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방위사업청장
대한민국의 무기 도입, 방위 산업 관련 사무의 최고 책임자
방위사업청장(防衛事業廳長)은 방위사업청을 대표하는 직위로, 차관급 정무직공무원으로 보한다.
대한민국의 방위사업청장 | |
---|---|
![]() | |
초대 | 김정일 |
설치일 | 2006년 |
임명편집
- 방위사업청장은 대통령이 임명한다.
역할편집
- 각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
- 방위사업청장은 방위력 개선사업, 군수물자 조달 및 방위산업 육성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
역대 청장편집
방위사업청장편집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
노무현 정부 | 초대 | 김정일(金炡一) | 2006년 1월 1일~2006년 7월 25일 | 뇌물수수로 인해 사퇴[1][2][3] |
직무대리 | 이용철(李鎔喆) | 2006년 7월 26일~2006년 7월 31일 | ||
2대 | 이선희(李仙熙) | 2006년 8월 1일~2008년 3월 7일 | ||
이명박 정부 | 직무대리 | 김종민(金鐘敏) | 2008년 3월 7일~2008년 3월 9일 | |
3대 | 양치규(梁致奎) | 2008년 3월 10일~2009년 1월 19일 | ||
4대 | 변무근(卞武根) | 2009년 1월 20일~2010년 8월 16일 | ||
5대 | 장수만(張秀萬) | 2010년 8월 17일~2011년 2월 16일 | 함바집 비리와 관련하여 사퇴[4] | |
직무대리 | 권오봉(權五俸) | 2011년 2월 16일~2011년 3월 17일 | ||
6대 | 노대래(盧大來) | 2011년 3월 18일~2013년 3월 15일 | ||
박근혜 정부 | ||||
7대 | 이용걸(李庸傑) | 2013년 3월 16일~2014년 11월 18일 | ||
8대 | 장명진(張明鎭) | 2014년 11월 19일~2017년 7월 19일 | ||
문재인 정부 | ||||
직무대리 | 문승욱(文勝煜) | 2017년 7월 20일~2017년 8월 6일 | ||
9대 | 전제국(全濟國) | 2017년 8월 7일~2018년 8월 30일 | ||
10대 | 왕정홍(王淨弘) | 2018년 8월 31일~2020년 12월 24일 | ||
11대 | 강은호(姜恩湖) | 2020년 12월 25일~2022년 6월 21일 | ||
윤석열 정부 | 12대 | 엄동환(嚴東煥) | 2022년 6월 22일~ |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김도형 (2006년 7월 19일). “김정일 방위사업청장 "돈 받았다"”. 《한겨레》. 2011년 12월 16일에 확인함.
- ↑ 김도형; 신승근 (2006년 7월 19일). “김정일 방위사업청장 돌연 사의”. 《한겨레》. 2011년 12월 16일에 확인함.
- ↑ “'사의 표명' 김정일 방위사업청장 "죄송하다"”. 《경향신문》. 2006년 7월 19일. 2011년 12월 16일에 확인함.
- ↑ 윤태곤 (2011년 2월 14일). “'함바게이트' 장수만 방위사업청장도 거론”. 《프레시안》. 2011년 12월 16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