뉼뉼어(Nyulnyul)는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의 원주민 부족인 뉼뉼족의 언어였다. 1997년 마지막 화자인 메리 카멜 찰스의 사망으로 사어가 되었다.[2]

뉼뉼어
사용 지역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
사용 민족 뉼뉼족
사멸 1997년 메리 카멜 찰스의 사망
문자 로마자
언어 계통 뉼뉼어족
 서뉼뉼어파
  뉼뉼어
언어 부호
ISO 639-3 nyv 뉼뉼어
글로톨로그 nyul1247[1]

분류

편집

뉼뉼어는 바디어, 자위어, 자비르자비르어, 니만부루어와 가까운 관계였고, 상호 의사 소통이 가능했을지도 모른다. 이 언어들은 모두 오스트레일리아 북부의 뉼뉼어족 분파인 서뉼뉼어파에 속한다.[3]

각주

편집
  1. Hammarströ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편집. (2023). 〈Nyulnyul〉. 《Glottolog 4.8》.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2. Charles, Mary (2000) [1993]. 《Winin – Why the Emu Cannot Fly》. 번역 W. B. McGregor. Broome, WA: Magabala Books. ISBN 1-875641-07-6. 
  3. Bowern, C. 2010. Two Missing Pieces in a Nyulnyulan Jigsaw Puzzle. "Linguistic Society of America Extended Abstracts".

참고 문헌

편집
  • Dixon, R. M. W. (2002). 《Australian Languages: Their Nature and Development》.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66–667쪽. ISBN 0-521-47378-0. 
  • McGregor, W. B. (1994). “Complex Sentence Constructions in Nyulnyul, Western Australia”. 《Functions of Language》 1: 25–66. doi:10.1075/fol.1.1.04mcg. 
  • McGregor, W. B. (1996). 《Nyulnyul》. Munich and Newcastle: Lincom Europa. 
  • McGregor, W. B. (1999). “The Medio-active Construction in Nyulnyulan languages”. 《Studies in Language》 23 (3): 531–567. doi:10.1075/sl.23.3.04mcg. 
  • McGregor, W. B. (1999). 〈External Possession Constructions in Nyulnyulan languages〉. D.L. Payne; I. Barshi. 《External Possession》. Amsterdam and Philadelphia, PA: John Benjamins. 429–448쪽. 
  • McGregor, W. B. (2000). 〈Reflexive and Reciprocal Constructions in Nyulnyulan languages〉. Z. Frajzyngier; T.S. Curl. 《Reciprocals: Form and Function》. Amsterdam: John Benjamins. 85–122쪽. 
  • McGregor, W. B. (2003). “Language Shift among the Nyulnyul of Dampier Land”. 《Acta Linguistica Hafniensia》 35: 115–159. doi:10.1080/03740463.2003.10416076. 
  • Nekes, H. (1938). 〈The Pronoun in Nyol-Nyol (Nyul-Nyul) and Related Dialects〉. A.P. Elkin. 《Studies in Australian Linguistics》. Sydney: University of Sydney. 139–16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