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유올리고당

모유올리고당(HMO human milk oligosaccharide)은 모유에 함유되어 있는 올리고당으로, 인간모유에만 고농도로 함유되어 있다.

정의/요약

편집

모유올리고당(HMO)은 유당지방 다음으로 모유에서 세 번째로 많은 성분이다.[1]

모유올리고당(HMO)은 모유에 9.9–24.9 g/L의 농도로 존재한다. 모유올리고당(HMO)의 종류는 약 200여종으로 모유에 함유된 모유올리고당(HMO)의 양과 종류는 여성 개개인에 따라 또는 수유 기간에 따라 다르다. 올리고당의 80% 우세한 성분인  2'- fucosyllactose(2’FL 투에프엘)는 인간의 모유에 대략 2.5g/L 존재한다.[2]

특징

편집

모유에 함유된 모유올리고당(HMO)은 아이의 영양분으로 사용되지 않고 장까지 소화되지 않은 채로 내려간다.

장까지 간 모유올리고당(HMO)은 prebiotic 효과가 있어 아이의 장에 서식하는 유익균, 그 중에서도 건강한 아이에게 많은 bifidobacteria의 먹이로 사용된다.[3]

그리고 장에서 병원성 세균과 바이러스를 감소시켜 장내 건강한 미생물 군집을 조성하고 장에 관련한 질병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모유올리고당(HMO)은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 감염의 위험을 현저히 낮춰 설사와 호흡기 질환에 걸릴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모유올리고당(HMO)의 보호 기능은 특정 박테리아나 바이러스와 같은 특정 병원체와 접촉할 때 활성화된다. 박테리아와 바이러스는 장 세포 표면에 위치한 glycan 수용체에(인간 세포 표면에 당분자들로 연결된 긴 사슬형태로 구성된 수용체 스스로를 결합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 이렇게 장 점막에 결합하여 세포를 감염시킨다.

연구자들은 모유올리고당(HMO)이 이러한 glycan(글리칸)수용체를 모방하여 병원체가 장 세포가 아닌 모유 올리고당(HMO)과 결합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모유올리고당(HMO)은 글리칸수용체인 척 병원균과 결합하여 결합된 병원성균을 체외로 배출시킴으로써 병원성균 감염의 위험을 줄인다.[4][5]

이 외에도 모유올리고당(HMO)은  염증 반응 을 줄이는 방식으로 면역계의 특정 세포의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4][6]

또한 모유올리고당(HMO)은  미숙아의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인 괴사성 장염 (NEC)에 감염될 위험을 줄이는 것으로 밝혀졌다.[4]

일부 대사-산물 은 신경계와 뇌에 직접 영향을 미치며, 장기적으로 어린이의 발달과 행동에 영향을 준다. 특정 모유올리고당(HMO)은 어린이에게 시알산을 공급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시알산은 아이의 두뇌 발달과 지적능력에 필수적인 영양소이다.[4][6]

모유올리고당(HMO)은 모유의 중요하고 필수적인 성분으로 모유 수유를 하지 않는 아기를 위해 이유식의 보충제로 사용된다.[7]

최근 연구에 따르면, 모유올리고당(HMO)이 성인 장내 미생물 (특히 비피도박테리아)의 총 균수를 증가시키고 비피도박테리움이 장에 잘 부착이 되게 도와 장벽을 튼튼하게 만들어 준다. 그리고 모유올리고당(HMO)을 섭취하면 체내에 있는 병원균, 노로바이러스, 슈도코로나와 결합하여 배변으로 배출 시켜 면역기능을 강화 시킨다고 밝혀졌다.[8][9][1]

진화

편집

생후 며칠된 건강한 신생아의 장에는 Bifidobacterium이 우점한다고 한다.

모유의 HMO는 아기의 영양분이 아니라, 아기의 장에 서식하는 유익균, 그 중에서도  Bifidobacterium의 먹이가 되기 위해 모유에 함유되어 있다.

장내 유익균들을 대상으로 모유올리고당(HMO)을 얼마나 잘 분해하는지 알아보는 실험을 하였을 때, 모유올리고당(HMO)을 가장 잘 이용한 것은'' Bifidobacteria longum spp. infantis''였다. 이름에서도 아기라는 뜻의 infant를 알려주듯, 아이에게 중요한 균주로 아이의 괴사성 장염을 감소시키고, 염증 억제도 시키는 모유올리고당(HMO)과 뗄 수 없는 중요한 유익균이다.[10]

유래 및 대규모 생산

편집

1900년경 유럽의 영아 사망률(1년생 1000명당 사망)은 20% 이상으로 매우 높았다. 모유를 먹지 않은 영아에서 사망률이 특히 높았으며 모유를 먹인 영아보다 조제분유를 먹인 영아에서 7배 더 컸다.

모유 수유와 조제분유를 먹은 영아의 대변에서 세균 구성의 차이가 발견되었고, 모유 수유한 영아는 장내에 대량의 비피도박테리아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모유 수유한 영아가 더 건강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1930년대에 올리고당은 모유에서 가장 중요한 bifidogenic인자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그 구조가 너무 복잡해서 최근에서야 과학자와 산업계가 모유와 구조적으로 동일한 최초의 올리고당을 생산할 수 있었다.[2]

현재 모유올리고당(HMO)을 생산할 수 있는 곳은 세계 5곳이 있으며, 아시아에서는 유일하게 한국에서만 산업적 생산이 가능하다.[2]

각주

편집
  1. Chen, Xi (2015). “Human Milk Oligosaccharides (HMOS): Structure, Function, and Enzyme-Catalyzed Synthesis”. 《Advances in Carbohydrate Chemistry and Biochemistry》 72: 113–190. doi:10.1016/bs.accb.2015.08.002. ISSN 2162-5530. PMID 26613816. 
  2. Vandenplas, Yvan; Berger, Bernard; Carnielli, Virgilio Paolo; Ksiazyk, Janusz; Lagström, Hanna; Sanchez Luna, Manuel; Migacheva, Nathalia; Mosselmans, Jean-Marc; Picaud, Jean-Charles (2018년 8월 24일). “Human Milk Oligosaccharides: 2'-Fucosyllactose (2'-FL) and Lacto-N-Neotetraose (LNnT) in Infant Formula”. 《Nutrients》 10 (9). doi:10.3390/nu10091161. ISSN 2072-6643. PMC 6164445. PMID 30149573. 
  3. Le Doare, Kirsty; Holder, Beth; Bassett, Aisha; Pannaraj, Pia S. (2018년 2월 28일). “Mother’s Milk: A Purposeful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Infant Microbiota and Immunity”. 《Frontiers in Immunology》 9. doi:10.3389/fimmu.2018.00361. ISSN 1664-3224. PMC 5863526. PMID 29599768. 
  4. Bode, Lars (2012년 9월). “Human milk oligosaccharides: Every baby needs a sugar mama”. 《Glycobiology》 22 (9): 1147–1162. doi:10.1093/glycob/cws074. ISSN 0959-6658. PMC 3406618. PMID 22513036. 
  5. “abbottnutrition” (PDF). 
  6. NEWBURG, DAVID S.; HE, YINGYING (2015년 12월 1일). “Neonatal Gut Microbiota and Human Milk Glycans Cooperate to Attenuate Infection and Inflammation”. 《Clinical Obstetrics and Gynecology》 58 (4): 814–826. doi:10.1097/GRF.0000000000000156. 
  7. Vandenplas, Yvan; Berger, Bernard; Carnielli, Virgilio Paolo; Ksiazyk, Janusz; Lagström, Hanna; Sanchez Luna, Manuel; Migacheva, Nathalia; Mosselmans, Jean-Marc; Picaud, Jean-Charles (2018년 8월 24일). “Human Milk Oligosaccharides: 2'-Fucosyllactose (2'-FL) and Lacto-N-Neotetraose (LNnT) in Infant Formula”. 《Nutrients》 10 (9). doi:10.3390/nu10091161. ISSN 2072-6643. PMC 6164445. PMID 30149573. 
  8. Šuligoj, Tanja; Vigsnæs, Louise Kristine; Abbeele, Pieter Van den; Apostolou, Athanasia; Karalis, Katia; Savva, George M.; McConnell, Bruce; Juge, Nathalie (2020/9). “Effects of Human Milk Oligosaccharides on the Adult Gut Microbiota and Barrier Function”. 《Nutrients》 (영어) 12 (9): 2808. doi:10.3390/nu12092808. 
  9. Derya, Sami M.; Spiegel, Holger; Hanisch, Franz-Georg; Morozov, Vasily; Schroten, Horst; Jennewein, Stefan; Parschat, Katja (2020년 7월 20일). “Biotechnologically produced fucosylated oligosaccharides inhibit the binding of human noroviruses to their natural receptors”. 《Journal of Biotechnology》 (영어) 318: 31–38. doi:10.1016/j.jbiotec.2020.05.001. ISSN 0168-1656. 
  10. Wickramasinghe, Saumya; Pacheco, Alline R.; Lemay, Danielle G.; Mills, David A. (2015년 8월 25일). “Bifidobacteria grown on human milk oligosaccharides downregulate the expression of inflammation-related genes in Caco-2 cells”. 《BMC Microbiology》 15. doi:10.1186/s12866-015-0508-3. ISSN 1471-2180. PMC 4548914. PMID 263039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