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
온대 지방의 사계절 중 하나

정의편집
일반적인 구분편집
천문학에 따른 구분편집
천문학에서는 춘분점(또는 춘분, 3월 20일 경)에서 하지점(또는 하지, 6월 21일 경)까지를 말한다.[2][3]
절기에 따른 구분편집
절기로는 입춘(2월 4일 경)에서 입하(5월 5일 경)까지를 말한다.
기상학에 따른 구분편집
기상학에서는 기온 변화에 따라 계절을 구분한다. 일 평균 기온이 5도 이상으로 올라가 9일간 유지될 때, 그 첫 번째 날을 봄의 시작일로 정의한다.[4][5] 이는 다음과 같이 더 세분화한다.[6]
- 초봄 : 일평균기온이 5°C∼10°C, 일최저기온이 0°C 이상
- 봄 : 일평균기온이 10°C∼15°C, 일최저기온이 5°C 이상
- 늦봄 : 일평균기온이 15°C∼20°C이고 일최저기온이 10°C 이상
각주편집
- ↑ 과거 음력을 썼을 시절에는 음력 1월, 음력 2월, 음력 3월을 봄으로 보았다. 음력 1월은 맹춘, 음력 2월은 중춘, 음력 3월은 계춘으로 보았다.
- ↑ 계절#천문학적 계절 변화 참고
- ↑ 하지만 한국천문연구원에 따르면, 천문학에서는 계절 구분을 하지 않는다.
- ↑ 계절을 구분하는 기준이 있나요?
- ↑ 기상청에서는 우리나라의 계절 구분을 어떻게 하나요?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봄'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봄 - 두산세계대백과사전
- 봄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다음백과 미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