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병자리 오메가2

물병자리 오메가2는 천구 적도 근처 물병자리 방향에 있는 삼중성계이다. ‘오메가’는 바이어 명명법에 따라 표기한 것이다.[7] 겉보기 등급은 4.49로 맨눈으로 볼 수 있다.[3] 이 별까지의 거리는 히파르코스 위성이 수집한 시차 자료에 따르면 약 149광년이다.[2]

물병자리 오메가2
명칭
다른 이름 물병자리 105, BD–15 6476, FK5 894, 글리제 9836, HD 222661, HIP 116971, HR 8988, SAO 165842.[1]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
별자리 물병자리
적경(α) 23h 42m 43.34473s[2]
적위(δ) –14° 32′ 41.6523″[2]
겉보기등급(m) 4.49[3]
위치천문학
연주시차 21.96 ± 0.26 밀리초각[2]
성질
분광형 B9 V[4]
추가 사항
표면온도 10,504 ± 91 켈빈[5]
표면 중력 (log g) 4.22 ± 0.03[5]
자전 속도 148 km/s[6]
항성 목록

겉보기등급순 · 절대등급순
거리순 · 질량순 · 반지름순

오메가2 항성계에서 가장 밝은 주성은 무겁고 밝은 분광형 B9 V의 B형 주계열성이다.[4] 이 별의 반지름은 태양의 두 배에 이르고[5] 적도에서의 자전 속도는 초당 148 킬로미터로 태양의 74배 정도이다.[6] 항성의 외곽 대기 유효 온도는 약 10,504 켈빈으로 우리 눈에 청백색 빛을 뿜는 것처럼 보인다.[5][8]

주성으로부터 가까이 붙어 돌고 있는 제1 짝별은 그 분광형이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다. 주성으로부터 5.7초각 떨어져 있는 제2 짝별은 분광형 K의 주계열성이며 겉보기 등급은 9.5이다.[7] 오메가2 항성계는 태양으로부터 163광년 이내에 있는 100개의 강력한 엑스선원 중 하나이다. 오메가2 항성계가 뿜는 엑스선의 밝기는 초당 1.2 × 1030 에르그이다.[9]

참고 문헌 편집

  1. “105 Aqr -- Star in double system”,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08년 5월 16일에 확인함. 
  2. van Leeuwen, F. (2007년 11월),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3. Nicolet, B. (1978), “Photoelectric photometric Catalogue of homogeneous measurements in the UBV System”, 《Astronomy and Astrophysics Supplement Series》 34: 1–49, Bibcode:1978A&AS...34....1N. 
  4. Houk, Nancy (1978), 《Michigan catalogue of two-dimensional spectral types for the HD stars》 4, Ann Arbor: Dept. of Astronomy, University of Michigan, Bibcode:1988mcts.book.....H. 
  5. Fitzpatrick, E. L.; Massa, D. (2005년 3월), “Determin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B Stars. II. Calibration of Synthetic Photometry”, 《The Astronomical Journal》 129 (3): 1642–1662, arXiv:astro-ph/0412542, Bibcode:2005AJ....129.1642F, doi:10.1086/427855. 
  6. Royer, F.; Zorec, J.; Gómez, A. E. (2007년 2월), “Rotational velocities of A-type stars. III. Velocity distributions”, 《Astronomy and Astrophysics》 463 (2): 671–682, arXiv:astro-ph/0610785, Bibcode:2007A&A...463..671R, doi:10.1051/0004-6361:20065224. 
  7. Eggleton, P. P.; Tokovinin, A. A. (2008년 9월), “A catalogue of multiplicity among bright stellar system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89 (2): 869–879, arXiv:0806.2878, Bibcode:2008MNRAS.389..869E, doi:10.1111/j.1365-2966.2008.13596.x. 
  8. “The Colour of Stars”, 《Australia Telescope, Outreach and Education》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12-21, 2004, 2012년 3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월 16일에 확인함. 
  9. Makarov, Valeri V. (2003년 10월), “The 100 Brightest X-Ray Stars within 50 Parsecs of the Sun”, 《The Astronomical Journal》 126 (4): 1996–2008, Bibcode:2003AJ....126.1996M, doi:10.1086/378164.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