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프리카 국경 전쟁
남아프리카 국경 전쟁, 또는 나미비아 독립 전쟁, 때로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앙골라 부시 전쟁이라 불리는 이 전쟁은 남서아프리카와 잠비아, 앙골라에서 1966년 8월 26일부터 1990년 3월 21일까지 발생한 국지전이다. 남아프리카 연방군과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의 군대인 나미비아 인민해방군의 충돌로 발생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남아프리카 국경 전쟁은 몇몇 큰 전투가 발생하는 계기가 되었고, 동시대 분쟁이었던 앙골라 내전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
남아프리카 국경 전쟁 | |||||||
---|---|---|---|---|---|---|---|
냉전, 탈식민지화의 일부 | |||||||
남아프리카 국경 전쟁의 몽타주 | |||||||
| |||||||
교전국 | |||||||
지휘관 | |||||||
유엔과 국제 사법 재판소가 수십 년간 나미비아의 독립에 대한 비성공적인 탄원 이후 남서아프리카 인민 기구가 소련, 중화인민공화국을 비롯한 공산권과 동정적 여론을 지닌 탄자니아, 가나, 알제리 등의 물자 지원으로 1962년 창립되었다.[23] 나미비아 인민 해방군과 남아프리카 연방 정부와의 충돌이 1966년 8월 발발했다. 1975년부터 1988년까지 남아프리카 연방군은 나미비아 인민해방군의 전진기지를 파괴하기 위해 앙골라와 잠비아에 대규모 전통적 기습 작전을 수행했다.[24] 남아프리카 연방군은 외부 수색 및 게릴라 운동을 색출하는 제32대대와 코에보엣 부대를 파견했다.[25]
남아프리카 연방군의 전략은 전쟁이 진행될 수록 더욱 공격적으로 바뀌었다.[24] 남아프리카 연방군의 침투로 앙골라 국민들 내에서 사상자가 발생했으며 앙골라 경제에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제 기반 시설들이 부차적으로 파괴되기도 했다.[26] 이러한 공습을 멈추고 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과 남아프리카 연방군 사이 동맹을 파괴하기 위해[27] 소련은 1980년대에 최신 방어기술로 구성된 약 40억 달러의 자산과 수많은 군사 고문관을 파견해 앙골라 인민해방군을 지원했다.[28] 1984년부터 소련군이 지휘하는 앙골라 정규군이 남아프리카 연방군에 맞설 정도로 자신감이 생기기 시작했다.[28] 이 무렵 쿠바도 앙골라에 개입했기 때문에 이들의 자신감은 더욱 상승했다.[28] 남아프리카 연방과 앙골라 간의 전쟁은 루사카 협정으로 짧게 나마 종결되었지만 나미비아 인민해방전선과 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이 휴전 기간 동안 유격활동을 극대화하며 이익을 취하자 전쟁은 재개되었다.[26] 남아프리카 국경 전쟁은 미국의 중재로 체결된 앙골라 삼자협상으로 종결되었고, 이 협정에서 쿠바의 앙골라 철수와 남아공의 남서아프리카 철수가 합의되었다.[29] PLAN은 1989년 3월 유격전을 개시했다.[30] 남서아프리카는 1990년 3월 21일 나미비아 공화국이라는 이름으로 독립했다.[19]
이웃 국가와의 대규모 전쟁에도 불구하고 남아프리카 국경 분쟁은 남아프리카 사회에 문화 및 정치적으로 경이로운 영향을 미쳤다.[31] 아파르트헤이트 정부는 소련의 지역적 확장주의에 맞선 봉쇄 정책의 일부로 전쟁을 수행했고,[32] 국민의 반공 감정을 적극적으로 고양시키려 했다.[33] 남아프리카 문학에서 일시적으로 통합적 주제로 이 전쟁을 다뤘고, 아프리카어는 국경 문학이라는 새로운 문학 범주를 탄생시켰다.[26]
같이 보기
편집외부 링크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Domínguez, Jorge (1989). 《To Make a World Safe for Revolution: Cuba's Foreign Policy》.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14–120, 168–169쪽. ISBN 978-0674893252.
- ↑ “Rhodesian Insurgency – Part 2”. Rhodesia.nl. 2013년 1월 15일에 확인함.
- ↑ The Soviet Union and Revolutionary Warfare: Principles, Practices, and Regional Comparisons, 1988. Page 140-147
- ↑ SWAPO Information Bulletin," 1983. Page 37.
- ↑ Hughes, Geraint (2014). 《My Enemy's Enemy: Proxy Warfare in International Politics》. Brighton: Sussex Academic Press. 73–86쪽. ISBN 978-1845196271.
- ↑ Imagery and Ideology in U.S. Policy Toward Libya 1969–1982, 1988. Page 70.
- ↑ Polack, Peter (2013년 12월 13일). 《The Last Hot Battle of the Cold War: South Africa vs. Cuba in the Angolan Civil War》 illurat판. Casemate Publishers. 66–83쪽. ISBN 9781612001951. 2015년 2월 25일에 확인함.
- ↑ AAPSO Presidium Committee on Africa held in Algeria, 17–18 February 1985, 1985. Page 26.
- ↑ David A. Granger. “Forbes Burnham and the Liberation of Southern Africa” (PDF). 2015년 12월 8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8월 1일에 확인함.
- ↑ Interparliamentary Union Conference, Sofia, Bulgaria: Report of the United States Delegation to the 64th Conference of the Interparliamentary Union, Held at Sofia, Bulgaria, 21–30 September 1977. Page 42
- ↑ Record of Proceedings -International Labour Conference 6, 1982. Page 4.
- ↑ Tanzania: A Political Economy, 2013. Page 355.
- ↑ SWAPO and the Struggle for National Self-determination in Namibia, 1980. Page 33.
- ↑ Abegunrin, Olayiwola (1997). 《Nigerian Foreign Policy Under Military Rule, 1966-1999》. Westport, Connecticut: Praeger Publishers. 93쪽. ISBN 978-0275978815.
- ↑ The Foreign Policy of Yugoslavia, 1973–1980, 1980. Page 125
- ↑ Yugoslavia in the 1980s, 1985. Page 265.
- ↑ Namibia: The Road to Self-government, 1979. Page 41.
- ↑ Vanneman, Peter (1990). 《Soviet Strategy in Southern Africa: Gorbachev's Pragmatic Approach》. Stanford: Hoover Institution Press. 41–44쪽. ISBN 978-0817989026.
- ↑ 가 나 Hampson, Fen Osler (1996). 《Nurturing Peace: Why Peace Settlements Succeed Or Fail》. Stanford: United States Institute of Peace Press. 53–70쪽. ISBN 978-1878379573.
- ↑ Fryxell, Cole. 《To Be Born a Nation》. 13쪽.
- ↑ Lulat, Y.G.M. (1992). 《United States Relations with South Africa: A Critical Overview from the Colonial Period to the Present》. New York: Peter Lang Publishing, Incorporated. 143–146, 210쪽. ISBN 978-0820479071.
- ↑ Cann, John (2015). 《Flight Plan Africa: Portuguese Airpower in Counterinsurgency, 1961–1974》. Solihull: Helion & Company. 362–363쪽. ISBN 978-1909982062.
- ↑ Hooper, Jim (2013) [1988]. 《Koevoet! Experiencing South Africa's Deadly Bush War》. Solihull: Helion and Company. 86–93쪽. ISBN 978-1868121670.
- ↑ 가 나 Clayton, Anthony (1999). 《Frontiersmen: Warfare in Africa since 1950》. Philadelphia: UCL Press, Limited. 120–124쪽. ISBN 978-1857285253.
- ↑ Stapleton, Timothy (2013). 《A Military History of Africa》. Santa Barbara: ABC-CLIO. 251–257쪽. ISBN 978-0313395703.
- ↑ 가 나 다 Jacklyn Cock, Laurie Nathan (1989). 《War and Society: The Militarisation of South Africa》. New Africa Books. 124–276쪽. ISBN 978-0-86486-115-3.
- ↑ Weigert, Stephen (2011). 《Angola: A Modern Military History》. Basingstoke: Palgrave-Macmillan. 71–72쪽. ISBN 978-0230117778.
- ↑ 가 나 다 Blank, Stephen (1991). 《Responding to Low-Intensity Conflict Challenges》. Montgomery: Air University Press. 223–236쪽. ISBN 978-0160293320.
- ↑ Harris, Geoff (1999). 《Recovery from Armed Conflict in Developing Countries: An Economic and Political Analysis》. Oxfordshire: Routledge Books. 262–264쪽. ISBN 978-0415193795.
- ↑ Hearn, Roger (1999). 《UN Peacekeeping in Action: The Namibian Experience》. Commack, New York: Nova Science Publishers. 89–95쪽. ISBN 978-1-56072-653-1.
- ↑ Du Preez, Max (2011). 《Pale Native: Memories of a Renegade Reporter》. Cape Town: Penguin Random House South Africa. 88–90쪽. ISBN 978-1770220607.
- ↑ Mashiri, Mac; Shaw, Timothy (1989). 《Africa in World Politics: Into the 1990s》. Basingstoke: Palgrave-Macmillan. 208–209쪽. ISBN 978-0333429310.
- ↑ Baines, Gary (2014). 《South Africa's 'Border War': Contested Narratives and Conflicting Memories》. London: Bloomsbury Academic. 1–4, 138–140쪽. ISBN 978-1472509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