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자치부(行政自治部, Ministry of the Interior, 약칭: 행자부, MOI[1])는 국무회의의 서무, 법령 및 조약의 공포, 정부조직과 정원, 상훈, 정부혁신, 행정능률, 전자정부, 개인정보보호, 정부청사의 관리, 지방자치제도, 지방자치단체의 사무지원·재정·세제, 낙후지역 등 지원, 지방자치단체간 분쟁조정 및 선거·국민투표의 지원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옛 중앙행정기관이다. 2014년 11월 19일 안전행정부를 개편하여 발족하였으며,[2] 2017년 7월 26일 행정안전부로 개편되면서 폐지되었다.
행정자치부
|
|
|
설립일
|
2014년 11월 19일
|
해산일
|
2017년 7월 26일
|
전신
|
안전행정부
|
후신
|
행정안전부
|
소재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209 정부서울청사
|
직원 수
|
894명
|
예산
|
41조 4,832억 원
|
과거에 국무 회의의 의안 정리 및 서무, 법령 및 조약의 공포, 공무원의 인사 관리 및 시험 관리, 행정 기관의 조직 및 정원의 관리, 행정 사무 및 민원 제도의 개선과 실태의 평가, 상훈, 공무원의 연금에 관한 사무와 국가의 행정 사무로서 다른 중앙행정기관의 소관에 속하지 아니하는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인 행정자치부가 있었다. 1998년 2월 28일 내무부와 총무처를 통합하여 발족하였으며 2008년 2월 29일 행정안전부로 개편되면서 폐지되었다.
- 국무회의의 서무
- 법령 및 조약의 공포
- 정부조직과 정원에 관한 사무
- 상훈에 관한 사무
- 정부혁신에 관한 사무
- 행정능률에 관한 사무
- 전자정부에 관한 사무
- 개인정보보호
- 정부청사의 관리
- 지방자치제도에 관한 사무
- 지방자치단체의 사무지원·재정·세제에 관한 사무
- 낙후지역 등 지원
- 지방자치단체 간 분쟁조정
- 선거·국민투표의 지원
- 국가의 행정사무로서 다른 중앙행정기관의 소관에 속하지 아니하는 사무
- 1998년 2월 28일: 내무부와 총무처를 통합하여 행정자치부를 설치.
- 1999년 5월 24일: 인사행정에 관한 사무를 중앙인사위원회로 이관하여 분리.
- 2004년 3월 11일: 기획예산처로부터 행정개혁에 관한 사무를 이관받음. 공무원의 인사관리 및 후생복지(복무 및 연금관리에 관한 사항은 제외)에 관한 사무를 중앙인사위원회로 이관.
- 2004년 6월 1일: 민방위·재난관리 및 소방(민방위·재난관리 제도에 관한 사항은 제외)에 관한 사무를 소방방재청에 이관하여 분리.
- 2008년 2월 29일: 행정안전부로 개편.
- 2014년 11월 19일: 행정안전부의 후신인 안전행정부를 행정자치부로 개편. 안전 및 재난에 관한 정책의 수립·총괄·조정과 비상대비·민방위 제도에 관한 사무는 국민안전처로, 공무원의 인사·윤리·복무·연금에 관한 사무는 인사혁신처로 이관.
- 2017년 7월 26일: 행정안전부로 개편.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김대중 정부
|
초대
|
김정길(金正吉)
|
1998년 3월 3일~1999년 2월 5일
|
|
2대
|
김기재(金杞載)
|
1999년 2월 6일~2000년 1월 13일
|
|
3대
|
최인기(崔仁基)
|
2000년 1월 14일~2001년 3월 25일
|
|
4대
|
이근식(李根植)
|
2001년 3월 26일~2003년 2월 26일
|
|
노무현 정부
|
5대
|
김두관(金斗官)
|
2003년 2월 27일~2003년 9월 18일
|
|
6대
|
허성관(許成寬)
|
2003년 9월 19일~2005년 1월 4일
|
|
7대
|
오영교(吳盈敎)
|
2005년 1월 5일~2006년 3월 21일
|
|
8대
|
이용섭(李庸燮)
|
2006년 3월 27일~2006년 12월 4일
|
|
9대
|
박명재(朴明在)
|
2006년 12월 13일~2008년 2월 28일
|
|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박근혜 정부
|
초대
|
정종섭(鄭宗燮)
|
2014년 11월 19일~2016년 1월 12일
|
|
2대
|
홍윤식(洪允植)
|
2016년 1월 13일~2017년 6월 15일
|
|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김대중 정부
|
초대
|
석영철(石泳哲)
|
1998년 3월 9일~1999년 5월 25일
|
|
2대
|
김흥래(金興來)
|
1999년 5월 26일~2000년 1월 26일
|
|
3대
|
김재영(金在榮)
|
2000년 1월 27일~2001년 4월 1일
|
|
4대
|
정영식(丁榮植)
|
2001년 4월 2일~2002년 7월 18일
|
|
5대
|
조영택(趙泳澤)
|
2002년 7월 19일~2003년 3월 2일
|
|
노무현 정부
|
6대
|
김주현(金住炫)
|
2003년 3월 3일~2004년 7월 19일
|
|
7대
|
권오룡(權五龍)
|
2004년 7월 20일~2005년 7월 22일
|
|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노무현 정부
|
8대
|
권오룡(權五龍)
|
2005년 7월 22일~2006년 8월 9일
|
|
9대
|
최양식(崔良植)
|
2006년 8월 9일~2008년 2월 29일
|
경주시장 역임
|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노무현 정부
|
8대
|
문원경(文元京)
|
2005년 7월 22일~2006년 1월 31일
|
|
9대
|
장인태(張仁太)
|
2006년 2월 1일~2007년 4월 19일
|
|
10대
|
한범덕(韓凡悳)
|
2007년 4월 20일~2008년 2월 5일
|
|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박근혜 정부
|
초대
|
정재근(鄭在根)
|
2014년 11월 19일~2016년 1월 17일
|
|
2대
|
김성렬(金聖烈)
|
2016년 1월 18일~2017년 5월 31일
|
|
총계 |
894명
|
정무직 계
|
2명
|
|
장관 |
1명
|
|
차관 |
1명
|
|
별정직 계
|
17명
|
|
고위공무원단 |
7명[13]
|
|
3급 상당 이하 5급 상당 이상 |
2명
|
|
6급 상당 이하 |
8명[14]
|
|
일반직 계
|
874명
|
|
고위공무원단 |
22명[15]
|
|
3급 이하 5급 이상 |
455명[16]
|
|
6급 이하 |
389명[17]
|
|
전문경력관 |
8명
|
|
경찰공무원 계
|
1명
|
|
경정 |
1명
|
구분 |
2017년 예산 |
작년 대비 증감
|
일반회계 |
411,790억 원 |
+7.3%
|
지역발전특별회계 |
3,042억 원 |
-3.1%
|
합계 |
414,832억 원 |
+7.2%
|
- ↑ 대한민국 행정자치부 (2015년 9월 15일). “정부조직 영어명칭에 관한 규칙 - 중앙행정기관의 약칭과 영어명칭”. 《국가법령정보센터》. 대한민국 법제처. 2017년 2월 5일에 확인함.
- ↑ 신범수; 이경호 (2014년 11월 18일). “교육부총리 황우여, 국민안전처 박인용, 공정위 정재찬(종합)”. 《아시아경제》. 2014년 11월 18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고위공무원단 나등급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으로 보한다.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러 머 버 서 어 저 처 커 터 퍼 허 고 노 도 로 모 보 소 오 조 초 코 토 포 호 구 누 두 루 무 부 수 우 주 추 쿠 투 푸 후 그 느 드 부이사관·서기관 또는 기술서기관으로 보한다.
- ↑ 장관정책보좌관은 3명을 두며,1명은 고위공무원단 나등급에 속하는 별정직공무원으로, 2명은 3급 상당 또는 4급 상당 별정직공무원으로 보한다. 다만, 특별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고위공무원단 나등급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 또는 4급 이상 일반직공무원으로 대체할 수 있다.
- ↑ 가 나 다 라 마 임기제공무원으로 보할 수 있다.
- ↑ 가 나 다 라 고위공무원단 가등급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으로 보한다.
- ↑ 고위공무원단 나등급에 속하는 임기제공무원으로 보한다.
- ↑ 2018년 2월 28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 ↑ 2018년 12월 26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 ↑ 가 나 2019년 2월 28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 ↑ 가 나 2017년 10월 31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이다.
- ↑ 전직대통령의 비서관 3명, 서거한 전직대통령의 배우자의 비서관 3명 포함.
- ↑ 전직대통령의 운전기사 1명, 서거한 전직대통령의 배우자의 운전기사 3명 포함.
- ↑ 한시정원 1명 포함.
- ↑ 한시정원 13명 포함.
- ↑ 시간선택제채용공무원 2.0명, 한시정원 3명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