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목어류(Anabantaria)는 조기어류 분류군의 하나이다.[1] 드렁허리목등목어목을 포함하고 있다.

등목어류
등목어 (Anabas testudineus)
등목어 (Anabas testudineus)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조기어강
상목: 극기상목
(미분류): 등목어류
(Anabantaria)
Betancur-R et al., 2014
  • 본문 참조

하위 분류 편집

계통 분류 편집

2016년 현재,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2]

극기류

납작금눈돔목

금눈돔목

얼게돔목

첨치목

두꺼비고기목

고등어목

실고기목

망둑어류

망둑어목

쿠르투스목

등목어류

등목어목

드렁허리목

전갱이류

오발렌타리아류

에우페르카리아류

다음은 베탕쿠르(Betancur)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3][4]

등목어류
등목어목
등목어아목

등목어과

헬로스토마과

버들붕어과

가물치아목

가물치과

아시아낙엽고기아목

프리스톨렙피스과

바디스과

아시아낙엽고기과

드렁허리목
걸장어아목

걸장어과

카우드후리아과

드렁허리아목

드렁허리과

인도스토무스아목

인도스토무스과


각주 편집

  1. Betancur-R., R., Wiley, E.O., Arratia, G., Acero P., A., Bailly, N., Miya, M., Lecointre, G. & Ortí, G. 2017.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BMC Evolutionary Biology 17(1): 162. DOI: 10.1186/s12862-017-0958-3.
  2. R. Betancur-R., E. Wiley, N. Bailly, A. Acero, M. Miya, G. Lecointre, G. Ortí; 외. (2016).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Version 4”. 《Deepfin》. 2020년 3월 12일에 확인함. 
  3. Ricardo Betancur-R., Richard E. Broughton, Edward O. Wiley, Kent Carpenter, J. Andrés López, Chenhong Li, Nancy I. Holcroft, Dahiana Arcila, Millicent Sanciangco, James C Cureton II, Feifei Zhang, Thaddaeus Buser, Matthew A. Campbell, Jesus A Ballesteros, Adela Roa-Varon, Stuart Willis, W. Calvin Borden, Thaine Rowley, Paulette C. Reneau, Daniel J. Hough, Guoqing Lu, Terry Grande, Gloria Arratia, Guillermo Ortí: The Tree of Life and a New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PLoS Currents Tree of Life. 2013 Apr 18, Edition 1. doi:10.1371/currents.tol.53ba26640df0ccaee75bb165c8c26288, PDF
  4. Betancur-R, R., E. Wiley, N. Bailly, M. Miya, G. Lecointre & G. Ortí. 2014.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Version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