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상덕(南相悳, 1881년 ~ 1907년)은 대한제국항일의병이다. 본관 및 출생지는 경상남도 의령이며 아버지의 이름은 남철희이다. 조선시대 말 시위대보병(侍衛隊步兵)의 참위(參尉)였다.

남상덕
출생일 1881년
출생지 경상남도 의령
사망일 1907년 8월 1일
국적 대한제국
대한민국 임시 정부
웹사이트 남상덕(독립유공자 공훈록)

공적 활동

편집

1907년 한·일 신협약(韓日新協約)으로 군대가 해산되고 참령(參領) 박승환(朴昇煥)이 순국하자 남상덕은 "장군이 나라를 위하여 돌아가셨으니 내 어찌 홀로 살기를 바라리오. 마땅히 적과 더불으 죽음을 걸고 결전하여 위로 나라의 원수를 갚고자 한다"고 군대에 말했다. 같이 싸움에 자원한 1천여 명의 부하 군사를 이끌고 나가 숭례문에서 일본군과 전투 중 전사하였다. 이 싸움에서 일본군 지휘관 가지와라(梶原)를 비롯한 3백여 명을 사살한 것으로 전해진다. 남상덕과 함께 전투 중에 전사한 병졸은 98명, 장교 7명이었다. 남상덕이 전사한 후 싸우던 군사들은 흩어졌으나 후에 의병이 되어 전국에서 항일투쟁을 계속했다.

사후

편집

1962년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같이 보기

편집

참고자료

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