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로나(Verona)는 거주 인구 255,131명을 지닌 이탈리아 베네토 지방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다.[1] 베네토 지역의 일곱 개 도청 소재지 중 한 곳이며, 베네토 지방 및 이탈리아 북동부 지방자치단체 도시 중 가장 넓다. 베로나 도시권은 1,426 km2 (550.58 mi2)에 달하고 인구는 714,310명이다.[2] 이곳의 예술 유산 및 로마 시대 원형극장아레나 디 베로나에서 열리는 오페라 시즌을 비롯해 연간 축제 및 공연 덕에 북이탈리아 최대 관광 중 한 곳이다.

베로나
Verona / Veròna (베네토어)
시기 휘장
베로나은(는) 이탈리아 안에 위치해 있다
베로나
베로나
북위 45° 26′ 19″ 동경 10° 59′ 34″ / 북위 45.438611° 동경 10.992778°  / 45.438611; 10.992778
행정
국가이탈리아의 기 이탈리아
행정 구역베로나도
단체장다미아노 톰마시
지리
면적198.92 km2
해발59 m
시간대CET (UTC+1)
CEST (UTC+2)
인문
인구255,133[1](2025년)
인구 밀도1,300명/km2
지역 부호
우편번호37100
지역번호045
웹사이트베로나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 공식 웹사이트
베로나
유네스코 세계유산
소재국이탈리아 이탈리아
영어명*City of Verona
등록 구분문화유산
기준ii, iv
지정번호797
지정 역사
2000년  (24차 정부간위원회)
* 세계유산목록에 따른 정식명칭.
** 유네스코에 의해 구분된 지역.

13세기와 14세기 사이, 베로나는 델라 스칼라 가문의 통치를 받았다. 델라 스칼라 가문의 통치 하에서, 특히 칸그란데 1세 델라 스칼라 시기 베로나는 부유함과 강력함을 갖추고 새로운 성벽이 도시를 둘러싸는 등 큰 번영을 누렸다.[3] 베로나 주변 다양한 기념물 등에 델라 스칼라 시대가 남아 있다.

'로미오와 줄리엣', '베로나의 두 신사' 등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 두 편이 베로나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셰익스피어가 베로나나 이탈리아를 방문한 적이 있었는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으나, 그의 작품들은 여러 관광객들이 베로나와 인근 도시들을 방문토록 끌어들이고 있다. 베로나는 또한 최초의 여성 인본주의자이자 르네상스 시기 가장 중요한 인본주의자 중 한 명으로 일컬어지는 이소타 노가롤라의 출생지이기도 하다.[4] 2000년 11월, 베로나는 도시 구조와 건축물로 인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베로나는 2026년 동계 올림픽의 폐막식이 개최되는 장소로 예정되어 있다.

역사

편집

베로나 초기 역사의 정확한 내용은 베로나라는 지명의 기원과 더불어 수수께끼로 남아있다. 한 이론에서는 이곳이 에우게네이족의 도시였다가 이후에 케노마니족에게 이곳을 내주었다고 한다 (기원전 550년). 로마가 포강 계곡 유역을 정복하면서, 베로나 영역은 기원전 300년경 로마의 영토가 되었다. 베로나는 기원전 89년 로마의 콜로니아가 되었다. 기원전 49년에는 '무니키피움'으로 분류되었으며, 당시에 이곳 시민들은 트리부스를 '포빌리아' 또는 '푸블리키아' 등으로 부여받았다.

베로나는 일부 도로들이 교차하는 곳에 위치해 있어 중요성을 띠게 되었다. 로마군의 군사 지휘관 스틸리코알라리크 1세와 그의 서고트족들을 402년 이곳에서 격파시켰다. 이후, 489년 동고트족에 정복되었고, 고트족들의 이탈리아 지배가 시작됐다. 테오도리크 대왕이 이곳에 궁전을 지었다고 전해진다. 고트 전쟁 (535년~552년) 내내 고트족의 세력권 하에 있다가 541년 딱 하루가 아니었는데, 이때 비잔티움군의 장교 아르타바제스가 진입하였다. 전리품을 둘러싼 비잔틴 장군들의 이탈로 인해, 고트족이 도시를 다시 장악할 수 있게 되었다. 552년 발레리아누스 장군 휘하의 로마군은 베로나에 입성하려 했으나, 고트족들이 완전히 무너지고 난 다음에야 베로나를 점령할 수 있었다.[5]

569년, 랑고바르드족의 왕 알보인에게 점령되었으며,[6] 랑고바르드 왕국 내에서 두 번째로 중요한 도시이었다. 이곳에서 알보인은 572년 아내의 묵인과 함께 부하들에게 살해당하였다.[7] 트레비소 공작들이 베로나에서 보통 거주했다. 데시데리우스의 아들 아달기수스는 774년 베로나에서 랑고바르드 왕국을 멸망시켰던 샤를마뉴에 대한 최후의 저항을 펼쳤다.[8] 베로나는 이탈리아 국왕들의 정기 거처가 되었고, 도시의 통치권은 산보니파초 백작들의 선조인 밀로 백작 가문에 의해 세습되었다. 880년부터 951년까지 두 명의 베렌가리우스가 거주했다.

신성 로마 제국오스트리아 제국의 지배 하에서, 베로나는 독일어로 베른(Bern), 벨스베른(Welsch-Bern)[9] 또는 디트릭스베른 등으로 알려져 있었다. 오토 1세바이에른 공국에 속한 후작령에 베로나를 넘겨주었으나, 부르주아 가문들의 커져가던 부가 백작들의 권력을 가렸고, 1135년에 베로나는 자유 코무네가 되었다. 1164년에 베로나는 비첸차, 파도바, 트레비소 등과 함께 베로나 동맹을 형성하였고, 베로나 동맹은 프리드리히 1세 바르바로사 황제에 맞서 1167년 롬바르디아 동맹과 통합되었다. 1176년 레냐노 전투에서 승전을 거뒀고, 베네치아 조약이 1177년에 결되었으며 뒤이어 1183년에 콘스탄츠 화약으로 이어졌다.[10]

에첼리노 3세 다 로마노가 1226년 '포데스타'로 선출되었으며, 그는 포데스타 직위를 종신 영주 직위로 바꿨다. 1257년 그는 베로나 평원 (Campi di Verona)에서 파도바인 11,000명의 학살을 초래했다. 그가 죽고 난 뒤, 대의회는 마스티노 1세 델라 스칼라를 포데스타로 선출했으며, 그는 '시뇨리아'를 가문의 소유로 전환했으며, 그럼에도 시민 계층이 정부 운영에 참여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였다.

 
칸그란데 1세의 기마상

인구

편집
연도별 인구
연도인구±%
187186,443—    
188189,784+3.9%
190199,579+10.9%
1911116,518+17.0%
1921131,711+13.0%
1931145,863+10.7%
1936153,555+5.3%
1951178,382+16.2%
1961220,972+23.9%
1971266,205+20.5%
1981265,932−0.1%
1991255,824−3.8%
2001253,208−1.0%
2011252,520−0.3%
2021255,985+1.4%
Source: ISTAT

기후

편집
베로나 (베로나 빌라프란카 공항)의 기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연간
역대 최고 기온 °C (°F) 19.8
(67.6)
22.1
(71.8)
27.2
(81.0)
31.8
(89.2)
36.6
(97.9)
38.1
(100.6)
38.2
(100.8)
39.0
(102.2)
33.2
(91.8)
29.2
(84.6)
23.6
(74.5)
18.8
(65.8)
39.0
(102.2)
일평균 최고 기온 °C (°F) 7.3
(45.1)
10.0
(50.0)
14.9
(58.8)
19.1
(66.4)
24.1
(75.4)
28.2
(82.8)
30.4
(86.7)
30.4
(86.7)
25.4
(77.7)
19.1
(66.4)
12.6
(54.7)
7.8
(46.0)
19.1
(66.4)
일일 평균 기온 °C (°F) 2.9
(37.2)
4.5
(40.1)
9.1
(48.4)
13.2
(55.8)
18.4
(65.1)
22.7
(72.9)
24.9
(76.8)
24.6
(76.3)
19.6
(67.3)
13.9
(57.0)
8.4
(47.1)
3.6
(38.5)
13.8
(56.9)
일평균 최저 기온 °C (°F) −0.5
(31.1)
0.1
(32.2)
3.9
(39.0)
7.6
(45.7)
12.5
(54.5)
16.9
(62.4)
18.9
(66.0)
18.7
(65.7)
14.2
(57.6)
9.5
(49.1)
4.8
(40.6)
0.2
(32.4)
8.9
(48.0)
역대 최저 기온 °C (°F) −18.4
(−1.1)
−18.4
(−1.1)
−10.4
(13.3)
−2.2
(28.0)
0.0
(32.0)
3.8
(38.8)
7.3
(45.1)
8.1
(46.6)
2.0
(35.6)
−4.6
(23.7)
−7.9
(17.8)
−15.5
(4.1)
−18.4
(−1.1)
평균 강수량 mm (인치) 42.7
(1.68)
45.4
(1.79)
45.1
(1.78)
72.3
(2.85)
81.9
(3.22)
72.2
(2.84)
62.9
(2.48)
71.8
(2.83)
90.9
(3.58)
85.8
(3.38)
95.9
(3.78)
64.6
(2.54)
831.7
(32.74)
평균 강수일수 (≥ 1.0 mm) 5.9 5.5 5.6 8.7 8.4 8.4 5.2 5.9 6.7 7.7 8.7 7.2 82.0
평균 상대 습도 (%) 82.1 75.3 71.8 71.1 70.2 70.1 70.1 71.6 73.5 79.3 83.1 82.7 77
평균 월간 일조시간 91.3 131.1 181.5 184.1 237.7 259.5 307.6 278.8 203.6 129.4 85.4 87.4 2,177.4
출처 1: 미국 해양대기청 (평년값: 1991년~2020년, 일조시간: 1981년~2010년),[11][12] 이탈리아 기상국 (극값: 1946년~현재)[13]
출처 2: Istituto Superiore per la Protezione e la Ricerca Ambientale (강수)[14]

스포츠

편집

베로나에는 세 개의 프로 축구팀이 있는데, 2017/18시즌 세리에A에 속한 엘라스베로나, AC 키에보베로나 그리고 세레C/1에 속해 있는 비르투스 베로나가 있다. 전통적으로 가장 유명한 팀은 엘라스 베로나로, 현재 이탈리아의 축구 1부 리그 세리에 A에 참가하고 있다.

자매 도시

편집

우호 도시

편집

각주

편집
  1. “Resident population”. 이탈리아 통계. 
  2. "Tales of Verona"
  3. “Verona city – Tourism”. www.turismoverona.eu. 2020년 4월 18일에 확인함. 
  4. “Isotta Nogarola”. Encyclopedia.com. 2020년 12월 24일에 확인함. 
  5. James, Edward (2014). 《Europe's Barbarians AD 200-600》. Routledge. 105쪽. ISBN 978-1-317-86824-8. 
  6. Petersen, Leif Inge Ree (2013). 《Siege Warfare and Military Organization in the Successor States (400-800 AD): Byzantium, the West and Islam》. BRILL. 566쪽. ISBN 978-90-04-25446-6. 
  7. Ghosh, Shami (2015). 《Writing the Barbarian Past: Studies in Early Medieval Historical Narrative》. BRILL. 134–136쪽. ISBN 978-90-04-30581-6. Paul obviously felt it appropriate to expand considerably on the terse narrative contained in his (written) sources, adding the motifs of alcohol, provocation, seduction, and of course the gory skull-cup, instead of saying simply—as all other written sources do—that Alboin was killed by his own people, with the connivance of his wife. 
  8. Riché, Pierre (1993). 《The Carolingians: A Family Who Forged Europ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ISBN 978-0-8122-1342-3. 
  9. “Welsch-Bern”. Zeno.org. 2022년 2월 26일에 확인함. 
  10. Solinas, Giovanni (1981). 《Storia di Verona》 (이탈리아어). 
  11.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Verona-Villafranca” (CSV). 미국 해양대기청. 2024년 3월 2일에 확인함. 
  12. “WMO Climate Normals for 1981-2010: Verona-Villafranca(16090)” (XLS). 《ncei.noaa.gov》. 미국 해양대기청. 2024년 3월 2일에 확인함. 
  13. “Verona Villafranca: Record mensili dal 1946” (이탈리아어). 이탈리아 공군 기상국. 2014년 12월 11일에 확인함. 
  14. “Valori climatici normali in Italia”. Istituto Superiore per la Protezione e la Ricerca Ambientale. 2023년 9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9월 1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