뿔나방상과(Gelechioidea)는 뿔나방 등을 포함하는 이문류 나방 상과의 하나이다. 이 대형 상과는 이문류의 기저 분류군 중의 하나이며, 대략적으로 "미소나방류"로 간주하고 있다.[1]

뿔나방상과
Xylorycta assimilis
Xylorycta assimilis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절지동물문
강: 곤충강
목: 나비목
아목: 선훼아목
하목: 이맥하목
(미분류): 이문류
상과: 뿔나방상과
(Fracker, 1915)
다양성
18개 과
  • 본문 참조

1990년대까지 이 상과를 약 1,425속 16,250종으로 분류했다. 뿔나방상과는 전체 종의 약 25%만이 기록된 것으로 추산했다.[2] 이 예측이 맞다면, 나비목 중에서 가장 큰 상과는 뿔나방상과이다.[1]

"뿔나방'이라는 명칭은 거의 모든 뿔나방상과 나방에서 발견되는 사소하지만 눈에 띄는 특징에서 유래했으며, 최소한 나방들 중에서 한층 극단적으로 독특하게 발달했다. 입술 모양의 더듬이가 잘 발달해 있으며(두껍지는 않지만), 돌기부가 더 구부러졌거나 덜 완만하게 굽어 있고, 잡아 늘린 것처럼 끝이 뾰족하다. 일반적으로 성충은 주둥이가 잘 발달해 있으며, 오래 산다.: 주둥이의 기부에 비늘이 있다. 그 외에 뿔나방상과는 생태적으로 아주 다양하다. 대부분의 종에 긴 머리카락같은 술이 달린 작은 뒷날개가 있지만, 쉴 때 앞날개 아래로 접어 넣기 때문에 활동 중에는 잘 관찰되지 않는다. 보통 등배쪽 또는 측면으로 아주 납작한 형태를 띤다.[3]

하위 과

편집

뿔나방상과의 계통발생 및 분류는 적지 않은 논란 거리로 남아 있다. 예를 들어, 풀굴나방과 (Elachistidae)는 한때 아과로 통합하여 "폐기된 분류"의 일종으로 사용했으며, 이 상과의 다양한 원시적 형태의 종들은 실제로는 단계통군을 형성하는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이제 이들 중 상당수는 원뿔나방과 (Oecophoridae)로 이동했지만, 나머지는 당연하게 거의 과 분류로 남아 있으며, 추가 분류도 그럴수 있다.[4]

잠정적으로 뿔나방상과는 아래와 같이 12개 과로 분류하고 있다.[5]

  • Agonoxenidae - 블라스토다크나아과(Blastodacninae) 포함, 풀굴나방과로 분류하기도 함.
  • Batrachedridae
  • 밑두리뿔나방과 (Blastobasidae) - 통나방과에 포함시키기도 함.
  • 통나방과 (Coleophoridae)
  • 창날개뿔나방과 (Cosmopterigidae)
  • 풀굴나방과 (Elachistidae)
  • 먹점뿔나방과 (Ethmiidae) - 풀굴나방과 또는 원뿔나방과로 분류하기도 함.
  • 뿔나방과 (Gelechiidae) - 뿔나방 (데오클로니과(Deoclonidae) 포함).
  • Glyphidoceridae
  • Holcopogonidae - 원뿔나방과로 분류하기도 함.
  • 뿔나방붙이과 (Lecithoceridae) - 뿔나방붙이
  • Metachandidae
  • Momphidae - 통나방과로 분류하기도 함.
  • 원뿔나방과 (Oecophoridae) - 원뿔나방
  • Pterolonchidae - 통나방과 또는 판날래뿔나방과/원뿔나방과로 분류하기도 함.
  • Schistonoeidae - 뿔나방과로 분류하기도 함.
  • Scythrididae
  • Symmocidae - 밑두리뿔나방과/통나방과 또는 원뿔나방과로 분류하기도 함.
  • 판날개뿔나방과 (Xyloryctidae) - 원뿔나방과로 분류하기도 함.

아이오란테스속(Aeolanthes)은 단형 아과, 아이올란테스아과(Aeolanthinae)로 풀굴나방과, 뿔나방붙이과 또는 원뿔나방과로 분류할 때도 있지만, 실제로 해당 분류 사이의 관계는 아직 신뢰할 정도로 결정된 것은 아니다.

각주

편집
  1. Robinson et al. (1994), Hodges (1999), O'Toole (2002)
  2. Hodges (1999)
  3. Robinson et al. (1994)
  4. Hodges (1999), O'Toole (2002), ToL (2009), Wikispecies (2009-OCT-12)
  5. Wikispecies (2009-OCT-12)

참고 문헌

편집
  • Hodges, R.W. (1999): The Gelechioidea. In: Kristensen, N.P. (ed.): Handbuch der Zoologie/Handbook of Zoology (Volume IV – Arthropoda: Insecta. Part 35: Lepidoptera, Moths and Butterflies 1): 131–158. Walter de Gruyter, Berlin & New York. ISBN 3-11-015704-7
  • O'Toole, Christopher (ed.) (2002): Firefly Encyclopedia of Insects and Spiders. ISBN 1-55297-612-2
  • Robinson, G.S.; Tuck, K.R.; Shaffer, M. and Cook, K. (1994): The smaller moths of South-East Asia. Malaysian Nature Society, Kuala Lumpur.
  • Tree of Life Web Project (ToL) (2009): Gelechioidea. Version of 2009-APR-02. Retrieved 2010-APR-22.

바깤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