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재자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3년 6월) |

독재자(獨裁者, 영어: dictator)는 독재 정치에서 국정을 조종할 수 있는 인물이다. 여러 권력이 집중되고 있는 인물을 가리키는 용어로도 불린다. 합법적으로 선출된 형태라 하더라도, 문제는 정치 체계로서의 독재제는 독재자의 폭주에 대한 견제 기능이 없다는 것이며, 항상 폭정으로 변모할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독재자가 폭정을 실시할 경우, 나라가 매우 불안정해지며, 국민의 생명은 위험에 처하게 된다. 독재자 역시 예외는 아니다. 독재자 본인은 항상 정적으로부터의 암살 위협에 시달리며, 독재자 아래의 권력층도 항상 독재자로부터의 숙청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많은 경우, 언론의 자유 침해는 부수적으로 따르게 된다. 보도 기관은 통제되고, 일반 국민도 자유롭게 의견을 말할 권리가 크게 위축된다.
독재자는 대부분 야당과 정적에게 잔인하며 암살, 납치, 고문 등을 자행한다.
독재자는 일반적으로 민족과 국가를 자신과 동일시한다. 그래서 국민들에게 필요 이상의 애국심을 강요한다. 그리고 자신에 반대하는 사람을 민족, 국가의 배반자로 탄압하는 경향이 있다. 또, 국민의 불만을 빗나가게 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반대파를 탄압하는 경우도 많다.
독재자와 전제군주의 차이는 여러 설이 있지만, 독재자는 쿠데타, 선거, 위임 등으로 선출된 인물이고, 전제군주는 세습과 군사력으로 지위에 오른 인물로 보는 견해가 있다. 그러나 독재자 중에는 분명히 세습이나 군사력으로 지위에 오른, 실질적으로는 전제군주라고 할 수 있는 인물도 있다. 그러한 독재자는 부정선거, 혹은 의회의 의결을 폭력으로 강제하는 등, 다수의 의견을 반영하고 있다는 위장을 하는 경우가 많다. 때문에 독재자의 이전 직업에는 장성급 장교가 매우 많다.
독재자 목록 편집
아시아 편집
라오스 - 통룬 씨쑬릿
미얀마 - 민 아웅 흘라잉
방글라데시 - 셰이크 하시나
베트남 - 응우옌푸쫑
북한 - 김정은
싱가포르 - 리셴룽
중국 - 시진핑
캄보디아 - 훈 마넷
타지키스탄 - 에모말리 라흐몬
투르크메니스탄 - 세르다르 베르디무하메도프
아메리카 편집
니카라과 - 다니엘 오르테가
베네수엘라 - 니콜라스 마두로
쿠바 - 미겔 디아스카넬
유럽 편집
러시아 - 블라디미르 푸틴
벨라루스 -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아제르바이잔 - 일함 알리예프
튀르키예 -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헝가리 - 오르반 빅토르
아프리카 편집
기니 - 마마디 둠부야
남수단 - 살바 키르 마야르디트
니제르 - 압두라하마네 치아니
르완다 - 폴 카가메
말리 - 아시미 고이타
부르키나파소 - 이브라힘 트라오레
수단 공화국 - 압델파타흐 알부르한
에리트리아 - 이사이아스 아페웨르키
우간다 - 요웨리 무세베니
이집트 - 압델 파타 엘 시시
적도 기니 - 테오도로 오비앙 응게마 음바소고[4]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포스탱아르샹주 투아데라
지부티 - 이스마일 오마르 겔레
짐바브웨 - 에머슨 음낭가과
차드 - 마하마트 데비 이트노
카메룬 - 폴 비야
코모로 - 아잘리 아소우마니
콩고 공화국 - 드니 사수 응게소
토고 - 포르 냐싱베
중동 편집
튀니지 - 카이스 사이에드
시리아 - 바샤르 알아사드
이란 - 알리 호메이니
같이 보기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