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형사소송법 제89조

대한민국 형사소송법 제89조구속피고인과의 접견, 수진에 대한 형사소송법의 조문이다.

조문

편집

제89조(구속된 피고인과의 접견, 수진) 구속된 피고인은 법률의 범위 내에서 타인과 접견하고 서류 또는 물건을 수수하며 의사의 진료를 받을 수 있다.

第89條(拘束된 被告人과의 接見, 受診) 拘束된 被告人은 法律의 範圍 內에서 他人과 接見하고 書類 또는 物件을 授受하며 醫師의 診療를 받을 수 있다.

해설

편집

본 조의 법적근거

편집

1. 피고인 또는 피의자의 권리로서 변호인과의 접견교통권: 헌법 제12조 제4항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 형사소송법 제89조

2. 피고인 또는 피의자의 권리로서 가족•친지 등 비변호인과의 접견교통권: 헌법 제10조행복추구권, 형사소송법 제89조 및 제91조

3. 변호인의 권리로서 피고인 또는 피의자와의 접견교통권: 헌법 제12조 제4항의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와 표리관계(헌법재판소의 입장, 대법원 반대), 형사소송법 제34조

4. 가족•친지 등의 권리로서 피고인 또는 피의자와의 접견교통권: 헌법 제10조의 인간의 존엄과 가치 및 행복주구권

판례

편집

헌법적 근거

편집

구속된 피고안피의자의 권리로서 변호인과의 접견교통권

편집
  •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의 가장 중요한 내용으로 헌법상의 기본권으로 보아야 한다[1]

체포, 구속된 피고인, 피의자의 권리로서 가족, 친지 등 비변호인의 접견교통권

편집
  • 현법 제10조의 행복추구권에 포함된 기본권이다[2]

변호인의 권리로서 체포. 구속된 피고인. 피의자와의 접견교통권

편집

헌법재판소는 헌법상의 기본권[3], 대법원은 형사소송법상의 권리로 본다[4].

가족. 친지 등의 권리로서 피고인 또는 피의자와의 접견교통권

편집

결수용자의 가족이 미결수용지와 접견하는 것 역시 헌법 제10조가 보장하고 았는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 및 행북추구권 가운데 포함되는 헌법삼의 기본권이다[5].

변호인과의 접견교통권의 주체에 관한 판례

편집

1. 임의吾행의 형식으로 수사기관에 연행된 피의자에게도 …… 접견교통권은 당연히 인정 피내사자에게도 이는 마찬가지 …... (대법원 1996.6.3,96모I8

에 대한 재심개시의 여부를 결정하는 재심청구절차에는 그대로 적용될 대판 1998.4.28,96도48831). >09.경장

접견교통권의 제한에 관한 헌법재판소의 입장

편집

kl의 조력을 받을 권리의 가장 중요한 내용 …… 국가안전보장, 질서유지, 공공복리 등 어떠한 명분으로도 황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헌재결 1992.1.28,91헌마111).

접견교통권의 제한에 관한 대법원의 입장

편집
  • 수사기관의 처분 등에 의하여 이틀 제한할 수 없고, 다만 법령에 의하여서만 제한이 가능하다[6]
  • 법령에 의한 제한이 없는 한 수사기관의 처분은 물론 법원의 결정으로도 이를 제한할 수 없는 것이다[7]
  • 행형법시행령 제176조는 변호인의 수진권행사에 대한 법령상의 제한에 해당한다[8]
  • 신체구속을 당한 사람이 그 변호인을 자신의 범죄행위에 공범으로 가담시키려고 하였다는 사정만으로 그 변호인의 접견교통을 금지할 수 없다[9]

접견교통권의 침해로 본 판례

편집
  • 구속영장에는 청구인을 구금할 수 있는 장소로 특정 경찰서 유치장으로 기재하고 국가안전기획부 청사에 사실상 구금하여 사실상의 구금장소의 임의적 변경은 청구인의 방어권이나 접견교통권의 행사에 중대한 장애를 초래하는 것이므로 위법하다[10]
  • 접견신청일이 경과하도록 접견이 이루어지지 아니한 것은 실질적으로 접견불허가처분이 있는 것과 동일하다[11]

접견교통권을 제한한 상태에서 얻어낸 자백의 증거능력

편집
  • 접견교통권을 침해하여 얻은 자백은 위법절차에 의하여 얻은 자백으로서 증거능력이 없다[12]
  • 보장된 변호인과의 접견교통권이 위법하게 제한된 상태에서 얻어진 피의자의 자백은 유죄의 증거에서 실질적이고 완전하게 배제하여야 하는 것이다[13]

접견 전에 작성된 검사의 피고인에 대한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 유무(적극)

편집
  • 피고인에 대한 피의자신문조서가 증거능력이 없다고 할 수 없다[14]

비변호인과의 접견이 제한된 상태에서 얻어낸 자백의 증거능력

편집
  • 피고인들의 접견이 제한을 받았고, 그러한 상황하에서 피의자신문조서가 작성되었다는 사실만으로 바로 그 조서가 임의성이 없다고는 불 수 없다[15]

참고 문헌

편집
  • 손동권 신이철, 새로운 형사소송법(초판, 2013), 세창, 2013. ISBN 9788984114081

각주

편집
  1. 헌재결 1991.7.8,89헌마181
  2. 2002헌마193
  3. 2000헌마474
  4. 대법원 2002.5.6.2000모112
  5. 헌재결 2003.:11.27,2002헌마193 ; 대법원 1992.5.8.91
  6. 대법원 2002.5.6. ■&2
  7. 대법원 ■3, 89모37
  8. 대법원 歐-6.2000모112
  9. 법원 2007K.K 2006모656
  10. 대법원 1996.5.15, 95모94
  11. 91모24
  12. 1990.8.24.90도1285
  13. 대판 1990.9.25,90도I586
  14. 90도1613
  15. 대판 1984,7.10,84도8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