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부두루치기

두부두루치기는 두부를 돼지고기와 채소와 함께 볶듯이 끓여 조려내는 충청도 지역의 향토 음식이다.[1][2] 찌개와 볶음의 중간 종류라고 할 수 있다. 경상북도는 돼지고기를 주재료로 하고, 전라도의 두루치기는 쇠고기와 내장을 재료로 해서 만드는 반면에 충청도에서는 두부와 돼지고기를 주로 사용하여 두부 두루치기를 만들어 먹는다.

두부두루치기

어원 유래

편집

두루치기란 뜻은 '한 가지 물건을 여기저기 두루 쓰는 것'이나 “한 사람이 여러 방면에 능통함. 또는 그런 사람”이라는 뜻 즉 팔방미인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3] 따라서 두루치기 음식이란 두루두루 누구에게나 입맛에 맞는 음식이라는 뜻을 가져다는 설이 있다. 또 다른 설은 대전에 있는 '진로집'이라는 식당에서 유래했다는 설이다. 1969년에 시작한 이 식당에서는 손님들이 술안주로 만들어준 두부요리를 좋아해 주인에게 "두부를 맛있게 매쳐라, 두루 쳐 내와봐라"라고 주문하다가 이것이 '두부두루치기'로 변했다고 주장한다.[4]

요리법

편집

두부는 끓는 물에 데친 후 사방 5cm, 두께 1cm로 썰고, 돼지고기는 한입 크기로 썰어 청주, 후춧가루를 넣고 조물조물 버무려 재운다. 느타리 버섯은 밑동을 떼고 가닥가닥 찢고, 고구마와 당근은 1×4cm 크기 0.5cm 두께로 납작하게 썬다. 양파와 깻잎은 채 썰고, 대파는 어슷 썰고 풋고추와 홍고추는 어슷 썰어 씨를 제거한다.

뜨거운 물에 다시마를 넣고 우린 후 볼에 양념 재료와 다시마 물을 넣고 골고루 섞는다. 전골냄비에 고추기름 2큰술을 두르고 돼지고기를 볶다가 당근, 고구마, 양파, 느타리 버섯을 넣고 볶다가 양념 1/2분량을 넣고 어느 정도 끓인 후 두부, 대파, 홍고추, 풋고추를 올리고 나머지 양념장을 붓고 더 끓인다. 국물이 자작해지면 깻잎을 올리면 된다.[5]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문화일보] 한성우 교수의 맛의 말, 말의 맛, 주물럭과 두루치기
  2. 권도연, 진로집 두부두루치기, 입 안에 착 감기는 ‘추억의 매운맛’ , 충청투데이
  3. [이투데이] 알쏭語 달쏭思] 두루치기......두루치기는 ‘두루’와 ‘치다’의 명사형인 ‘치기’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말이다. 두루는 ‘빠짐없이 골고루’ 즉 ‘두루두루’라는 뜻이다. ‘치기’의 원형인 ‘치다’는 원래 “손이나 손에 든 물건으로 뭔가를 세게 부딪치게 하는 행위”를 이르는 동사인데 이로부터 파생하여 달리 ‘셈을 치다’에서처럼 “셈을 맞추다”, “계산에 넣다”라는 의미로도 쓰이고, 또 “…한 셈 치다”에서처럼 “어떠한 상태라고 인정하거나 사실인 듯이 받아들이다”라는 의미로도 쓰이는 말이다. 따라서 ‘두루 친다’는 ‘두루두루 맞추다’, ‘두루두루 한 셈 치다’라는 의미로서 ‘포괄적’, ‘종합적’이라는 개념이 들어 있는 말이다. 그러므로 국어사전은 ‘두루치기’를 “한 가지 물건을 여기저기 두루 씀. 또는 그런 물건”, “두루 미치거나 두루 해당함”이라고 풀이하고 있으며, 여기서 더 진화하여 “한 사람이 여러 방면에 능통함. 또는 그런 사람”이라는 뜻풀이도 하고 있다. 두루치기는 팔방미인이라는 뜻도 갖고 있는 것이다.
  4. 김태경, 최승철 <대한민국 돼지이야기> 펜앤팬 2021년, p243
  5. [네이버 지식백과] 두부두루치기 만드는 법 (쿡쿡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