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뱃대이끼속

12종을 포함하고 있는 선태식물강(이끼강)의 이끼 속이다.

담뱃대이끼속(Buxbaumia)[2][3] 은 12종을 포함하고 있는 선태식물강(이끼강)의 이끼 속이다. 학명은 1801년 요한 헤드윅(Johann Hedwig)이 1712년에 볼가강의 어귀에서[2] 이 이끼를 처음 발견한 독일의 의사이자 식물학자인 요한 크리스티안 북스바움(Johann Christian Buxbaum)을 기리는 의미로 명명했다.[4]

담뱃대이끼속
Buxbaumia viridis
Buxbaumia viridis
생물 분류ℹ️
계: 식물계
문: 선태식물문
강: 선태식물강
아강: 담뱃대이끼아강
(Buxbaumiidae)
Doweld
목: 담뱃대이끼목
(Buxbaumiales)
M. Fleisch.
과: 담뱃대이끼과
(Buxbaumiaceae)
Schimp.
속: 담뱃대이끼속
(Buxbaumia)
Hedw., 1801[1]
모식종
B. aphylla
Hedw.
  • 본문 참조

하위 종 편집

계통 분류 편집

2015년 노비코프(Novíkov)와 바라바스-크라스니(Barabaš-Krasni)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5]

선태식물강

담뱃대이끼아강/담뱃대이끼목

보리알이끼아강/보리알이끼목

표주박이끼아강

기가스페르뭄목

통모자이끼목

표주박이끼목

팀미아아강/팀미아목

꼬리이끼아강

아르키디움목

스코울레리아목

고깔바위이끼목

새우이끼목

침꼬마이끼목

꼬리이끼목

참이끼아강

각주 편집

  1. Hedwig, Johann (1801). 《Species Muscorum frondosorum descriptae et tabulis aeneis lxxvii》. Leipzig. 166쪽. 
  2. Bold, Harold C.; Constantine J. Alexopoulos; Theodore Delevoryas (1987). 《Morphology of Plants and Fungi》 5판. New York: Harper & Row. 270, 303쪽. ISBN 0-06-040839-1. 
  3. Campbell, Douglas H. (1918). 《The Structure and Development of Mosses and Ferns》 3판. London: The Macmillan Co. 8, 160–166, 220, 225–226쪽. 
  4. Schofield, W. B. (1985). 《Introduction to Bryology》. New York: Macmillan. 74–83, 404, 411쪽. ISBN 0-02-949660-8. 
  5. Novíkov & Barabaš-Krasni (2015). “Modern plant systematics”. Liga-Pres: 685. doi:10.13140/RG.2.1.4745.6164. ISBN 978-966-397-276-3. 

외부 링크 편집

  • W. B. Schofield. 2004. Bryophyte Flora of North America: Buxbaumiace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