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호주의

백호주의(영어: White Australia policy, WAP)란 1901년부터 1973년까지 오스트레일리아(호주) 정부가 일관되게 유지했던 비백인 이민 제한 정책을 말한다.

1910 White Australia badge.png

백호주의의 배경편집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이 개별 식민지로 나뉘어 있던 1840년대에 오스트레일리아는 경제 공황으로 위기에 봉착했다. 그러나 1850년대에 들어서면서 금광이 발견되자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이른바 골드 러시가 벌어졌고 이로 인해 오스트레일리아에 많은 이민자가 몰려들었다. 그 중에는 중국계 이민이 많았으며 1881년에는 5만 명에 달하였다. 이러한 저임금 노동은 백인 노동자의 임금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 때문에 전(全) 오스트레일리아 회의는 1888년에 열린 회의에서 중국계의 오스트레일리아 이민을 제한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고 이러한 제한 조치가 더욱 강화되면서 1896년에 열린 회의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모든 유색 인종을 배척하는 내용의 결의안이 통과되기에 이른다.

백호주의의 도입과 폐지편집

오스트레일리아 정부의 백호주의 정책 도입은 오스트레일리아 연방이 성립된 1901년 이후 얼마 되지 않아서 이민 제한법이라는 법률이 통과되면서 정식 도입되었다. 그러나 오스트레일리아의 백호주의 정책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점차 완화되었고 오스트레일리아 정부는 비영국계 백인 이민과 비백인 이민에게도 문호를 개방하게 되었다. 오스트레일리아의 백호주의 정책은 1973년에 들어서면서 사실상 기능을 상실했으며 1975년에 인종 차별 금지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면서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인종에 따른 이민 정책이 불법화된다.

같이 보기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