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의무부대 및 조직 목록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다음은 대한민국 국군의 의무조직에 관한 목록이다. 대한민국 육군 의무대의 조직은 작전부대를 직접 지원하는 전투의무대대를 제외하고 1971년 1월에 의무사령부가 국방부로 이관되고, 통합 등의 조직의 변혁으로 대부분 편제표에서 내려졌다.

사령부

편집
  • 국군의무사령부; 1971년 1월 11일, 육군에서 국방부로 이전됨.
  • 의무교육기지사령부; 1954년 3월 15일, 경남 마산에서 창설.;
  • 병원기지사령부; 1954년 3월 15일, 부산에서 창설.; 1956년 12월 31일, 해체;

기관

편집
  • 제1치과진료소; 1980년 6월 15일, 논산지구병원 치과부로 재편성.
  • 제1야전의무시험소; 1954년 2월 9일, 강원 춘천에서 창설.
  • 제109군견훈련소; 1965년, 창설.
  • 강릉보급소; 1950년 10월 9일, 강릉에서 창설.
  • 경주보급소; 1950년 9월 14일, 경북 경주에서 창설.
  • 남원보급소; 1951년 11월 25일, 남원에서 창설.
  • 안동보급소; 1950년 7월 20일, 안동에서 창설.
  • 영동보급소; 1950년 7월 20일, 영동에서 창설.
  • 원주보급소; 1951년 1월 2일, 원주에서 창설.
  • 함안보급소; 1950년 7월 20일, 함안에서 창설.
  • 군의무시험소; 1971년 7월 15일, 야전의무시험소로 개명, 1974년 12월 1일, 해체.
  • 수의동물진료소; 1971년 12월 10일, 춘천 학곡리에서 개원.; 1984년 9월 1일, 해체.
  • 야전의무시험소; 1971년 7월 15일, 군의무시험소에서 개명.
  • 중앙의무시험소; 1971년 1월 11일, 육군에서 국방부로 넘어감.
  • 중앙치과진료소; 1960년 10월 22일, 창설.; 1971년 1월 11일, 육군에서 국방부로 넘어감.; 1971년 7월 15일, 제1치과진료소로 개편.
  • 중앙치과기공소; 1960년 8월 10일, 대구에서 창설.; 1984년 9월 1일, 국군수도병원 치과부로 병합.
  • 육군요양원; 1950년 8월 16일, 제6육군병원으로 재편성.
  • 국군군의학교; 1950년 7월 9일, 폐교.; 11월 7일 개교.; 1971년 1월 11일, 육군에서 국방부로 넘어감.
    • 간호사관생도 과정; 1951년 1월 6일, 설치.
  • 국군간호학교; 1967년 8월 15일, 설립; 1971년 1월 11일, 육군에서 국방부로 넘어감.
  • 간호고등기술학교; 1957년 4월 15일, 설립;
  • 해군병원
  • 해군포항병원; 1949년 4월 15일, 인천에서 제2해군병원으로 창설.; 1964년 해군포항병원으로 개명.; 1971년, 국방부로 넘어가 국군포항통합병원으로 개명. 1984년, 국군포항병원로 개명; 2000년 1월 1일, 해군으로 넘어가 포항병원으로 개명.
  • 해국군의학교; 1946년 3월 11일, 진해에서 위생분대로 창설.; 1947년 9월 1일, 학교로 개편.; 1952년 4월 12일, 군의학교로 개편.; 1956년 7월 1일 의무단으로 통합.; 1967년 1월 1일, 해체 및 육군군의학교로 통합.
  • 공군병원; 1949년 10월 1일, 공군병원으로 창설.; 1962년 3월 1일, 항공의료원으로 개편.
    • 대전분원; 1950년 8월 3일, 설치.; 1950년 10월 10일, 해체.
    • 김해분원; 1950년 8월 3일, 설치.; 1950년 10월 10일, 해체.
    • 포항분원; 1950년 8월 3일, 설치.; 1950년 10월 10일, 해체.
    • 마산분원; 1951년 8월 3일, 설치.; 1951년 4월 19일, 제1분원으로 개명.; 1951년 10월, 본원으로 통합.
    • 부산분원; 1951년 8월 3일, 설치.; 1951년 4월 19일, 제2분원으로 개명.; 1951년 10월, 해체.
  • 공군의무교육대; 1952년 7월 1일, 경남 마산에서 창설; 1967년 1월 1일, 해체 및 육군군의학교로 통합.
  • 공군항공의료원; 1962년 3월 1일, 공군병원을 개편.
  • 공군항공의학연구소; 1952년 7월 1일, 경남 마산에서 창설; 1962년 3월 1일, 공군 항공의학연구소로 통합.;
  • 제1야전의무단; 1950년 7월 9일, 창설; 11월 7일, 해체.
  • 제1의무단; 1940년 9월 28일, 서울에서 창설.; 1960년 10월 25일, 경기 양주에서 창설.; 1971년 1월 15일, 해체.
  • 제2의무단; 1960년 11월 1일, 강원 춘성에서 창설.; 1971년 1월 15일, 해체.
  • 국군의무사령부 지원근무단; 1971년 1월 11일, 육군에서 국방부로 이전됨.
  • 제1의무보급창; 1954년 4월 30일, 제1의무보급중대에서 재편성.
  • 제2의무보급창; 1954년 4월 30일, 제2의무보급중대에서 재편성.
  • 의지제가창; 1951년 8월 16일, 부산에서 창설.
  • 대구 의무기지창; 1954년 10월 31일, 해체.
  • 위생재료창; 1950년 4월 15일, 부평에서 창설.; 1954년 4월 30일, 육군 의무기지보급창으로 개명.
    • 서울 분창; 1950년 10월, 창설.

대대

편집
  • 제1의무대대; 1951년 8월 1일, 창설.; 1971년 7월 15일, 해체.
  • 제2의무대대; 1953년 7월 10일, 대구에서 창설.; 1958년 11월 15일, 해체.
  • 제3의무대대; 1971년 7월 15일, 제2의무대로 축소.
  • 제5의무대대; 1958년 11월 15일, 해체.
  • 제6의무대대; 1960년 10월 25일, 강원 원주에서 창설.; 1971년 7월 15일, 해체.
  • 제7의무대대; 1954년 3월 15일, 대구에서 창설.; 1971년 7월 15일, 해체.
  • 의무후송대대; 1950년 11월 창설.

중대

편집
  • 제1의무호숭중대; 1971년 7월 15일, 6에서 서수 변경.
  • 제2의무호숭중대; 1971년 7월 15일, 해체 및 12에서 서수 변경.
  • 제3의무호숭중대; 1971년 7월 15일, 해체 및 20에서 서수 변경.
  • 제5의무호숭중대; 1953년, 창설 1971년 7월 15일, 해체 및 21에서 서수 변경.
  • 제6의무호숭중대; 1971년 7월 15일, 1로 서수 변경.
  • 제7의무호숭중대; 1953년 2월 11일, 강원 양에서 창설.; 1971년 7월 15일, 26에서 서수 변경.
  • 제8의무호숭중대; 1953년 4월 15일, 대구에서 창설.; 1971년 7월 15일, 해체.
  • 제9의무호숭중대; 1953년 4월 15일, 대구에서 창설.; 1971년 7월 15일, 해체.
  • 제11의무호숭중대; 1971년 7월 15일, 해체.
  • 제12의무호숭중대; 1953년 6월 30일, 대구에서 창설.; 1971년 7월 15일, 2로 서수 변경.
  • 제15의무호숭중대; 1953년 7월 28일, 대구에서 창설.; 베트남.
  • 제16의무호숭중대; 1953년 7월 28일, 대구에서 창설.; 1971년 7월 15일, 해체.
  • 제17의무호숭중대; 1971년 7월 15일, 해체.
  • 제18의무호숭중대; 1971년 7월 15일, 해체.
  • 제19의무후송중대; 1973년 3월 4일, 베트남에서 해체.
  • 제20의무호숭중대; 1953년 12월 9일, 대구에서 창설.; 1971년 7월 15일, 3으로 서수 변경.
  • 제21의무호숭중대; 1971년 7월 15일, 5로 서수 변경.
  • 제22의무호숭중대; 1971년 7월 15일, 해체.
  • 제23의무호숭중대; 1971년 7월 15일, 해체.
  • 제25의무호숭중대; 1971년 7월 15일, 해체.
  • 제26의무호숭중대; 1971년 7월 15일, 해체.
  • 제26의무호숭중대; 1971년 7월 15일, 7로 서수 변경.
  • 제27의무호숭중대; 1966년 8월 14일, 창설.
  • 제1의무보급중대; 1951년 4월 25일, 충북 청추에서 창설.; 1954년 4월 30일, 제1의무보급창으로 재편성.
  • 제2의무보급중대; 불명, 인천에서 창설.; 1953년 3월 11일, 인천에서 창설.; 1954년 4월 30일, 제2의무보급창으로 재편성.
  • 제1예방의무중대; 1965년 11월 15일, 해체.
  • 제2예방의무중대; 1952년 10월 15일, 대구에서 창설.; 1952년 10월 5일, 대구에서 창설.; 1971년 7월 15일, 해체.
  • 제3예방의무중대; 1971년 7월 15일, 해체.
  • 제6예방의무중대; 1973년 3월 4일, 베트남에서 해체.
  • 제1치료중대; 1952년 7월 18일, 강원 원주에서 창설.; 1972년 2월 7일, 베트남에서 해체.
  • 제2의무치료중대; 1958년 11월 15일, 해체.
  • 제3치료중대; 1965년 11월 15일, 해체.
  • 제5치료중대; 1965년 11월 15일, 해체.
  • 제6치료중대; 1965년 11월 15일, 해체.
  • 제7치료중대; 1965년 11월 15일, 해체.

소대

편집
  • 예방의무소대; 1965년 11월 15일, 방역반에서 재편성.; 1966년 10월 1일, 의무근무대로 통합.
  • 제1예방의무소대; 1965년 11월 15일, 부산 제1방역반에서 재편성.; 1966년 10월 1일, 군수기지사령부 의무근무대로 통합.
  • 제2예방의무소대; 1965년 11월 15일, 광주 제2방역반에서 재편성.; 1966년 10월 1일, 전투기지교육사령부 의무근무대로 통합;
  • 제3예방의무소대; 1965년 11월 15일, 대전 제3방역반에서 재편성.; 1966년 10월 1일, 제3관구사령부 의무근무대로 통합;
  • 제5예방의무소대; 1965년 11월 15일, 대구 제5방역반에서 재편성.; 1966년 10월 1일, 제5관구사령부 의무근무대로 통합;
  • 제6예방의무소대; 1965년 11월 15일, 서울 제6방역반에서 재편성.; 1966년 10월 1일, 의무근무대로 통합;
  • 제7예방의무소대; 베트남.
  • 제8예방의무소대; 1966년 9월 1일 창설.
  • 제2의무대; 1971년 7월 15일, 제3의무대대에서 축소.
  • 의무근무대; 1962년 10월 15일, 창설.
  • 제3의무근무대; 1973년 3월 1일, 창설 및 서울 영등포에서 3군지사 예속.
  • 제5의무근무대; 1962년 10월 15일, 창설.; 1966년 10월 1일, 의무교육기지사령부로 통합.
  • 제6의무근무대; 1962년 10월 15일, 창설.; 1966년 10월 1일, 수도육군병원으로 통합.
  • 제1의무보급대; 1950년 1월 21일, 부산에서 창설.
  • 제2의무보급대; 1966년 10월 1일, 해체.
  • 제3의무보급대;
  • 제1치과근무대; 1967년 1월 25일, 강원 원주에서 창설.; 1974년 12월 1일, 해체.
  • 제2치과근무대; 1967년 1월 25일, 강원 춘천에서 창설.; 1974년 12월 1일, 해체.
  • 제3치과근무대; 1967년 1월 25일, 경기 의정부에서 창설.; 1974년 12월 1일, 해체.
  • 제11의무실; 1971년 7월 15일, 해체.
  • 제12의무실; 1971년 7월 15일, 해체.
  • 제15의무실; 1971년 7월 15일, 해체.
  • 제16의무실; 1971년 7월 15일, 해체.
  • 병원열차대; 1950년 12월, 창설.
  • 제2병원열차대; 1950년 12월 10일, 대구에서 창설.; 1959년 9월 15일, 해체.
  • 제2병원열차대; 1950년 12월 10일, 대구에서 창설.; 1959년 9월 15일, 해체.
  • 제3병원열차대; 1950년 1월 27일, 서울에서 창설.; 1959년 9월 2일, 해체.
  • 제5병원열차대; 1954년 3월 15일, 대구에서 창설.; 1955년 7월 25일, 해체.
  • 제6병원열차대; 1954년 5월 15일, 창설.; 1955년 7월 25일, 해체.
  • 제1의무대대본부, 본부반; 1974년 12월 1일, 해체.
  • 제2의무대대본부, 본부반; 1974년 12월 1일, 해체.
  • 제1유행성출혈열연구반; 1971년 7월 15일, 해체.
  • 제1외과치료반;
  • 제2외과치료반;
  • 제3외과치료반;
  • 제1치과보철반; 대구에서 창설.; 1966년 10월 1일, 해체.
  • 제2치과보철반; 대구에서 창설.; 1966년 10월 1일, 해체.
  • 제1치과수술반; 1953년 6월 15일, 대구에서 창설.; 1966년 10월 1일, 해체.
  • 제2치과수술반; 1953년 6월 15일, 대구에서 창설.; 1966년 10월 1일, 해체.
  • 제3치과수술반; 1953년 6월 15일, 대구에서 창설.; 1966년 10월 1일, 해체.
  • 제5치과수술반; 1953년 6월 15일, 대구에서 창설.; 1966년 10월 1일, 해체.
  • 제6치과수술반; 1953년 6월 15일, 대구에서 창설.; 1966년 10월 1일, 해체.
  • 제7치과수술반; 1954년 3월 15일, 창설.; 1966년 10월 1일(혹은 1972년 1월 15일), 해체.
  • 제8치과수술반; 1954년 4월 15일, 창설.; 1966년 10월 1일(혹은 1972년 1월 15일), 해체.
  • 제9치과수술반; 1954년 6월 15일, 창설.; 1966년 10월 1일(혹은 1972년 1월 15일), 해체.
  • 제2식품검사반; 1971년 7월 15일, 해체.
  • 제7식품검사반; 1971년 7월 15일, 해체.
  • 제8식품검사반; 1971년 7월 15일, 해체.
  • 제9식품검사반; 1966년 9월 1일, 창설.; 1973년 3월 4일, 베트남에서 해체.
  • 제21식품검사반; 1966년 9월 1일, 창설.
  • 제11식품검사반; 1971년 7월 15일, 해체.
  • 제18식품검사반; 1971년 7월 15일, 해체.
  • 제19식품검사반; 베트남.
  • 제21식품검사반; 1966년 8월 14일, 창설.; 1971년 7월 15일, 해체.
  • 제1의무기술정보반; 1954년 2월 2일, 대구에서 창설.
  • 방역반; 1965년 11월 15일, 예방의무소대로 재편성.

병원

편집
  • 제1육군병원; 1947년 5월 1일, 서울에서 창설.; 1971년 1월 11일, 국군대구병원으로 재편성.
  • 제2육군정양병원; 1948년 10월 1일, 충남 대전에서 창설.; 1952년 10월 5일, 정양병원으로 재편성.; 1958년 11월 15일, 해체.
  • 제3육군병원; 불명, 광주에서 창설.; 1971년 1월 11일, 국군부산병원으로 재편성됨.
  • 제5육군병원; 1949년 1월 22일, 부산에서 창설.; 1965년 9월 1일, 해체.
  • 제6육군병원; 1950년 8월 16일, 육군요양원에서 재편성.; 10월 15일, 7로 서수 변경.
  • 제7육군정양병원; 1950년 10월 15일, 6에서 서수 변경. 1952년 10월 5일, 정양병원으로 재편성.
  • 제15육군병원; 1950년 9월 15일, 경북 경주에서 창설.; 1971년 1월 11일, 해체.
  • 제16육군병원; 1971년 1월 11일, 해체.
  • 제17육군병원; 1971년 1월 11일, 해체.
  • 제18육군병원; 1950년 9월 19일, 울산 태화국민학교에서 창설.; 1971년 1월 11일, 해체.
  • 제23육군병원; 1950년 10월 1일, 경남 울산 울산공업농림학교에서 창설.; 1971년 1월 11일, 해체.
  • 제26육군병원; 1971년 1월 11일, 국군마산병원으로 재편성.
  • 제27육군병원; 1950년 11월 1일, 서울 제동국민학교에서 창설.; 1958년 11월 15일, 해체.
  • 제28육군병원; 1971년 1월 11일, 해체.
  • 제31육군정양병원; 1950년 12월 12일, 충남 대전에서 창설.; 1958년 11월 15일, 해체.
  • 제33육군병원; 1971년 1월 11일, 해체.
  • 제36육군병원; 1950년 12월 16일, 부산에서 창설.; 26으로 서수 변경.
  • 제59육군병원; 1950년 9월 15일, 창설.
  • 제63육군병원; 1951년 12월 5일, 충남 대전에서 창설.; 33으로 서수 변경.
  • 제77육군병원; 1951년 11월 24일, 전남 광주에서 창설.; 17으로 서수 변경.
  • 제98육군병원; 1952년 6월 9일, 제주도 모슬포에서 창설.; 28으로 서수 변경.
  • 제109육군병원; 1953년 6월 20일, 온양에서 창설.
  • 제116육군병원; 16으로 서수 변경.
  • 제121육군병원; 1954년 1월 7일(혹은 3월 15일) , 강원 원주에서 창설.; 1954년 5월 1일, 후송병원으로 재편성.
  • 제133육군병원; 1954년 3월 15일, 충북 청주에서 창설.; 1955년 9월 25일, 해체.
  • 제152육군병원; 1955년 9월 25일, 해체.
  • 제165육군병원; 1954년 5월 15일, 경북 경주에서 창설.; 1955년 9월 25일, 해체.
  • 제171정양병원; 1954년 1월 1일, 경북 경주에서 창설.
  • 제181정양병원; 1954년 3월 15일, 충남 온양에서 창설.; 1966년 10월 1일, 해체.
  • 밀양결핵병원; 1971년 6월 30일, 해체 및 마산병원에 통합됨.
  • 수도육군병원; 1949년 7월 1일, 개원.; 1953년 10월 3일, 36으로 서수 변경.; 1971년 1월 국방부로 이관되고 국군수도통합병원으로 개칭.
  • 국군강릉병원;
  • 국군고양병원; 1984년 8월 20일, 106야전병원에서 재편성.; 2011년 7월 1일, 국군벽제병원에서 개칭.
  • 국군광주병원; 1964년 전라남도 광주시에서 국군광주통합병원으로 개칭. 1984년 8월 1일, 통합 명칭 삭제.; 2007년, 국군함평병원으로 개명.
  • 국군구리병원; 2017년 10월 1일, 국군청평병원에서 개칭.
  • 국군논산병원; 1971년 1월 15일, 제2훈련소지구병원으로 개원; 1984년 8월 20일, 국군논산병원으로 재편성.
  • 국군대구병원; 1971년 1월 11일, 제1육군병원에서 재편성.
  • 국군대전병원; 1971년, 국군대전통합병원으로 개원.; 1984년 8월 1일, 통합 명칭 삭제.
  • 국군덕정병원; 1954년, 덕정육군병원으로 개원. 2004년 5월, 국군창동병원과 통합. 국군양주병원으로 개원
  • 국군부산병원; 1971년, 국군부산통합병원으로 개원. 1984년 8월 1일, 통합 명칭 삭제.
  • 국군마산병원; 2009년 폐원.
  • 국군수도병원; 1971년 1월, 국군수도통합병원에서 개명.; 1984년 8월 1일, 통합 명칭 삭제.
    • 분원; 1971년 9월 20일, 국군수도통합병원 본원이 이사하고 남은 분원 시설로 지정.; 1977년 12월 12일, 서울지구병원으로 개명.
  • 국군서울지구병원; 1977년 12월 12일, 국군수도통합병원 분원에서 개명.
  • 국군양주병원; 2004년, 국군덕정병원, 국군창동병원 통폐합 후 개원.
  • 국군원주병원; 1984년 8월 20일, 개원.
  • 국군창동병원; 2004년 5월, 국군덕정병원과 통합.
  • 국군철정병원; 2010년, 국군홍천병원으로 개칭.
  • 국군청평병원; 불명, 개교.; 2017년 10월 1일, 국군구리병원으로 개명.
  • 국군춘천병원; 1984년 8월 20일, 101야전병원에서 재편성.
  • 국군현리병원; 1984년 8월 20일, 102야전병원에서 재편성.
  • 국군일동병원; 1984년 8월 20일, 103야전병원에서 재편성.
  • 국군벽제병원;
  • 국군홍천병원;
  • 국군함평병원; 2007년, 국군광주병원에서 개명.

후송병원

편집
  • 제6후송병원; 1965년 6월 7일, 야전병원에서 재편성.
  • 제7후송병원; 1964년 7월 15일, 제1이동외과병원으로 재편성.
  • 제51후송병원; 1984년 8월 20일, 국군원주병원으로 재편성.
  • 제57후송병원; 1984년 8월 20일, 국군청평병원으로 재편성.
  • 제59후송병원; 1984년 8월 20일, 국군창동병원으로 재편성.
  • 제101후송병원; 1974년 12월 1일, 해체.
  • 제102후송병원; 1974년 12월 1일, 해체.
  • 제103후송병원; 1974년 12월 1일, 해체.
  • 제105후송병원; 1974년 12월 1일, 해체.
  • 제106후송병원;
  • 제107후송병원; 1966년 8월 14일, 창설.
  • 제121육군병원; 1954년 3월 15일, 강원 원주에서 창설.; 1954년 5월 1일, 후송병원으로 재편성.
  • 파월후송병원; 1966년 6월 10일, 창설.

야전병원

편집
  • 제2야전병원; 1954년 3월 15일, 강원 인제에서 창설.
  • 제5야전병원; 1954년 5월 15일, 대구에서 창설.
  • 제6야전병원; 1965년 6월 7일, 후송병원으로 재편성.
  • 제101야전병원; 1974년 12월 1일, 춘천에서 창설 및 제2군단 예속.; 1984년 8월 20일, 국군춘천병원으로 재편성.
  • 제102야전병원; 1974년 12월 1일, 현리에서 창설 및 제2군단 예속.; 1984년 8월 20일, 국군현리병원으로 재편성.
  • 제103야전병원; 1974년 12월 1일, 일동에서 창설 및 제5군단 예속.; 1984년 8월 20일, 국군일동병원으로 재편성.
  • 제105야전병원; 1974년 12월 1일, 덕정에서 창설 및 제6군단 예속.; 1984년 8월 20일, 국군덕정병원으로 재편성.
  • 제106야전병원; 1974년 12월 1일, 벽제에서 창설 및 제1군단 예속.; 1984년 8월 20일, 국군벽제병원으로 재편성.

외과병원

편집
  • 제1외과병원; 201으로 서수 변경.
  • 제2외과병원; 202으로 서수 변경.
  • 제3외과병원; 203으로 서수 변경.
  • 제5외과병원; 205으로 서수 변경.
  • 제6외과병원; 206으로 서수 변경.
  • 제7외과병원; 207으로 서수 변경.
  • 제8외과병원; 208으로 서수 변경.
  • 제9외과병원; 209으로 서수 변경.
  • 제11외과병원; 211으로 서수 변경.
  • 제12외과병원; 212으로 서수 변경.
  • 제15외과병원; 215으로 서수 변경.
  • 제16외과병원; 216으로 서수 변경.
  • 제201외과병원; 1974년 12월 1일, 해체.
  • 제202외과병원; 1974년 12월 1일, 해체.
  • 제203외과병원; 1974년 12월 1일, 해체.
  • 제206외과병원; 1974년 12월 1일, 해체.
  • 제207외과병원; 1974년 12월 1일, 해체.
  • 제209외과병원; 1966년 4월 29일, 편성.; 1974년 12월 1일, 해체.
  • 제211외과병원; 1974년 12월 1일, 해체.
  • 제212외과병원; 1974년 12월 1일, 해체.
  • 제215외과병원; 1974년 12월 1일, 해체.
  • 제216외과병원; 1974년 12월 1일, 해체.
  • 제1이동외과병원; 1950년 7월 9일, 제1외과치료반으로 수원에서 창설.; 1951년 3월 20일, 제이동외과병원으로 재편성.; 1964년 7월 15일, 제7후송병원에서 재편성됨.; 1968년, 201로 서수 변경.;
  • 제2외과치료반; 1950년 7월 9일, 제2외과치료반으로 대전에서 창설.; 1951년 3월 20일, 제2이동외과병원
  • 제3외과치료반; 1950년 7월 9일, 제3외과치료반으로 금호에서 창설.; 1951년 3월 20일, 제3이동외과병원으로 재편성.
  • 제5외과치료반; 1950년 12월 11일, 제5외과치료반으로 서울에서 창설.; 1951년 3월 20일, 제5이동외과병원으로 재편성.
  • 제6외과치료반; 1950년 12월 19일, 제6외과치료반으로 종로에서 창설.; 1951년 3월 20일, 제6이동외과병원으로 재편성.
  • 제7이동외과병원; 1951년 11월 24일, 전북 남원에서 창설.
  • 제8이동외과병원; 1953년 3월 5일, 강원 양구에서 창설.
  • 제9이동외과병원; 1953년 6월 10일, 대구에서 창설.
  • 제11이동외과병원; 1953년 7월 31일, 대구에서 창설.
  • 제12이동외과병원; 1954년 3월 15일, 대구에서 창설.
  • 제15이동외과병원; 1954년 5월 15일, 대구에서 창설.
  • 제201이동외과병원; 1968년, 1에서 서수 변경.; 1973년 2월 3일, 베트남에서 해체.
  • 제209이동외과병원; 1973년 3월 18일, 베트남에서 해체.
  • 제221이동외과병원; 1972년 3월 18일, 베트남에서 해체.
  • 제235이동외과병원; 1984년 9월 1일, 국군동해병원으로 재편성.

후방병원

편집
  • 제6후방병원; 1967년 11월 30일, 106으로 서수 변경.
  • 제7후방병원; 1967년 11월 30일, 57로 서수 변경.
  • 제51후방병원; 1967년 11월 30일, 121서수 변경.
  • 제57후방병원; 1967년 11월 30일, 6에서 서수 변경.
  • 제106후방병원; 1967년 11월 30일, 6에서 서수 변경.
  • 제121후방병원; 1967년 11월 30일, 51로 서수 변경.

참고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