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음
소리의 부재


무음(無音)은 소리의 부재, 곧 들리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침묵이라고도 한다. 주변에서 들을 수 있는 소리가 없거나, 주의를 끌지 못할 정도로 낮은 강도의 소리가 방출되거나, 소리 생성이 중단된 상태이다. 후자의 의미는 말이나 다른 매체를 통한 의사소통 형태의 중단 또는 부재에 적용되도록 확장될 수 있다.[1]

의식에서는 상대적으로 긴 침묵의 간격을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종교 분야에서 사람들은 영적 변화를 위한 금욕적 수단으로 오랜 기간 동안, 심지어 남은 생애 동안 침묵을 유지한다.
소리를 내지 말라는 의미로 '쉿' 또는 '쉬'라는 감탄사를 사용한다.
예시
편집영화
편집음악
편집법
편집언어
편집연극
편집음향학
편집선불교
편집정신의학
편집관련 논문
편집- 서동은, 〈철학 상담에 있어 침묵의 역할에 대하여〉, 《현대유럽철학연구》 28, 한국하이데거학회, 2012년
- 문영식, 〈아우구스티누스의 능변과 침묵〉, 《철학논총》 94, 새한철학회, 2018년
- 석형락, 〈못 들은 척과 침묵 -김유정 문학에서 듣기의 양상과 그 의미〉, 《현대소설연구》 88, 한국현대소설학회, 2022년
- 김영진, 〈유마경의 격발성 언어 기교와 침묵의 대화법〉, 《동아시아불교문화》 59,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3년
- 문희경, 〈그림책에 나타난 침묵의 미학적 기능 연구〉, 《한국아동문학연구》 47, 한국아동문학학회, 2023년
- 백은미, 〈여성의 영적 성숙을 위한 침묵 수행〉, 《신학과 실천》 91, 한국실천신학회, 2024년
- 고대유·한명성, 〈집단주의 문화 및 조직 특성을 통한 침묵 유형 간의 차별성 조명- 체념적・방어적 침묵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 《한국지방행정학보》 22-1, 한국지방행정학회, 2025년
- 김화경, 〈초연결 사회와 과잉의 디스토피아 - ‘침묵하기’를 통해 살펴본 인간다움에 대한 질문 -〉, 《동학학보》 73, 동학학회, 2025년
- 조홍진, 〈‘침묵’의 해석 - 사회사/역사사회학의 사료에서 드러나지 않는 목소리와 그 함의〉, 《사회와 역사(옛 한국 사회사학회 논문집)》 145, 한국사회사학회, 2025년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Silence | Define Silence at Dictionary.com”. Dictionary.reference.com. 2013년 8월 15일에 확인함.
이 글은 철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이 글은 문화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