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규격은 회사나 개인, 혹은 특정 단체가 독자 혹은 소수의 복수 매체로만 사용하는 규격들을 일컫는 말이다. 전자제품의 경우, 소니UMD, MD, 메모리 스틱등과 애플사썬더볼트가 있다.

독자규격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인 Blue-ray 규격(BD)
독자규격의 대표적인 실패 사례인 UMD 규격
한개 회사만 채용해도 제품의 판매량과 점유율이 독점적이거나 압도적으로 높으면 충분히 독자 규격도 대중화시킬 수 있다는걸 증명한 애플사의 독자규격들 라이트닝 (단자)과 5핀

개요

편집

반대개념

편집

반대개념으로는 표준규격이 있다. 표준규격은 전자제품을 예로 들면, 대부분의 구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기반의 스마트폰, 태블릿 PC 제조사들이 USB-C와 호환되는 기종을 출시하는데, 여기에 쓰이는 USB-CUSB가 대표적인 표준규격의 예시다. 이것은 호환되는 하나의 표준을 제조사들 혹은 그들을 이익을 대변하는 단체의 약속에 의해 만들어진다.

장점

편집
  • 독자규격을 채택한 회사로선 자기들 입장에선 자기가 허가한 회사만 관련 상품을 판매할 수 있으니 불법 단속이 비교적 쉽다.
  • 새로운 규격을 시도하는데에 협의할 의논 대상 혹은 회사가 적고, 시장과 소비층도 한정적여서 신기술을 빠르게 도입할 수가 있다.
  • 신기술을 빠르게 도입할 수 있음으로서 질 좋은 최신 기술을 빠르게 적용할 수 있다.
  • 회사의 입장에서는 개발의 자유도가 높으며 회사의 요구를 빠르게 투영하거나, 이익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단점

편집
  • 표준규격의 전자제품을 이미 소비하는 소비자로서는 독자규격을 채용한 A회사의 제품을 사기위해 A회사하고만 호환되는 A규격 주변기기까지 추가로 구매하는 과잉 비용 부담이 발생
  • 표준규격을 제품에 채용한 경쟁사들이 대여섯개가 넘어가버리면 소비자들은 선택의 폭이 비교적으로 좁은 독자규격 채용한 회사의 제품을 외면해버린다.
  • 표준규격의 제품들은 규모의 논리에 따라 가격이 비교적 낮아서 가격경쟁력을 갖춘 반면, 독자규격은 높은 단가 때문에 소비자들의 외면을 받는다.

독자규격 사례

편집
  • 메모리 스틱 - 소니 전자제품에 많이 호환되던 저장 매체다.
  • UMD - 소비자들이 약한 내구도를 호소, 호환되는 기기가 PSP밖에 없으며 초기 PSP는 UMD를 뱉어내는 불량품 사례도 있었다.
  • 썬더볼트 - USB보다 최신 기술을 비교적 이른 시기에 적용하여 속도가 빠른 장점을 내세웠지만, PC 사용자들에게 외면받고 macOS 호환 기종들만의 리그였다.
  • CD-ROM - 소니사와 필립스사의 합작이다. 상업적으로 성공한 독자규격 사례다.
  • 블루레이 디스크 - 소니의 독자규격이다. 상업적으로 성공한 독자규격 사례다.
  • 라이트닝 케이블 - 애플의 독자규격이다. 애플사의 제품들만 채용했지만, 판매량이 워낙 높아서 상업적으로 성공한 독자규격 사례다.

같이 보기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