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고슬로벤노예

러시아 유대인 자치주의 고려인 마을

블라고슬로벤노예(러시아어: Благословенное) 또는 사말리, 사만리러시아 유대인 자치주 옥탸브리스키군에 속한 마을이다. 2010년 인구조사에 따른 인구는 869명이다.[1]

블라고슬로벤노예
Благословенное
마을
나라러시아
자치주유대인 자치주
옥탸브리스키군
설립1871년
인구
 (2010)[1]
 • 총869명
시간대UTC+10
우편번호
679241

1860년대부터 많은 조선인들이 국경을 넘어 연해주에 정착했는데, 러시아 관청에서는 이들이 조선과의 접경 지대에 거주하는 것을 달갑지 않게 여겨 러시아 내 다른 지역으로 이주하도록 돈, 의복, 식량을 지원하였다. 이에 따라 1871년 7월 말에 조선인 431명(102가구)이 아무르강 인근으로 이주하여 아무르주 최초의 고려인 마을인 블라고슬로벤노예를 세웠다.[2] 블라고슬로벤노예라는 이름은 러시아어로 '축복받은'이라는 뜻이다. 고려인들은 이 마을을 사말리 또는 사만리라 불렀고, 한자로는 '四萬里', '沙曼里' 등으로 표기하였다. 사말리라는 이름은 마을 근처를 지나는 아무르강의 지류인 사마라강(러시아어: Самара)의 이름에 '리'(里)를 붙인 데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어떤 고려인들은 사말리가 연해주로부터 아주 멀리('4만 리') 떨어져 있기에 그런 이름이 붙었다고 알고 있지만, 이는 후대에 만들어진 민간어원이라 생각된다.[3] 사말리는 연해주 등 러시아 극동의 나머지 고려인 사회로부터 일찌감치 고립되어 독특한 문화를 형성하였다. 연해주 고려인의 고려말은 보다 늦게 러시아로 이주한 이들의 영향으로 주로 길주~명천 지역의 동북 방언에 기초하고 있는 데 비해, 사말리의 고려말은 육진 방언의 특징을 많이 보존하였다.[3]

1934년부터 블라고슬로벤노예는 유대인 자치주에 속하게 되었다. 1937년 중앙아시아로의 고려인 강제이주 이전까지 블라고슬로벤노예는 고려인 마을로 남아 있었다.[4]

연도별 인구

편집
연도별 인구
연도19011923192419261930199220022010
인구1,3411,7961,6452,0402,0391,200993869
출처: 1901-1924, 1930년,[5] 1926년,[6] 1992년,[7] 2002년,[8] 2010년[1]

출신 인물

편집

각주

편집
  1. Russian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2011). “Всероссийск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2010 года. Том 1” [2010 All-Russian Population Census, vol. 1]. 《Всероссийск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2010 года (2010 All-Russia Population Census)》 (러시아어).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2012년 6월 29일에 확인함. 
  2. Вагин, В. (1875). 《Сборник историко-статистических сведений о Сибири и сопредельных ей странах 1》. Санкт-Петербург: Русская скоропечатня. 
  3. King, Ross (2001). “Blagoslovennoe: Korean Village on the Amur, 1871-1937”.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한국학중앙연구원) 4 (2): 133-176. 
  4. Bayeva, Nadezhda (2016년 4월 28일). “Из истории села Благословенного Октябрьского района Еврейской автономной области(по документам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архива за 1881–1938-й годы)” [From the history of the village of Blagoslovennoye, Oktyabrsky District of the Jewish Autonomous Region (according to the documents of the state archive for the years 1881–1938)] (러시아어). State Archives of the Jewish Autonomous Oblast. 2016년 10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9월 21일에 확인함. 
  5. “Административно-территори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Еврейской автономной области. 1858-2003”. 
  6. “Еврейская автономная область: история административно-территориа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в картах, документах и фотографиях” (PDF). 
  7. И. Д. Пензин (1995). 〈Хабаровский край и Еврейская автономная область : опыт энцикл. геогр. слов. / Приамур. геогр. о-во〉. 《Энциклопедия Хабаровского края и Еврейской автономной области》. Хабаровск: Восток-пресс. 318–321쪽. 
  8. Коряков, Юрий Борисович (2016). “Этно-языковой состав населённых пунктов России”. 2020년 11월 1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