. 윗자음/밑자음은 자음의 위치가 똑같으면 읽기가 힘들기 때문에 만들어졌다.

또, 기울 반조합도 있다.

장점과 단점

편집

기울여 풀어쓰기는 우선 폰트가 많이 필요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가독성이 좋지 않아 많이 쓰이지 않고 있다.

쓰임새

편집

기울여 풀어쓰기는 아마추어 한글화를 할 때 쓰이고 있다.

같이 보기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