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어사 원효암 목조관음보살좌상 복장유물 일괄

부산 범어사 원효암 목조관음보살좌상 복장유물 일괄(釜山 梵魚寺 元曉庵 木造觀音菩薩坐像 腹藏物 一括)은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범어사 원효암에 있는 불상이다. 2016년 9월 21일 부산광역시의 유형문화재 제173호로 지정[1]되었다.

부산 범어사 원효암 목조관음보살좌상
복장유물 일괄
(釜山 梵魚寺 元曉庵木造觀音菩薩坐像
腹藏物 一括)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유형문화재
종목유형문화재 제173호
(2016년 9월 21일 지정)
수량8건
소유범어사 원효암
위치
부산 범어사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부산 범어사
부산 범어사
부산 범어사(대한민국)
주소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546
좌표북위 35° 17′ 02″ 동경 129° 04′ 07″ / 북위 35.28389° 동경 129.06861°  / 35.28389; 129.06861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개요

편집

범어사 원효암 목조관음보살좌상의 복장유물에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7종, 선문념송집(禪門拈頌集), 육경합부(六經合部), 지장보살본원경(地藏菩薩本願經)은 모두 1종씩으로 불교경전 10종, 후령통, 다라니(眞言) 2종, 조성발원문(造成發願文) 1종 등이 포함되어 있다. 조성발원문의 내용으로 보아 본 불상이 1674년(현종 15) 5월에 조성된 사실을 알 수 있고, 범어사 원효암 소장 목조관음보살좌상의 조성 시기․주체 등과 함께 당대 불교계의 실체와 사상적 경향, 함양군 영은사의 승려조직과 단월의 규모․실체, 불상의 조성 형태 등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복장유물 가운데 포함된 인출다라니와 주서다라니 등도 이러한 역사․문화적인 실체와 더불어 17세기 중엽 복장 의례와 복장 유물의 실태, 생산․유통된 닥종이의 종류, 목판인쇄술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원천 자료이다.[1]

각주

편집
  1. 부산광역시 고시 제2016-307호, 《부산광역시 지정문화재 지정 고시》, 부산광역시장, 부산시보 제1746호, 120면, 2016-09-21

참고 자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