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황자리(Phoenix [ˈfiːnɪks])는 남쪽 하늘의 작은 별자리로, 불사조자리라고도 한다. 네덜란드의 두 탐험가(Pieter Dirkszoon Keyser , Frederick de Houtman)에 의해 도입되고, 요한 바이어의 《우라노메트리아(1603년)》를 통해 보급되었다.

봉황자리
학명: Phoenix
봉황자리
약자Phe
소유격Phoenicis
상징불사조 또는 봉황
적경0h 44m
적위−48°46′
넓이469 평방도 (37위)
주요 항성 갯수??개
가장 밝은 항성??? (α/β Phe) (???m)
유성우
  • ????
  • ???
이웃 별자리
위도 +32°에서 −90°사이 지역에서 관측 가능.
11월 20일월 21:00 (9 p.m.)에서 최적의 관측 가능.

특징 편집

눈에 띄는 별도 많지 않고, 위치도 적위 −39°에서 −57°에 위치하여, 북위 40° 이북에서는 보이지 않는 등, 북반구에서 관측하기는 어렵다.

별과 천체 편집

봉황자리에는 5등급보다 밝은 별이 11개 정도 찾아볼 수 있다.

  • 봉황자리 α (안카, Ankaa): 2.39등급의 별로, 봉황자리에서 가장 밝다.

유성우 편집

12월 5일경에 봉황자리에서 유성이 출발하는 것처럼 보이는 봉황자리 유성우가 관측된다.

역사 편집

 
불사조의 그림(1697년)

봉황 별자리가 현대 천문학에 도입된 것은 어느 정도는 창안이라기보다는 채택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바이어(Bayer)의 선택은 적절한 것이었다. 왜냐하면, 중국, 이집트, 인도, 페르시아 등 많은 나라에서 이 새는 천문학적인 계절을 상징했기 때문이다.

이집트 사람들은, 이 새를 '벤누(Bennu)'로 알고 있었고, 그들의 동전에 새겨 넣었다. 이 새는 불사신의 상징이었다.

같이 보기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