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안:두방

(두방에서 넘어옴)



두 방 杜邦{{일반인 정보}}

편집

''' 두 방 '''(杜邦, 생몰년도미상)는 고려 중기 [[전라북도]] [[김제시]] 지역(옛 만경현) 출신의 고려시대 정치가이며, 정2품 재상인 중서문하시랑(中書門下侍郞)평장사(平章事)를 역임했다.[1]



개요

편집

두 방 [ 杜 邦 ] 은 만경(萬頃)을 본관(本貫)으로 하는 두릉두씨5세조이다. 관직은 정2품재상인 중서문하시랑(中書門下侍郞)평장사(平章事)이다. 아들은 고려 명종조에 삼한후벽상공신에 제수되고,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낸 두경승이다.

[2]


가계

편집

두 방 [ 杜 邦 ] 은 두릉두씨5세조이다. 송(宋)나라에서 병부상서를 지낸 두경령(杜慶寧)의 5세손이다. 배(配)는 정부인(貞夫人) 남평문씨(南平文氏)이다.

아들 두경승은 고려 명종조에 삼한후벽상공신에 제수되고, 문하시중(門下侍中)·중서령(中書令)에 지냈다.[3]



활동 사항

편집

두 방 [ 杜 邦 ] 은 1110년 경인(庚寅) 보문각 진사(寶文閣進士)을 역임하였고, 고려 예종(睿宗)17년 정2품 재상인 중서문하시랑(中書門下侍郞)평장사(平章事)을 지냈다. 별세로 인하여 고려 조정에서 국내 4위산지(局內四圍山地) 석불산을 사패(賜牌) 평장관각으로 예장하였으나 이조 선조조 임진왜란 공신 고희에게 사패로 매몰되어 1615년경-1775년경까지 160여 년 동안 년례형사(年例亨祀) 못하고 망배(望拜) 하다가 1780년 두시화공 등이 매몰된 석물(3점) 등을 발굴하고 이장하였고 185년 후 1965년 炳根 熙宣 俊昌 承澤 炳辰 洪錫 玉均 日均 등 임원과 鎭烈공이 재각건립 취지서 작성 통보하여 성금으로 고희사당을 매입하여 재각(遠感齋)를 建立하고 宗畓을 마련했다. 그러나 후손들이 묘지를 빼앗긴 이유를 몰라 2018년 8월 鎭天공이 史學者 대동하여 조사하여 보니 고려 때 사패한 묘를 이조조 임진왜란 공신 고희에게 사패[高犧 杜思順 杜廷蘭 配 모두 坡平尹氏 사돈간] 고희 후손들이 매몰하여 묘 발굴 때 고씨 측에서 고소하여 시화공 진필공 기무공 등 40명이 현감 소환에 응한 문서를 고희 기념관에서 2019년 후손들이 찾아냈다. 두 방 [ 杜 邦 ] 의 아들 두경승장군은 고려시대에 서경유수 조위총난을 평정하고 삼한후벽상공신에 제수되고, 문하시중(門下侍中)·중서령(中書令)에 지냈다. [4] [5] [6]


묘소

편집

전라북도 부안군 하서면 청호리 석불산에 있다.[7]



평가

편집

두 방 [ 杜 邦 ]은 만경(萬頃)을 본관(本貫)으로 하는 두릉두씨5세조이다.[8]



참고문헌

편집

* 『고려사』 100권 열전13 두경승편

* 『고려사절요』

* 『동국여지승람』

* 『신증동국여지승람』

* 『동국여지지』

* 『만경읍지』( 조선시대 정조연간)

* 『김제군지』(김제군지편찬위원회, 1994)

* 『김제시사』(김제시사편찬위원회, 2000)

* 『전라 문화의 맥과 전북 인물』(전북 대학교 전라 문화 연구소, 1990)

* 『청백교직자 청담 두진열선생』(청담두진열선생추모문집발간위원회,2019)

* 두릉두씨 [杜陵杜氏]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 『두릉두씨 세보 [杜陵杜氏世譜]』 1898.

* 『두릉두씨 세보 [杜陵杜氏世譜]』 1925.


언론매체홍보

편집

*부안군 석불산 고려조 평장사 두방 묘역 유래( e-전라매일 2019.05.19일자)

* 특별기고-부안 석불산, 평장사 두방묘역 유래 ( 부안서림신문,2019년 5월29일자)

* 부안 석불산, '고려 공신 - 조선 공신' 사패지(부안인터넷신문,2022년 1월24일자)

*부안군 석불산 고려 평장사 두방 묘역 향토문화유산 추진 여론

( 전북도민일보 2023.06.11일자, 방선동기자)

(URL: https://www.do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28125)


분류

편집

[[분류:생몰년도 미상]]

[[분류:전라도 만경현출신]]

[[분류:고려중기 정치인]]

[[분류:고려중기 평장사]]

[[분류: 두경승장군의 부친]]

[[분류:두릉두씨]]

  1. 청담 두진열 선생 추모문집발간위원회 (지은이), 청담 두진열 선생 추모문집발간위원회 (지은이) (2019년 11월 22일). “청백 교직자 청담 두진열 선생”. 대학서림. 2024년 7월 21일에 확인함. 
  2. 김종서, 정인지 등, 김종서, 정인지 등 (1454년(단종 2) 10월). 《고려사》. 
  3. 이행, 윤은보, 신공제, 홍언필, 이사균, 이행, 윤은보, 신공제, 홍언필, 이사균 (1530년(중종 25)). 《『신증동국여지승람』》. 
  4. 『청백교직자 청담 두진열선생』(청담두진열선생추모문집발간위원회,2019)
  5. 『두릉두씨 세보 [杜陵杜氏世譜]』 1898.
  6. 두릉두씨 [杜陵杜氏]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7. 유형원, 유형원 (1656년). 《동국여지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8. 이행, 윤은보, 신공제, 홍언필, 이사균, 이행, 윤은보, 신공제, 홍언필, 이사균 (1530년). 《신증동국여지승람》. 한국민족문화대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