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내면
경기도 남양주시의 하위 행정구역
별내면 別內面 | |
---|---|
![]() | |
로마자 표기 | Byeollae-myeon |
행정 | |
국가 | 대한민국 |
지역 | 경기도 남양주시 |
행정 구역 | 18리, 177반 |
법정리 | 청학리, 용암리, 광전리 |
관청 소재지 |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청학로8번길 22 |
지리 | |
면적 | 22.17 km2 |
인문 | |
인구 | 19,422명(2022년 2월) |
세대 | 8,267세대 |
인구 밀도 | 876.0명/km2 |
지역 부호 | |
웹사이트 | 별내면 행정복지센터 |

연혁
편집- 1914년 4월 1일 : 동촌리, 영지동, 서촌리, 내곡리, 전도리 5개 리(→진접면 내곡리)를 제외한 별비면과 내동면, 노원면 불암리를 합하여 별내면이라 칭함. 현재의 의정부시 고산동, 산곡동에 속하는 고산리, 산곡리도 이 지역에 속했다.
경기도령 제3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양주군 별비면 (동촌리, 영지동, 서촌리, 내곡리, 전도리를 제외)
양주군 노원면 불암리별내면 (→ 광전리, 덕송리, 용암리, 청학리, 퇴계원리, 화접리) 양주군 내동면 별내면 (→ 고산리, 산곡리)
- 1966년 7월 11일 : 퇴계원 출장소 설치
- 1980년 4월 1일 : 행정구역 개편으로 행정리 4개리를 의정부로 편입하여 행정리를 13개리로 정함.
- 1987년 1월 1일 : 행정리를 21개리로 증리
- 1989년 4월 1일 : 퇴계원출장소를 면으로 승격분리(행정리 13개리)
- 1995년 1월 1일 : 남양주시 통합으로 남양주시 별내면이 됨
- 1997년 7월 30일 : 행정리를 2개리 증리해 16개리가 됨
- 2000년 1월 15일 : 행정리를 5개리 증리해 21개리가 됨
- 2000년 12월 28일 : 행정리를 1개리 증리해 22개리가 됨
- 2003년 2월 4일 : 행정리를 2개리 증리해 24개리가 됨
- 2005년 5월 12일 : 행정리를 1개리 증리해 25개리가 됨
- 2005년 6월 1일 : 청학출장소 설치
- 2009년 12월 16일 : 청학출장소 폐지, 별내면 덕송리 114-8에서 별내면 광전리 122-6로 면사무소 이전
- 2012년 1월 2일 : 행정리를 9개리 감리해 16개리가 됨, 덕송1~2리, 화접1~7리를 통합해 별내동 신설
- 2017년 2월 6일: 별내동과 별내면을 관할하는 별내 행정복지센터가 개청하였다.[1]
법정리
편집덕송리, 화접리는 2012년 1월 2일부터 별내동으로 분할되었다.
법정리 | 한자명 | 행정리 |
---|---|---|
광전리 | 廣田里 | 광전1리, 광전2리 |
용암리 | 龍岩里 | 용암1리, 용암2리 |
청학리 | 靑鶴里 | 청학1리, 청학2리, 청학3리, 청학4리, 청학5리, 청학6리, 청학7리, 청학8리, 청학9리, 청학10리, 청학11리, 청학12리, 청학13리, 청학14리 |
교통
편집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별내 나들목과 철도 경춘선이 인접해 있다.[2]
교육
편집아파트
편집각주
편집- ↑ 이병훈 (2017년 1월 24일). “남양주시, 행정복지센터 8개 권역 전면 시행 눈앞…조례안 통과”. 뉴시스. 2017년 11월 19일에 확인함.
- ↑ 별내면의 행정구획 안에 있는 것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