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만베쓰 공항
메만베쓰 공항(일본어: 女満別空港, 영어: Memanbetsu Airport, IATA: MMB, ICAO: RJCM)은 일본 홋카이도 아바시리군 오조라정에 있는 지방관리 공항으로 오호츠크해 연안의 아바시리시 중심부에서 남서쪽으로 약 22km 지점에 있으며 오호츠크 종합진흥국의 주요 공항이다.
메만베쓰 공항 Memanbetsu Airport | ||||||
---|---|---|---|---|---|---|
IATA: MMB - ICAO: RJCM | ||||||
개요 | ||||||
공항종별 | 민간 | |||||
시간기준 | 일본 표준시 | |||||
운영기관 | 홋카이도 | |||||
지역 | 아바시리군 | |||||
위치 | ![]() 아바시리군 오조라정 | |||||
해발고도 | 41 m / 135 ft | |||||
좌표 | 북위 43° 52′ 50″ 동경 144° 9′ 50″ / 북위 43.88056° 동경 144.16389° | |||||
웹사이트 | ||||||
지도 | ||||||
활주로 | ||||||
방향 | 면적(m*m) | ILS | 표면 | |||
길이 | 폭 | |||||
18/36 | 2500 | 45 | YES | 아스팔트 | ||
World Aero Data |
역사
편집메만베쓰 공항은 1935년 3월 중앙기상대에서 기상과 유빙의 관측을 위해 당시 경마장으로 사용되고 있던 부지에 500m 활주로를 갖춘 비행장을 건설한 것이 그 기원이다.
이후 1936년 6월에는 활주로가 600m로 연장되었으며 1942년 일본 제국 해군항공대가 시설을 정비하여 비호로 제2항공기지(美幌第二飛行基地)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의 폭격에 공항 시설은 대부분 폭파되었으며 1952년 11월에야 미군이 공항 시설을 접수한 후 시설을 정비하여 불시착용 시설로서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후 1956년 4월에 시설 일부가 일본으로 다시 반환되었으며 이에 따라 같은해 6월부터 기타니혼 항공(北日本航空)에서 메만베쓰 ~ 삿포로(오카다마) 노선에 부정기편을 운항함으로서 최초의 민간 여객 운송이 시작되었다.
1958년에는 모든 시설의 관리권이 미군으로부터 오조라정으로 이관되었고 같은 해 12월부터는 F급 제3종 공항으로 사용이 시작된 뒤 1961년에 관리 주체가 오조라정에서 홋카이도로 다시 이관되었으며 1963년에는 활주로를 1,200m까지 확장한 이후 제3종 공항으로 정식 개항했다.
그리고 1965년에는 기타니혼 항공을 전신으로 하는 일본 국내 항공에서 메만베쓰 ~ 삿포로(오카다마) 노선을 정기편으로 승격시킴에 따라 메만베쓰 공항의 첫 정기편 운항이 시작되었다.
운항 노선
편집국내선
편집항공사 | 목적지 |
---|---|
일본항공 | 도쿄(하네다), 삿포로(신치토세) |
전일본공수 | 삿포로(신치토세) |
AIRDO | 도쿄(하네다) |
외부 링크
편집- (일본어) 메만베츠 공항 공식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