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방송예술대학교
동아방송예술대학교(東亞放送藝術大學校)는 1997년 개교한 대한민국 최초의 방송전문고등교육기관이다. 1998년 5월 1일에 교명을 동아방송대학(東亞放送大學)으로 바꿨고 다시 2007년 1월 15일에 동아방송예술대학(東亞放送藝術大學, Dong-Ah Institute of Media and Arts)으로 교명을 변경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2011년 3월 현재 16개 학과(3년제)가 개설되어 있으며 전공심화 학사학위과정 4개 학과도 함께 개설되어 운영된다. 2012년 5월 23일에 동아방송예술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 | |
표어 | 지성(知性), 덕성(德性), 기예(技藝) |
---|---|
종류 | 사립 전문대학 |
설립 | 법인 1977년 (대학 1997년) |
총장 | 최용혁 |
학교법인 | 공산학원 |
학생 수 | 2,549명[1] |
국가 | 대한민국 |
위치 | 경기도 안성시 삼죽면 동아예대길 47 |
상징물 | 느티나무, 철쭉, 말, 알바트로스 |
웹사이트 | 동아방송예술대학교 홈페이지 |
![]() |

교훈편집
- 지성(知性), 덕성(德性), 기예(技藝)
연혁편집
- 1994.08.01 : 동아방송전문대학 설립계획 승인
- 1996.12.26 : 학교 설립 인가 (9개학과 720명)
- 1997.05.28 : 개교식
- 1998.05.01 : 동아방송대학으로 교명 변경
- 2007.01.15 : 동아방송예술대학으로 교명 변경
- 2012.05.23 : 동아방송예술대학교로 교명 변경
개설학과편집
창의융합교양학부
방송예술융합학부
콘텐츠학부
예술학부
실용음악학부
- 실용음악계열
- 전공 : 성악(트랙: 보컬, 송라이팅), 기악, 작곡(트랙: 프로듀싱, 송라이팅, 전자음악제작)
방송연예학부
다전공
- 연계전공
- 융합전공
- 자기설계전공
방송예술창작학부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4학년]
- 방송기술학과
- 방송보도제작학과
- 실용음악학과
- 음향제작학과
- K-POP학과
- 콘텐츠제작학과 (트랙: 영상콘텐츠제작, 응용콘텐츠제작)
- 연기예술학과
- 문화예술마케팅학과
해외학사교류현황[2]편집
국가 | 교류대학 |
---|---|
미국 | 일리노이주립대학교(Illinois State University), 캘리포니아 주립 대학교 풀러턴(California State University, Fullerton), 벨헤이븐대학 (Belhaven College), 파이브타운즈대학(Five Towns College) |
중국 | 중국 전매대학(Communication University of China), 하얼빈 공업대학교, 연변대학교, 발해이공전문대학 |
러시아 | 쉐프킨 연극대학(Higher Theatre School Named After M.S. Schepkin), 게르첸 교육대학(The Herzen State Pedagogical University of Russia), 러시아국립영화대학(VGIK, 부기끄), 발틱대학교 |
영국 | 레이븐스본 디자인커뮤니케이션대학(Ravensbourne College of Design and Communication), 본머쓰대학교(Bournemouth University), 미들색스대학교(Middlesex University), 본빌 대학, 버트 앤 사우스 더비셔 대학(Burton & South Derbyshire College) |
태국 | 반솜데즈차오프라야 라자바트 대학(Bansomdejchaopraya Rajabhat University), 프라나콘 라자바트대학교(PNRU_Phranakhon Rajabhat University), 라자망갈라공업대학(프라나콘)(Rajamangala University of Technology Phra Nakhon), 라자망갈라공업대학(탄야부리), 라자망갈라공업대학(타완오크), 방콕대학교 (Bangkok University) |
베트남 | 하노이연극영화대학(Hanoi Academy of Theater and Cinema) |
필리핀 | 사우스웨스턴대학교 (Southwestern University) |
독일 | 쾰른국제영화학교(International Film School Koln)ifs |
프랑스 | 프랑스 국립 루이뤼미에르 영화영상대학교(Ecole Nationale Supérieure Louis-Lumière) |
인도네시아 | 머큐부아나대학(Mercu Buana University), 런던 PR 대학(The London School of Public Relations Jakarta) |
호주 | 퀸즐랜드 공과대학교(Queens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QUT) |
학생 주요 활동편집
DBS(Dong-Ah Broadcasting Station) 교내방송국
2010년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방송영상콘텐츠 창작기반구축 사업의 일환으로 시행한 "대학생방송창작콘텐츠지원사업"에 본교 교내방송국 DBS가 공모에 참여하여 선정된 기획안 <우리말(말모이)의 탄생>을 기반으로 제작된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이 같은해 10월 9일 한국교육방송공사(EBS)를 통해 방송됐다. 또한 본 다큐멘터리의 내용 및 방송 이미지 등은 교육전문 출판사 비상교육의 고등학교 검정 교과서인 "독서와 문법Ⅱ"에도 실렸다.
구분 | 내용 |
---|---|
타이틀 | 우리말 말모이의 탄생 (기획단계) / 우리말 모아모아 말모이 - 한글사전, 그 치열한 출생 보고서 |
주요내용 | 본 프로그램 우리말 사전의 편찬배경과 참여했던 한글학자들의 목숨을 건 사투와 같은 열정 그리고 일본제국주의의 방해와 6.25전쟁, 이승만 정부의 한글간소화 정책의 걸림돌을 뚫고 완성된 우리말 사전의 치열했던 출생보고서다. 세종대왕이 반포한 훈민정음은 연산군 시대에 사용이 금지되고, 그 후 450년간 여인들과 서민들을 통해 지켜진다. 조선 말기 갑오개혁 이후가 되어서야 고종황제가 칙령을 발표하면서 공식글자로 인정받게 된다. 한일합방은 한글의 역사에 큰 시련을 가져다준다. 일제는 우리말을 사용하지 못하게 함은 물론이고, 급기야는 창씨개명까지 강요한다. 36년 민족의 암흑기를 거치면서도 한글이 살아남을 수 있었던 데에는 학자들의 희생적인 노력이 있었다. 주시경 선생은 구한말 국어문법, 한글강습, 첫 한글사전 말모이의 편찬에 혼신의 노력을 기울인 한글학자였다. 훈민정음을 한글이라 이름짓고 띄어쓰기, 가로쓰기 등 오늘날 우리글의 기초를 만들었던 그는 일제에 독살되고, 수제자 역시 망명하면서 말모이 작업은 중단된다. |
제작스텝 | 글/구성 : 김지민 내레이션 : 장광, 윤승희 |
TV방영 | 한국교육방송공사 EBS 2010년 10월 9일 한글날 |
기타 | 본 사업은 한국콘텐츠진흥원 2010년 대학생 방송창작콘텐츠 제작지원사업으로 선정된 작품입니다.
본 다큐멘터리의 내용 및 방송 이미지 등은 교육전문 출판사 비상교육의 고등학교 검정 교과서인 "독서와 문법Ⅱ"에도 실렸다. |
- DIMArtist (디마티스트_DIMA+ARTIST)
- DIMArtist (디마티스트_DIMA+ARTIST)
본교 교내방송국 DBS에서 제작하는 음악 콘서트 프로그램으로 기획부터 제작, 방송송출까지 전과정이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진행되는 활동이다. 무대에 참여하는 가수와 세션역시 모두 본교 학생들로 구성되어 운영된다. 본 프로그램을 위해 학내 조명동아리 Light Factory, 음향제작과 SR팀, 메이크업 동아리 MAC 등이 지원한다.
횟수 | 날짜 | 장소 | 출연진 | 중계 및 송출 | 제작스텝 |
---|---|---|---|---|---|
1 | 2013년 4월 8일 | 기예관 HD스튜디오 | 변장호밴드 : 가을엔 낙엽처럼 겨울엔 눈처럼 박희량&이유진 : Sun and moon |
HD중계차 운용 |
M C : 신세원 HDTV중계차 |
2 | 2013년 5월 27일 | 본교 체육관 | 한소영 : 연애하자 그럴껄 : 몰랐어 |
HD중계차 운용 |
M C : 신세원 연출 : 김호열 촬영 : 곽지은, 김수정, 김규명, 신나리 |
3 | 2013년 10월 17일 | 운동장 특설무대 | 팽쇼 : little little (마호가니킹) 도쿠스틱 : 광대(리쌍) |
HD중계차 운용 |
기획 : 박경신 M C : 백승주 |
4 | 2014년 5월 14일 | 본교 체육관 |
그루버그루버 - who you are |
HD중계차 운용 유스트림 실시간중계 |
기획 : 박경신 M C : 서주혜 |
- 2014년 인천아시아경기대회 방송중계 스텝 참여
- 2014년 인천아시아경기대회 방송중계 스텝 참여
2014년 9월 19일부터 10월 4일까지 개최되었던 2014년 아시안 게임에 본교 졸업생 및 8월 졸업예정자, 재학생등이 대회 주관방송사인 IHB(Incheon Asian Games Host Broadcasting Management), KBS와 업무협력으로 방송중계, (영문)스크립터, LSM(Live Slow-motion) 오퍼레이션 등의 직종에 156명이 참여하여 대회예선과 본선에 대한 국제신호 프로그램 제작에 직접 참여하였다.
학교 동문편집
역대 역임 교수편집
각주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2017년도 대학개별공시정보”. 2014년 4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4월 11일에 확인함.
- ↑ “2014년도 대학개별공시 외국대학교류현황”. 2015년 7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7월 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 동아방송예술대학교 - 공식 웹사이트
* DIMA 입시안내 * DIMA 실습지원센터 * DIMA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Archived 2016년 3월 1일 - 웨이백 머신 * 캠퍼스TV * DIMA 평생교육원 |
* DIMA 산학협력단 * DIMA 종합촬영소 * DBS Facebook * DBS YouTub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