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무부 (조선)

내무부(內務府)는 조선 후기에 궁궐 안내 설치된 정1품 관청이다. 통리군국사무아문(統理軍國事務衙門, 내아문)의 후신으로, 궁궐 내부의 사무와 외교 업무에 관한 기밀 사무를 담당하였다.

역사

편집

1885년(고종 22년) 5월 25일에 고종의 명령으로 설치되었다. 경복궁 근정전 동쪽 행랑에 청사가 마련되었으며, 6월 24일부터 업무를 시작하였다. 기존의 의정부 업무 일부를 이관 받아 약 10년간 관련 업무를 수행하였으며, 갑오개혁 과정이었던 1894년(고종 31년) 7월 18일에 공식 폐지되어 내무아문(內務衙門)으로 업무를 이관하였다.

구성

편집
  • 직제국(職制局)
  • 수문국(修文局)
  • 지리국(地理局)
  • 농무국(農務局)
  • 군무국(軍務局)
  • 사헌국(司憲局)
  • 공작국(工作局)

관직

편집
  • 정1품, 총리내무부사(總理內務府事)
  • 1품, 독판(督辦) : 독판내무부사(督辦內務府事)
  • 2품, 협판(協辦) : 협판내무부사(協辦內務府事)
  • 3품 당상관, 참의(參議) : 참의내무부사(參議內務府事), 내무부참의사(內務府參議事)
  • 6품 이상 당하관, 주사(主事) : 낭청(郎廳)
  • 6품 이하 당하관, 부주사(副主事)
  • 기타 서리(書吏), 장무서리(掌務書吏), 대청직(大廳直), 도례(徒隷), 문서직(文書直), 군사(軍士) 등

같이 보기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