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태평기》(難太平記, なんたいへいき)는 일본 무로마치 막부 초기의 중진이었던 이마가와 사다요(今川貞世, 출가한 뒤에는 료슌了俊이라고 부름)가 오에이(応永) 9년(1402년)에 완성시킨 서적이다.

개요

편집

이마가와 씨(今川氏)의 역사와 쇼군 아시카가 씨(足利氏)의 역사 등이 주요한 내용으로 자손에게 보이는 글로 되어 있다. 제목의 유래는 이 책이 전반부 부분이 태평기(太平記)가 이마가와 가를 가볍게 다루고 있어 어지럽다고 (비난)하는 데에서 비롯된다. 그러면서도 책 제목은 후세에 붙여진 것으로 보이며 저술 시점에서는 정해진 이름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실제로는 태평기 그 자체를 비난한다기보다도 이마가와 씨의 역사와 종가인 아시카가 쇼군케(足利将軍家)에 대한 충성의 역사를 논하는 것이 그 주체로 되어 있다.[1] 사다요가 실제 현지에서 경험한 남북조 시대의 후반부터 무로마치 초기에 걸쳐 벌어졌던 일들이 기술되어 있다.

원전

편집

《군서유종》(群書類従) 권398에 그 전문이 수록되어 있다.

각주

편집
  1. 市沢哲「『難太平記』二つの歴史的射程-室町初期の『平家物語』を考えるために」(初出:『文学』第3巻第4号(2002年)/所収:市沢『日本中世公家政治史の研究』(校倉書房、2011年))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