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티너 로베이츠

마르티너 로베이츠(네덜란드어: Martine Robbeets, 1972년 10월 24일~)는 벨기에 출신의 언어학자트랜스유라시아어족역사를 연구하고 있다. 한국어일본어족, 몽골어족, 튀르크어족, 퉁구스어족과 같은 트랜스유라시아어족에 속한다고 주장하는 언어학자 중 한 명이다.

마르티너 로베이츠
Martine Robbeets
성별여성
국적벨기에
직업언어학자
학문적 배경
학력레이던 대학교 비교언어학
웹사이트[[1] www.shh.mpg.de/102461/martine_robbeets%20Dr.%20habil.%20Martine%20Robbeets]]

직위

편집

현재 독일 예나 시에 소재한 막스 플랑크 인류역사과학 연구소에 그룹 리더로서 재직하고 있으며, 독일 마인츠 대학교의 명예교수를 겸하고 있다.

교육

편집

레이던 대학교에서 비교언어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같은 학교에서 한국학 석사학위를, 뢰번 가톨릭 대학교에서 일본학 석사학위를 받기도 했다.

연구

편집

2017년에 발표한 연구를 통하여 로베츠는 한국어와 일본어가 트란스유라시아계(원시-알타이어계)로부터 유래했다고 주장하였다. 그녀는 터키어와 몽골어, 퉁구스어, 한국어, 일본어의 공통 조상어 사용자들이 만주 북서부 지역에 살았다고 말하며 이 트란스유라시아계(원시-알타이어계) 언어를 사용한 한 집단이 현재 중국의 랴오닝성 위치로 이주하여 거기에 거주하고 있던 오스트로네시아계 언어를 사용하는 농경 집단과 융합되었다고 보며, 여기서 원시 한국어와 원시 일본어가 파생했다고 주장한다.[1][2]

그녀는 2021년 11월에 네이쳐를 통하여 언어 및 유전자 연구를 통하여 트란스유라시아계 언어의 발생과 분화에 대한 더욱 진전된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3]

저서

편집
  • Robbeets, M.; Savelyev, A.: Language dispersal beyond farming. John Benjamins Publishing, Amsterdam (2017)
  • Robbeets, M.: Diachrony of verb morphology: Japanese and the Transeurasian languages. de Gruyter Mouton, Berlin (2015)
  • Robbeets, M.; Bisang, W. (Eds.): Paradigm change: in the Transeurasian languages and beyond. Benjamins, Amsterdam (2014)
  • Robbeets, M.: Is Japanese related to Korean, Tungusic, Mongolic and Turkic? Harrassowitz, Wiesbaden (2005)

각주

편집
  1. Martine Irma Robbeets (2017): "Austronesian influence and Transeurasian ancestry in Japanese: A case of farming/language dispersal". Language Dynamics and Change, volume 7, issue 2, pages 201–251, doi:10.1163/22105832-00702005
  2. Martine Irma Robbeets (2015): Diachrony of verb morphology – Japanese and the Transeurasian languages. Mouton de Gruyter.
  3. https://www.nature.com/articles/d41586-021-03037-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