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및 복장유물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및 복장유물(大邱 寶聖禪院 木造釋迦如來三尊坐像 및 腹藏遺物)은 대구광역시 달서구 보성선원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과, 그 안에 들어있던 유물이다. 2013년 4월 29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801호로 지정되었다.[1]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및 복장유물
(大邱 寶聖禪院 木造釋迦如來三尊坐像
및 腹藏遺物)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보물
종목보물 제1801호
(2013년 4월 29일 지정)
수량불상 3점, 복장유물 10건 129점
시대조선시대
소유(재)선학원 보성선원
위치
주소대구광역시 수성구 청호로 321
(황금동, 국립대구박물관)
좌표북위 35° 50′ 45″ 동경 128° 38′ 13″ / 북위 35.84583° 동경 128.63694°  / 35.84583; 128.63694
정보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개요 편집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및 복장유물(大邱寶聖禪院木造釋迦如來三尊坐像및 腹藏遺物)'은 삼존상과 함께 복장후령통, 조성발원문 등 조성 당시의 원형을 갖추고 있어 이 시기 불상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특히 조성발원문을 통해 1647년이라는 정확한 조성시기, 봉안사찰, 조성주체, 제작자 등을 알 수 있기 때문에 17세기 불상연구의 기준이 된다.[1]

불상에서는 작자 특유의 천진무구한 얼굴에 당당하고 장대한 신체 비례와 변화가 거의 없는 강직한 선묘에서 조각승 현욱(玄旭)의 조각세계를 엿볼 수 있다. 현욱은 17세기의 대표적인 조각승 중 한사람인 청허(靑虛, 또는 淸憲)의 조각전통을 이어 받았지만, 턱이 짧고 살이 많은 양악의 특징적인 표현은 현진(玄眞)이나 수연(守衍)의 조각 경향도 일부 수용한 듯 하여 당시 활약했던 조각승들 간의 교류관계도 엿볼 수 있다.[1]

이 불상은 17세기를 대표하는 청허의 계보를 잇는 현욱이 수조각승으로 제작한 첫 작품이며, 이 작품을 통해 청허 유파의 조각이 시기별로 어떻게 전승․발전되어 가는지를 가늠해 볼 수 있다. 현욱 역시 나름 17세기의 시대적인 특징인 대중적인 평담미와 종교성 속에 독자적인 영역을 개척해 나갔던 것으로 생각되며, 이 작품은 그러한 경향이 잘 담겨 있는 불상으로 평가된다.[1]

복장 유물 편집

연번 명칭 재질 수량
(점)
연대 크기
(cm)
비고
1 석가여래복장후령통 동, 비단 13 1647년 -
2 석가여래발원문 종이 1 1647년 57.5×45.4
3 석가여래다라니
(대불정수능엄신주)
종이 51 조선 후기 48.0×30.0 범문목판본
(朱印)
4 좌협시복장후령통 동,비단 13 1647년 -
5 좌협시발원문 종이 1 1647년 45.7×84.0
6 좌협시다라니
(대불정수능엄신주)
종이 16 조선 후기 44.0×30.5 범문목판본
(朱印)
7 우협시복장후령통 동,비단 14 1647년 -
8 우협시발원문 종이 1 1647년 46.0×88.2
9 우협시다라니
(대불정수능엄신주)
종이 18 조선 후기 47.5×24.2 범문목판본
(朱印)
10 불정심관세음보살모
다라니
종이 1 1647년 28.0×48.5 한문목판본
(朱印)
간기:丁亥四月見岩寺
10건,
129점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문화재청고시 제2013-45호, 2013년 4월 29일.

참고 자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