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김광민 생도/연습장

국지전

편집

국지전(局地戰)은 제한된 지역에서 어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벌어지는 전쟁 형태로 영어로는 Limted war, Regional war, Skirmish 등으로 표현된다. 전면전에 대응되는 개념으로서 흔히 사용되며 전면전의 전 단계로 사용되기도 한다.

개념

편집

국지전은 분쟁 단계 중 중간 단계에 해당한다.

분쟁단계

편집

원인의 발생부터 대립 개시 및 원인의 소멸과 대립 종료, 즉 분쟁의 발생과 소멸 과정을 종합해 보면, 비조직적 성격의 주체(동일 이해집단) 형성 → 쟁점(목표)의 부각 및 확인 → 비무력적(평화적, 외교적) 방법 동원 및 좌절 →대립 의지의 축적 → 주체의 조직화 → 무력 수단의 구비 → 대립 실천(무장 충돌) 의 순서이다. 분쟁의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분쟁은 잠재 → 대립 → 위기 → 국지전 → 전면전 → 휴전 대립 → 해결의 단계를 거친다.[1] 이때 국지전은 소규모 게릴라전과 테러전에서 나아가 실질적으로 군 조직이 조직되어서 전선을 펼쳐 제한된 무력을 펼치는 단계이다.

무력 충돌의 강도

편집
무력 충돌의 강도
A(전면전)급 전개된 전투가 전 지역/전선에 걸친 전면전으로서, 보유한 무력이 총동원된 분쟁. 즉 반군세력을 기준으로

연 인원 2천명(연대급 이상 부대)이 동원되고, 통상 항공기, 중장거리 미사일, 1000t급 이상의 함정, 전차

등의 무기가 동원된 분쟁이거나, 전투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인명 피해의 양측 합계가 연간 1만 명 이상의

사망자를 발생시킨 분쟁의 강도

B(국지전)급 전개된 전투가 일부 지역/전선에 걸친 국지전으로서, 부분적이고 제한적인 무력이 동원된 분쟁.

즉 대대(500명)-연대(2000명)급 부대와 야포 및 로켓포, 중단거리 미사일, 일부 기동화력(장갑차, 소형함정)

등의 무기가 사용되거나, 인명 피해의 수준이 1천 명 이상의 사망자를 발생시킨 분쟁의 강도

C(게릴라전)급 전개된 전투가 명확한 전선을 형성하지 않은 상태(장악 지역의 가변성)에서 수행되는 게릴라전 수준으로서,

조직적인 소규모 무력이 동원된 분쟁. 즉 중대(100명)-대대(500명)급 부대가 동원되고, 중/소형 박격포,

기관총 등 휴대용 무기체계와 대형 폭약 등이 주로 동원되거나, 100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하는 수준의

피해규모를 지닌 분쟁에 해당하는 강도

D(폭동,테러)급 ‘조직적인’무력 사용이 결여된 분쟁. 즉 중대(100명)급 이하의 무장요원이 동원되고 개인화기 및 테러용 폭약

등이 주로 사용되거나, 100명 미만의 사망자를 발생시킨 분쟁의 강도

목적

편집

국지전의 과정

편집

국군의 국지전 대비

편집

한국의 사례

편집

해외의 사례

편집

미래의 국지전

편집
 
한국전쟁

각주

편집
  1. “KIDA 한국국방연구원”. 《개념/용어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