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태 (1887년)

일제강점기의 조선총독부 관리

김병태(金秉泰, 일본식 이름: 가네무라 야스오(金村 泰男), 1887년 7월 24일 ~ 1943년 12월 13일)는 일제강점기조선총독부 관리였다.

생애

편집

출신지, 학력 및 1910년 한일 병합 조약 체결 전의 경력은 알 수 없으며, 군서기로 근무하다가 1916년 도서기로 승진했다.

1921년 6월 13일 경상북도 예천군수로 부임[1] 권농과 교육, 위생 등 업무로 호평을 받았다.[2] 하여 이어서 1924년 칠곡군수를 거쳐 1927년에 도이사관으로 경상북도 내무부 산업과장 겸 상품진열소장에 보임되었다. 1930년 4월에 다시 상주군수로 나갔다가, 같은 해 10월 개성부윤에 임명되었다.

그 뒤 1937년에는 고등관 3등 평안남도참여관으로 평안남도 산업부장을 지냈다. 이때 관례에 의해서 평안남도 미곡통제조합연합회 회장, 평안남도 농회 회장, 평안남도 방공위원회 위원, 평안남도 임금위원회 위원 등 각종 직무를 겸하였다.

1939년황해도 지사가 되었는데, 재직중 1941년 3월 만주국 훈4등 경운장(景雲章)을, 같은해 6월에는 만주국 대전기념장(大典記念章)을 받았다. 1942년 전라북도 지사가 된 뒤 1943년에 퇴관하였다.

2002년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이 선정한 친일파 708인 명단에 포함되었고, 2008년 발표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중 관료 부문과 해외 부문에 수록되었다. 2009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 포함되었다.

참고 자료

편집

각주

편집
  1. “金秉泰(總督府道屬) 任總督府郡守(八等) 慶北醴泉郡在勤을 命함(六月十三日附)”. 동아일보. 1921년 6월 16일. 
  2. “豊泉郡守의 好評”. 동아일보. 1922년 2월 4일. 4면면. 
전임
이원보
제12대 전라북도 도지사
1942년 1월 24일 ~ 1943년 8월 17일
후임
김대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