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노타이프

라이노타이프(linotype)는 인쇄에 사용되는 금속활자를 만드는 기계의 상표명이다. 주조식자기(禱造植字機)라고도 한다.[1] 라이노타이프는 19세기 후반에서부터 1970년대 및 1980년대에 오프셋 리소그래픽 인쇄 및 컴퓨터 조판으로 대체할 때까지 신문,잡지,포스터 등의 인쇄 업계의 표준이었다. 기기의 이름은 한번에 금속 형태(type)의 전체 라인(line)을 제작하는 것에서 비롯되었으며, line-o'-type에서 변형되었다. 이전의 많은 조판 방식에 비해 상당한 개선이 되어있다.
라디오타이프 기계는 특히 신문 발행에 혁명을 가져왔으며, 비교적 적은 수의 운영으로 매일 여러 페이지의 조판을 시행할 수 있다. 1884년 메르겐탈러가 라이노타이프를 발명하기 이전의 일간 신문은 여덟 페이지 정도로 제한되었다.[2]
역사편집
라이노타이프는 1884년에 독일 출신 미국인 오트마르 메르겐탈러(Ottmar Mergenthaler, 1854~1899)가 발명하였다. 이후 1886년에 <뉴욕 트리뷴> 신문사에서 최초로 라이노타이프를 상업적으로 이용하기 시작했다. 이전에는 일일이 손으로 활자를 조립하고 분해해왔다. 이후 뉴욕 트리뷴의 인쇄소에서 이 기계를 간행물과 책 발행에 사용되었다. 새로운 라이노타이브 방법으로 구성된 책은 The Tribune Book of Open-Air Sports였다.[3]
라이노타이프 방식의 라인캐스팅(linecasting)기계는 메르겐탈러 라이노타이프 회사(en:Mergenthaler Linotype Company)에서만 유일하게 생산해왔으나, 1914년 비슷한 방식의 인터타입(en:Intertype Corporation)에서 라이노타이프 비슷한 형태의 라인캐스팅 기계를 생산하면서 경쟁구도를 형성하였다.
이후 라이노타이프와 유사한 "뜨거운 금속(hot metal)" 조판 기계는 1970년대와 1980년대에 걸쳐 사진 식자 방식으로 대체되고, 이후 컴퓨터 조판 및 페이지 구성 시스템으로 대체되었다.
구성요소편집
라이노타이프 기계는 크게 4개의 주요 구성요소가 있다.:[4]
- 매거진 (Magazine)
- 타자기 (Keyboard)
- 주조 기구 (Casting mechanism)
- 분배 기구 (Distribution mechanism)
작업자는 타자기를 통해 텍스트 행을 구성하여 장비와 상호 작용을 한다. 그 외 부분은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한 행이 완성이 될 때 시작된다.
원리편집
작업자가 타자기의 글쇠를 누를 때 마다 해당 글자가 새겨진 놋쇠 모형이 기계 상단의 매거진에서 내려와서 90개의 세로 홈통을 따라 내려와 한 행에 나란히 놓인다. 한 행이 완성되면 주조 작업으로 넘어간다.
주조 작업에서는 녹인 금속을 완성해놓은 한 행의 주형물에 붓는다. 주로 사용되는 금속으로 납이 있다. 이후 녹여낸 금속이 식으면 글자가 앞으로 돌출된 좁은 막대의 활자가 되며, 이것을 슬러그(slug)라고 부른다. 슬러그는 '게라'라는 상자가 담기고, 빈 주형물은 다시 원래 위치로 돌려낸다. 인쇄를 끝낸 슬러그는 녹여서 다시 사용한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기계공학사전편찬위원회 (1995. 3. 1.). 《기계공학용어사전》. 한국사전연구사.
- ↑ Lyle L. Miller (1959), 《Maintaining Reading Efficiency》, Holt, 34쪽: "The snailpaced process took so many men and so much type that daily newspapers were limited to eight pages".
- ↑ Nelson, Randy F (1981), 《The Almanac of American Letters》, Los Altos, CA: William Kaufmann, 286쪽, ISBN 0-86576-008-X.
- ↑ a chapter 1 Archived 2016년 3월 3일 - 웨이백 머신, page 3.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Linotype: The Film – In Search of the Eighth Wonder of the World (Doug Wilson, 2012) is a feature-length documentary centered around the Linotype type casting machine.
- The Printing (Holmes Burton Films Inc., 1947) documentary about linotype tech. in printing industry
- Metal Type—"For Those who Remember Hot Metal Typesetting"
- Intertype Book of Instruction is a complete manual on the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the Intertype linotype machines
- Linotype Machine on Woodsidepress.com
- Linecast typesetting service at linotypesetting.com
- Typesetting: Linotype vocational instruction film: part 1 and part 2.
- Video of a Linotype being operated in Iowa - 유튜브
- 1/13/1894;The Linotype a Machine To Supersede Typesetting
- The 1966 Automatically Controlled Elektron (ACE) Linotype, Teletype, Intertype and more
- Linotype machine patents
- E-book “Linotype – Chronik eines Firmennamens” (in German); (“Linotype – Chronologie of a Company Name”)
이 글은 기술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이 글은 타이포그래피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