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 브로이-봄 이론

물리학양자역학의 해석 방법 중의 하나로 양자역학의 해석방법에서 주류적인 코펜하겐 해석 이외의 해석방법 중의 하나이다. 봄 해석의 다른 이름으로는 파일럿 파동 이론, 봄 역학, 드 브로이-봄 이론, 인과률적 해석 등이 있다. 봄 해석에서는 여러 가지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파동함수 이외에 관측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존재하는 실재의 상태(configuration)를 가정한다. 이 상태(즉, 모든 입자의 위치 또는 모든 의 상태)의 시간에 따른 변화는 가이드 함수(guiding function)를 통하여 파동함수로 정의된다. 파동함수의 시간에 따른 변화는 슈뢰딩거 방정식으로 주어진다. 드 브로이-봄 이론은  루이 드 브로이(1892-1987)과 데이비드 봄(1917-1992)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 이론은 결정론적이고[1] 비국소적이다. 어느 한 입자의 속도는 가이드 함수의 값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이는 파동함수에 의하여 주어지는 의 상태에 의존한다. 또한 파동함수는 원칙적으로 우주전체에 해당하는 계의 경계 조건에 의하여 결정된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Bohm, David (1952). “A Suggested Interpretation of the Quantum Theory in Terms of 'Hidden Variables' I”. 《Physical Review》 85: 166–179. Bibcode:1952PhRv...85..166B. doi:10.1103/PhysRev.85.1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