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공사

대한항공공사(大韓航空公社)는 항공운송사업과 이에 부대하는 사업을 경영함으로써 민간항공의 진흥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립된 대한민국 교통부 산하 최초의 국영항공사였다.[1] 초기자본금 50억원으로 설립되었고 설립 당시 사장 및 부사장을 합한 5인이내의 이사와 감사 1인을 두되, 사장과 부사장은 교통부 장관의 제청에 의하여 내각수반[2]이 임면하며 그 임기는 3년으로 하였다. 본사는 서울특별시에 위치하고 있었다. 적자상황이 지속되자 정부가 1969년 대한항공공사법을 폐지하고 민영화를 추진해 현재의 한진그룹 계열사로 편입시킨 후 대한항공이 되었다.[3][4]

설립 근거

편집
  • 대한항공공사법[5]

연혁

편집
  • 1946년 3월 1일 대한국민항공 설립
  • 1962년 6월 19일 대한항공공사법 제정 및 정부 인수 후 대한항공공사로 전환 (자본금 50억원)[6]
  • 1966년 3월 9일 자본금 축소 (50억원 → 35억원)
  • 1969년 3월 1일 주식회사로 전환 후 한진상사가 인수[7]
  • 1969년 8월 4일 대한항공공사법 폐지

보유 기종

편집
대한항공공사의 보유 기종
기종 대수 운항노선 비고
더글러스 DC-3 3 단거리 국내선 우남호는 인하대학교에 보존
1대는 창랑호 납북 사건으로 납북
더글러스 DC-4 1 중거리 국내선
더글러스 DC-9 2 단거리 국제선 및 국내선
록히드 L-749 콘스틸레이션 1 중단거리 국제선 및 국내선 정석 비행장에 보존
포커 27 5 국내선
가스덴 KR-2 2 국내선
스테이션 왜곤 4 국내선
페어차일드 FC-27 7 단거리 국제선 및 국내선
YS-11A-200 11 단거리 국제선 및 국내선 1대는 대한항공 YS-11기 납북 사건으로 납북
합계 34

역대 사주

편집
  • 신유협, 사장서리
  • 신유협
  • 장성환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1963년 대한항공공사의 스튜어디스들《서울신문》2013년 1월 18일 손성진 국장
  2. 대통령제 전환 이후엔 대통령이 임면권 행사
  3. “국익에 투자” 부실 대한항공공사 인수《문화일보》2004년 1월 3일 노윤정 기자
  4. 다시 주목 받는 M&A의 성공과 실패 사례, 어떤 주인에게 인수되느냐 … 성패 갈라 Archived 2018년 12월 9일 - 웨이백 머신《한국경제매거진》2012년 11월 2일 이후연 기자
  5. 제1조 (공사의 목적)
    대한항공공사(이하 공사라 한다)는 항공운송사업과 이에 부대하는 사업을 경영함으로써 민간항공의 진흥발전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4조 (자본금과 출자)
    ① 공사의 자본금은 50억으로 하고 주식의 출자, 납입시기와 방법은 내각이 정한다.
    ②대한민국국민 또는 대한민국의 국민이 설치한 법인이 아니면 출자를 할 수 없다.
    ③출자는 현금외에 항공기 기타 공사운영에 소요되는 현물로써 할 수 있다.
  6. 현직 사원이 말하는 '대한항공' 입사 노하우 Archived 2016년 9월 25일 - 웨이백 머신《경제투데이》2012년 9월 30일 김남규 기자
  7. ‘수송 외길’ 한진의 남다른 경쟁력 Archived 2013년 4월 24일 - 웨이백 머신《주간동아》2012년 11월 19일 구미화 객원기자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