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함탄도미사일

전함을 파괴하기 위한 탄도 미사일
(대함탄도유도탄에서 넘어옴)

대함탄도미사일(ASBM, Anti-Ship Ballistic Missile)은 항공모함, 구축함을 공격하는 탄도 미사일이다.

역사

편집

ASBM은 냉전시절 미국과 구 소련이 비용 등을 고려해 상호 개발하지 않기로 합의했다.

중국

편집

탄도미사일은 낙하할 때 마하 10~15에 달하는 속도를 낸다. 때문에 함대의 방공망으로는 저지가 불가능하다. 중국은 냉전 시절 구소련이 구상했던 ASBM 개념을 차용해 2005년과 2006년 시험발사했다. 미 해군정보국(ONI)은 2009년 7월 보고서에서 "중국의 1,500km 급 ASBM이 실전배치될 것이며, 이는 태평양에서 미 항공모함에 위협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1]

DF-21D는 세계 최초이자 유일의 대함 탄도미사일(ASBM)이다. 중국 잠수함을 의식해 미국 항공모함이 중국 본토에서 1,000km는 떨어져야만 한다. 1,000km는 항모 탑재 전투기들의 작전 한계 거리다. 게다가 대함탄도탄 DF-21 ASBM의 위협이 추가돼 공격받지 않으려면 1,000km쯤 더 후퇴해야 한다. 중국 연안까지 ‘맘 놓고 다녔던’ 미국이 이젠 2,000km 앞까지만 가는 상황이 된 것이다.[2]

탄도미사일 특성상 마하 10-15에 달하는 속도는 정확성 측면에서는 손해보는 측면이 있다. 따라서 미군 항모 전단을 탐지하는 능력도 떨어지는 중공이 ASBM을 활용하여 항모를 타격한다는 건 아직은 검증되지도 확신되지도 않는 상황이다.

북한

편집

1990년대 초 북한이 개발하기 시작한 스커드-ER은 2003년부터 실전에 배치되기 시작했으며 공식적으로 확인된 건 2007년이다. 옛 소련의 스커드-D를 모델로 했다. 2000년 처음 시험발사해 700km를 비행했다. 사거리 1,000km 탄두중량 500kg이다.

2016년 9월 5일 삿갓몰 미사일 기지에서 1,000km의 스커드-ER을 발사했다.

2017년 3월 6일 07시 34분, 북한이 스커드-ER을 발사했다. 한미연합군은 독수리연습 중인데도, 2분이나 지나서야 동해의 세종대왕함, 그린파인 조기경보레이다로 발견했다. 액체연료에 마하 7-8인 스커드-ER은 2분이면 300km를 비행한다.[3] 동창리 미사일 기지에서 4발을 발사했으며, 최고고도 260km, 평균 1,000km를 비행했다. 동창리 미사일 기지에서 서울까지는 310km 떨어져 있다. 2018년 미국에서 이슈가 된 삿갓몰 미사일 기지에서 서울까지는 120 km 거리로, 그린파인 조기경보레이다가 탐지하기 전에 서울에 핵공격이 완료된다.

2017년 4월 25일, 스커드-ER 개량형을 인민군 창군일 열병식에 최초로 공개했다. 탄두부분에 카나드가 달려 있는게 특징이다. 장갑차 형태의 발사대 차량을 사용한다.

2017년 5월 29일, 스커드-ER 개량형을 시험발사했다. GPS 유도가 되며, 북한은 CEP 7 m라고 자랑했다. 미사일 불꽃은 치마형(고체)이 아닌 촛불 형태를 나타내 액체 연료를 쓴 것으로 추정된다. 김정은 위원장이 직접 참관했다. 노동신문은 1년만에 개발했다면서, 대함탄도미사일(ASBM)로도 사용된다고 보도했다. 이동하는 항공모함을 공격하려면, 레이다 락온이나 광학카메라 락온 기능이 있어야 하는데, 있다는 의미로 보인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박수찬의 軍]'군사굴기' 中 열병식…'美日 견제' 무기 대거 공개했다, 세계일보, 2015-09-03
  2. 2006년 미국 항모 9km까지 접근 소리 없는 공격 능력 세계에 과시, 중앙SUNDAY, 2010-06-27
  3. <사드 국내 배치 시작>軍, 北 동시다발 2분 뒤 포착…“사드 3~4개 포대 있어야 요격”, 문화일보, 2017-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