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베트남 전쟁 개입 반대 시위

미국의 베트남 전쟁 개입 반대 시위 (영어: Opposition to United States involvement in the Vietnam War), 줄여서 베트남 전쟁 반대 시위는 1965년 미국의 베트남 전쟁 개입이 확대되는 것에 반대하는 시위로 시작되어, 이후 수년간 미국 본토와 세계 각국에서 진행된 대규모 사회 운동이다. 1960년대 말~1970년대 초 베트남 전쟁이 본격화되는 과정에서 종전과 관련하여 미국 사회의 여론이 양극화되는 동시에 활발한 논쟁이 이루어진 운동이기도 하다.

미국의 베트남 전쟁 개입 반대 시위
1960년대 반문화, 베트남 전쟁, 냉전의 일부
1967년 10월 21일 펜타곤 행진 당시 군인과 대치중인 시위대
날짜1965년 1월 28일~1973년 3월 29일
지역미국을 비롯한 전세계 여러 국가
원인미국의 베트남 전쟁 참전
목적
  • 미국의 징병제 폐지
  • 미군의 베트남 철수
결과
  • 미국의 징병제 폐지
  • 파병군 사기 저하
  • 린든 B. 존슨 행정부 임기 끝
  • 미국 선거연령 18세로 인하
  • 미군의 베트남 철수

미군의 베트남 파병은 1950년 중국 공산군에 맞서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를 지원하면서 시작됐다. 1964년 8월 통킹만 결의안이 미 의회에서 통과된 이래 미국은 로버트 맥나마라 전 국방장관의 계획 아래 본격적인 군사 개입에 나서, 1965년 3월 8일 첫 미군 파병부대가 베트남에 도착하게 되었다. 그러나 1967년 갤럽 여론조사에서 베트남의 군사 개입이 실수라고 생각하는 여론이 다수를 차지하였으며,[1] 반전시위도 1960년대 말까지 확산되어 갔다.

1968년 베트남 전쟁 종식과 징병제 폐지를 공약으로 내건 리처드 닉슨 후보가 미국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닉슨 대통령은 반전 여론에 힘입어 1969년 4월부터 베트남에 주둔중인 미군을 철수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1970년 4월 캄보디아로의 전선 확대 방안이 발표되면서 반전 시위가 급증하였으며, 1971년 6월에는 미국의 군사개입 관련 기밀문서인 펜타곤 페이퍼의 유출로 전쟁의 정당성에 의문을 더했다. 1972년 말을 끝으로 징집이 중단되었으며 1973년 3월 베트남에 주둔하던 최후의 미군 부대가 철수함으로서 미국의 베트남 전쟁 개입은 막을 내렸다.

반전 운동이자 평화 운동의 성격을 띄었던 미국 내 반베트남 전쟁 시위는 대부분 반체제 성향의 청소년과 아이들 그리고 어머니들이 주를 이루었으며, 이후 흑인 민권 운동2세대 여성주의 운동, 치카노 운동, 노동조직 운동 등과 맞물려 크게 확대되었다. 여기에 교사, 성직자, 학자, 언론인, 변호사, 의사, 퇴역 군인 등의 다양한 사회계층에서도 시위에 동조하였다. 평화롭고 비폭력적인 시위가 주를 이뤘으며, 처음부터 공격적이거나 폭력적인 시위는 거의 벌어지지 않았다. 반대로 시위 진압에 나선 경찰이 평화적인 시위대를 향해 폭력적인 대응을 벌이기도 했다.

배경

편집

원인

편집
 
1967년 캔자스주 위치타의 베트남 전쟁 반대 시위

1965년 이후 미국 내 반전시위를 이끌어낸 원인은 바로 징병제로서 소수계층과 중산층·빈곤층 백인을 대상으로 하고 있었다. 징병제 반대 여론층 가운데 양심적 병역거부자들은 극소수임에도 불구하고 반전시위에 적극적인 역할을 했다. 여기에 징병제 시행은 부당하다는 인식이 널리 퍼지면서 학생층과 블루칼라 계층도 미국의 징병 제도에 대한 반대를 불러일으켰다.

반전 시위가 무르익던 시기는 표현의 자유 운동흑인 민권 운동에 이어 전례 없는 학생 운동이 벌어지던 시기였다. 징병제의 대상은 당시 젊은층인 베이비붐 세대가 주로 동원되었으나 점차 다양한 계층이 관여하게 되었다. 베트남 전쟁에 대한 반대여론이 커진 것에는 베트남 현지의 실상을 알려주는 TV방송으로 미검열 정보를 더 많이 접할 수 있게 되었던 것도 일부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반전 시위자들은 징병제 외에도 전쟁 자체가 도덕적인 면에서 부당하다는 주장도 펼쳤다. 일찍이 1954년 5월 디엔비엔푸의 프랑스군이 패배한 직후 퀘이커 봉사위원회뉴욕타임스의 한 페이지를 구매하여 미국이 인도차이나에 개입하려는 행보에 반대하는 광고를 게시하였다. 이는 미국이 다시 전쟁에 돌입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었다.[2] 전쟁에 반대하는 도덕적 의무론은 미국 대학생들 사이에서 널리 지지를 얻었는데, 미국의 일반대중보다 베트남에서 제국주의적 목적을 지니고 있다고 비난하고, 따라서 부도덕한 전쟁이라 주장하는 경우가 많았다.[3] 여기에 서방 언론이 깊게 다루지 않거나 무시했던 민간인 피해 역시, 사상자의 사진이 배포되면서 시위 대상이 되었다. 특히 구정 대공세 당시 응우옌응옥로안 장군이 테러리스트로 추정되는 인물에게 수갑을 채워 총을 쏘는 악명 높은 사진도 대중의 시위 열기에 한몫했다.[4]

미국의 반전 시위에서 내건 또다른 주장은 베트남 개입의 명분으로 들었던 도미노 이론공산주의의 위협이 논리적으로 정당하지 않다는 것이었다. 일각에서는 공산주의의 위협이 제국주의 의도를 숨기기 위한 희생양이라고 보았고, 또 한편에서는 남베트남에 대한 미국의 개입이 국가의 자결권을 침해했으며 베트남 전쟁은 마땅히 내전으로 치러져야 한다고 보는 시각도 있었다. 미국이 타국에 간섭하여 그 운명을 결정하는 것 자체가 부당하다는 것이다.[4]

TV 방송이 전장의 생생한 모습을 미국 내 시청자들에게 전달되면서 언론의 전쟁 보도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도 흔들리기 시작했다. NBC의 프랭크 맥기(Frank McGee) 등은 베트남 전쟁 자체가 "사실로부터 벗어날 수 없다는 결론이 도출되어버렸으므로" 패배하게 된 셈이라고 밝혔다.[4] 특히 베트남 전쟁은 미국 역사상 처음으로 방송 매체가 전장의 풍경을 내보낼 수 있는 계기로 작용했다. 야간 뉴스에 등장하는 미군 사상자의 생생한 모습은 전쟁의 영광에 대한 신화를 없애 버렸다. 베트남 전쟁에서 승리의 조짐이 그다지 보이지 않는 가운데 보여지는 미군 사상자가 미국 국민들에게 반전 의식을 불러일으키는 데 일조했던 것이다. 에드워드 S. 허맨노엄 촘스키는 저서를 통해 언론매체가 전쟁에 영향을 얼마나 미쳤는가에 대한 주류 관점을 배제하고, 언론매체가 수백만 명의 무고한 사람들의 죽음과 전투의 적나라한 풍경을 검열한다는 설을 내세웠다.

여론 양극화

편집
 
1967년 워싱턴 DC에서 베트남 전쟁 시위자를 끌고 가는 미국 보안관

미국의 정신이 독살되어 버린다면, 그 부검 보고서에는 '베트남'이란 단어가 담겨 있을 것이다.
If America's soul becomes totally poisoned, part of the autopsy must read "Vietnam."

베트남 전쟁을 놓고 미국 사회의 여론은 양극화되었다. 미국의 개입을 지지하는 측에서는 이른바 도미노 이론을 그 이유로 삼는 경우가 많았다. 도미노 이론이란 어느 국가가 공산주의에 무너지면 그 접경국들도 도미노가 무너지듯 공산주의의 손에 넘어가게 될 것이라는 이론으로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동유럽이 공산주의 체제로 전락하고 소련의 영향권으로 편입되었다는 점에서 널리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베트남 전쟁을 평가한 군사평론가들은 베트남 전쟁이 정치적이며 군사 작전에 목표 실현을 위한 명확한 방안이 결여되어 있다고 지적했다. 전쟁을 비판하는 민간인들은 남베트남 정부의 정치적 정당성이 부족하다는 주장을 하거나, 전쟁을 지지하는 것 자체가 부도덕하다는 입장을 내세웠다.

베트남 전쟁을 둘러싼 미국 내 여론의 양극화에는 언론이 큰 역할을 했다. 예를 들어 1965년에는 언론 대다수의 관심이 군사작전에 집중됐고, 동남아시아에 대한 전면적 개입 필요성을 다루는 언론은 없었다.[6] 1965년 이후 언론은 미국 내에 존재했던 반대파와 국내 논란을 보도했지만, 반체제 인사와 저항세력의 실제 견해는 대부분 배제했다.[6]

언론은 매파냐 비둘기파냐의 논란을 놓고 공개 담론의 장을 마련하였다. 비둘기파는 자유주의, 전쟁비판론에 해당됐다. 전쟁의 의도는 좋았으나 온건 외교정책으로부터 기인한 비참한 실수라고 주장했다. 또 비둘기파는 베트남에 개입하려는 의도 자체에는 의문을 제기하지 않았으며, 미군 파병의 도덕성이나 합법성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하지 않았다. 오히려 이들은 전쟁이 실수였다는 실용적인 주장을 폈다.

반대로 매파는 전쟁이 합법적이고 승리할 수 있으며 미국의 우호적인 외교 정책의 일부라고 주장했다. 언론의 일방적인 비판이 전쟁에 대한 대중의 지지를 누그러뜨리고 끝내 미국이 전쟁에서 패하는 데 일조했다는 주장이다. 매파는 전쟁에 대한 대중의 환멸이 커지는 원인은 자유주의 언론에있다고 주장했으며, 서구 언론들이 공산주의가 더 이상 그들에게 위협이 되지 않다는 이론을 폈기에 전쟁에서 패했다고 비난했다.

갤러리

편집

선전물

편집

시위

편집

각주

편집
  1. “Robert S. McNamara, Architect of a Futile War, Dies at 93”. 《The New York Times》. 2009년 7월 7일. 
  2. Bell, Colin W. (1973). 《Where Service Begins》. Swarthmore Meeting. Swarthmore College: Wider Quaker Fellowship, Philadelphia. 12, 14쪽. 
  3. Schuman, Howard. 2000. 'Two Sources of Antiwar Sentiment in America,' in Hixson, Walter L. (ed) The United States and the Vietnam War: Significant Scholarly Articles. New York: Garland Publishing, pp. 127–150
  4. Guttmann, Allen. 1969. Protest against the War in Vietnam.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382. pp. 56–63,
  5. Life magazine: Remembering Martin Luther King Jr. 40 Years Later. Time Inc, 2008. p. 139
  6. Herman, Edward S. & Chomsky, Noam. (2002) Manufacturing Consent: The Political Economy of the Mass Media. New York: Pantheon Books.

참고문헌

편집
  • DeBenedetti, Charles (1990). 《An American Ordeal: The Antiwar Movement of the Vietnam Era》 (영어). contributor Charles Chatfield. Syracuse University Press. ISBN 978-0-8156-0245-3. 
  • Aaron Fountain "The War in the Schools: San Francisco Bay Area High Schools and the Anti–Vietnam War Movement, 1965–1973" pp. 22–41 from California History, Volume 92, Issue 2, Summer 2015
  • John Hagan, Northern passage: American Vietnam War resisters in Canada, Harvard University Press, 2001. ISBN 978-0-674-00471-9ISBN 978-0-674-00471-9
  • Mary Susannah Robbins, Against the Vietnam War: Writings by Activists, Rowman & Littlefield, 2007. ISBN 978-0-7425-5914-1ISBN 978-0-7425-5914-1
  • Robert R. Tomes, Apocalypse Then: American Intellectuals and the Vietnam War, 1954–1975, NYU Press, 2000. ISBN 978-0-8147-8262-0ISBN 978-0-8147-8262-0
  • King, Martin Luther Jr. "Beyond Vietnam". New York. April 4, 1967.
  • Tygart, Clarence. "Social Movement Participation: Clergy and the Anti-Vietnam War Movement." Sociological Analysis Vol. 34. No. 3 (Autumn, 1973): pp. 202–211. Print.
  • Friedland, Michael B. Lift Up Your Voice Like A Trumpet: White Clergy And The Civil Rights And Antiwar Movements, 1954–1973. Chapel Hill: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998. eBook Collection (EBSCOhost). Web. December 15, 2013.
  • McCarthy, David. "'The Sun Never Sets on the Activities of the CIA': Project Resistance at William and Mary". Routledge Publishing: September 4, 2012.
  • Patler, Nicholas. Norman's Triumph: the Transcendent Language of Self-Immolation Quaker History, Fall 2105, 18–39.
  • Zinn, Howard. A People's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New York: HarperCollins Publishing, 2003. Print.
  • Maeda, Daryl. Chains of Babylon: Rise of Asian America.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09.
  • Lee, Erika. The Making of Asian Ameria: A History. Simon & Schuster, 2015.
  • Srikanth, Rajini and Hyoung Song, Min. The Cambridge History of Asian American Litera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외부 링크

편집

틀:Counterculture of the 1960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