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법시험성적의 세부산출방법에 관한 행정입법부작위 사건

사법시험성적의 세부산출방법에 관한 행정입법부작위 사건(2004헌마66)은 입법부작위 위헌확인을 구하는 대한민국의 헌법재판소 판례이다.

사실관계

편집

청구인들은 사법시험에서 과목별 합격최저점수를 얻지 못하여 불합격처리된 사람들로 사법시험법 및 동시행령이 법무부령으로 정하도록 위임한 '성적의 세부산출방법'을 상당한 기간이 지나도록 정하지 아니한 법무부장관의 행정입법부작위로 인해 자신들의 공무담임권, 직업선택의 자유, 행복추구권이 침해되었으며, 위임받은 항목들 중 '성적의 세부산출방법'을 그대로 하위명령에 재위임한 것은 복위임금지원칙에 위배된다고 주장하며 헌법소원심판청구를 제기하였다.

주문

편집

이 사건 심판청구를 각하한다.

이유

편집
행정입법의 작위의무
편집

우리헌법 하에서 행정권의 행정입법 등 법집행의무는 헌법적 의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런데 이는 행정입법의 제정이 법률의 집행에 필수불가결한 경우로서 행정입법을 제정하지 아니하는 것이 곧 행정권에 의한 입법권 침해의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를 말하는 것이므로, 만일 하위 행정입법의 제정 없이 상위 법령의 규정만으로도 집행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경우라면 하위 행정입법을 하여야 할 헌법적 작위의무는 인정되지 않는다. 법과 법시행령이 사법시험의 성적을 산출하여 합격자를 결정하는데 지장이 없을 정도로 충분한 규정을 두고 있기 때문에, '성적의 세부산출방법 그 밖에 합격결정에 필요한 사항'에 관한 법시행규칙의 제정이 사법시험법의 집행에 필수 불가결한 것이라고 보기 어렵다. 그러므로 헌법적 작위의무가 있다고 보기 어렵다.

권리보호의 이익
편집

정원제를 유지하기 위하여 과락제의 적용을 제한하는 조치를 '성적의 세부산출방법 그 밖에 합격결정에 필요한 사항'으로서 시행규칙으로 정하는 것은 하위명령에 의한 모법의 내용변경을 의미하며 허용되지 아니한다. 그러므로 권리보호이익이 없다.

참고 문헌

편집
  • 2004헌마66

같이 보기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