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빵빈/연습장

아데노이드 절제술(Adenoidectomy)

편집
Adenoidectomy
 
Location of the adenoid
ICD-9-CM28
MeSHD000233
메드라인플러스003011
eMedicine872216

아데노이드 절제술은 비강을 통한 호흡의 손상, 만성 감염, 재발하는 귀 통증 등의 이유 등에 의한 아데노이드의 수술적인 제거를 의미한다. 이 수술은 아데노이드가 작거나 덜 활성되어있는 어른들보다 어린이들에게 자주 수행된다. 이것은 외래 환자들에게 전반적인 마취 하에 진행된다. 수술 후 통증은 대부분 적으며 얼음이나 차가운 음식등으로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이 수술은 종종 편도선 수술과 함께 이루어진다. 수술 회복 시간은 몇 시간에서 2~3일 정도이다(나이가 들수록 회복시간도 늘어난다).

아데노이드 수술은 아데노이드가 몸의 면역을 담당하는 1세 이전 아이에게는 시행하지 않고, 1세 이후에는 이 기능이 감소하므로 시행한다.

 


역사

편집

아데노이드 수술은 1867년에 William Meyer에 의해 비강에 링모양 포샙을 사용해서 처음 이루어졌다.[1]

 


1900년대 초, 아데노이드 수술은 편도선 수술과 함께 이루어졌다.[2] 처음에 이 수술은 이비인후과 의사들, 대부분 외과의사인, 과 일반 의사에 의해 이루어졌으나 이후 30년은 이비인후과 의사들에 의해서만 이루어졌다.

 


그리고, 아데노이드 수술은 신경성식용부진증(anorexia nervosa), 정신 지체(mental retardation), 야뇨증(enuresis) 등의 치료로 이루어졌으며, 건강해지기 위해서도 수행됐다. 최근 기준으로는, 이 처방들은 이상해보이지만 한 가설에 의해 설명될 수 있는데, 그것은 아이들이 그들이 만성적인 인후염이나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을 가지고 있으면 성장하기 힘들 것이라는 가설이다. 또한 만성 중이염으로 인해 잘 듣지 못하는 어린이들은 정신지체로 인해 제대로 된 인식을 하지 못했을 것이다. 아데노이드 절제술은 귀의 유체 문제, 말하는 것에 있어 늦는 것, 그로 인한 낮은 지능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유뇨증과 폐쇄성 무호흡증 사이의 관계 및 암시에 의한 아데노이드 절제술의 효과는 복잡하고 논쟁의 여지가 있다. 한편으로, 유뇨증의 빈도는 아이들의 나이가 들면서 감소한다. 또 다른 편에서는 아데노이드의 크기는, 추측이지만, 어떠한 방해 요인에 의해서든, 나이가 듦에 따라 작아진다. 이 두 요인은 아데노이드 수술의 효과와 나이와 관련된 일시적인 향상을 헷갈리게 한다. 더 나아가, 대부분의 아데노이드 수술에서 효과를 얻음을 보여주는 의학 문헌의 연구들이 사례 보고되거나 사례 연구된 예이다. 그러한 연구들은 의도치않은 편향을 받기 쉽다. 마지막으로 6000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한 최근 연구에서 유뇨증과 폐쇄성 수면과의 연관성은 보이지 않았지만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의 진행 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

이 수술의 빈도의 감소는 1930년도에 이것이 논쟁에 의해 나타나기 시작했다. 수술을 필요로 하는 편도염과 아데노이드염은 항균제 개발과 어린이의 호흡기 감염 감소로 인해 줄어들게 되었다. 또한 여러 연구에서 아데노이드 절제술과 편도 절제술이 그 당시 수술 이후 소아마비 발병 위험이 증가한다는 점에서 효과적이지 않다고 밝혔으나, 이후 부정되었다.[4]

 

예비 임상 연구는 지난 20년에 걸쳐 편도선 수술과 아데노이드 수술을 함께하는 수술, 편도선 수술과 아데노이드 수술 각각에 적합한 수술 방법을 재정의해왔다.[5]

 


빈도

편집

1971년에, 백만 명이 넘는 미국인이 편도선 절제술 및 아데노이드 절제술을 받았으며 이 중 5만명이 아데노이드 절제술만을 받았다.[5]

 


1996년까지 약 50만명의 어린이들이 외래 입원 환자로 아데노이드 및 편도선 수술을 받았다. 여기에는 약 6만번의 편도선 절제술과 25,000번의 편도선 절제술 및 아데노이드 절제술과 125,000번의 아데노이드 절제술이 포함되어있다. 2006년까지 총 환자 수가 70만명 이상으로 증가했지만 인구 변화에 맞게 조정된 경우, 편도선 절제율은 1000명 당 0.62명에서 1000명 당 0.53명으로 감소했다. 편도 절제술 및 아데노이드 절제술은 더 큰 감소가 나타났다(1000명 당 2.20명에서 1.46명). 만성 감염성 원인에 대한 아데노이드 절제율에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1000명당 0.25명에서 0.21명).[6]

 


지시

편집

아데노이드 절제술의 적응증은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다.[7][8][9] 일반적으로 편도 절제술과 함께 폐쇄성 수명 무호흡증에 의한 아데노이드 제거가 가장 많은 동의를 얻고있다.[10] 그때조차, 그 연구 인구 중 상당한 부분(18%)는 응답하지 않았다. 또한 tympanostomy 튜브로 이전에 치료받은 어린이의 재발성 중이염에 대한 아데노이드 절제술에 대한 지지도 있다.[11]  마지막으로, 재발성 상기도 감염, 감기, 중이염 및 중비강 폐쇄 소아이서 아데노이드 절제술의 효과는 아직 의문스럽고 몇몇 연구에서는 수술없이 기다리는 것이 낫다고 말한다. .[12][13]

 


참고

편집

 


참고문헌

편집
  1. “Tonsillitis, Tonsillectomy, and Adenoidectomy”. 2010년 4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4월 6일에 확인함. 
  2. {{cite web|url=http://www.utsouthwestern.edu/utsw/cda/dept28151/files/383849.html |title=Tonsillectomy and Adenoidectomy |accessdate=2010-04-06| archiveurl= https://web.archive.org/web/20100416083759/http://www.utsouthwestern.edu/utsw/cda/dept28151/files/383849.html%7C archivedate= 16 April 2010 | deadurl= no}}
  3. Su MS, Li AM, So HK, Au CT, Ho C, Wing YK (August 2011). “Nocturnal enuresis in children: prevalence, correlates, and relationship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J. Pediatr.》 159 (2): 238–42.e1. doi:10.1016/j.jpeds.2011.01.036. PMID 21397910.  |vauthors=에 라인 피드 문자가 있음(위치 31) (도움말); |title=에 라인 피드 문자가 있음(위치 60) (도움말)
  4. Miller AH (July 1952). “Incidence of poliomyelitis; the effect of tonsillectomy and other operations on the nose and throat”. 《Calif Med》 77 (1): 19–21. PMC 1521652. PMID 12978882.  |date=에 라인 피드 문자가 있음(위치 5) (도움말); |title=에 라인 피드 문자가 있음(위치 13) (도움말);
  5. “Frequency”. 2010년 4월 6일에 확인함. 
  6. {{cite journal |vauthors =Bhattacharyya N, Lin HW |title=Changes and consistencies in the epidemiology of pediatric adenotonsillar surgery, 1996–2006 |journal=Otolaryngol Head Neck Surg |volume=143 |issue=5 |pages=680–4 |date=November 2010|pmid=20974339 |doi=10.1016/j.otohns.2010.06.918 |url=http://oto.sagepub.com/cgi/pmidlookup?view=long&pmid=20974339}}
  7. {{Cite journal|last=Witt|first=R. L.|date=June 1989|title=The tonsil and adenoid controversy|journal=Delaware Medical Journal|volume=61|issue=6|pages=289–294|issn=0011-7781|pmid=2666179}}
  8. {{Cite journal|date=2017-06-20|title=Adenoidectomy: Background, History of the Procedure, Epidemiology|url=https://emedicine.medscape.com/article/872216-overview}}
  9. {{Cite journal|last=Bluestone|first=C. D.|last2=Gates|first2=G. A.|last3=Paradise|first3=J. L.|last4=Stool|first4=S. E.|date=November 1988|title=Controversy over tubes and adenoidectomy|journal=The Pediatric Infectious Disease Journal|volume=7|issue=11 Suppl|pages=S146–149|issn=0891-3668|pmid=3064039|doi=10.1097/00006454-198811001-00005}}
  10. Brietzke SE, Gallagher D (June 2006). “The effectiveness of tonsillectomy and adenoidectomy in the treatment of pediatric obstructive sleep apnea/hypopnea syndrome: a meta-analysis”. 《Otolaryngol Head Neck Surg》 134 (6): 979–84. doi:10.1016/j.otohns.2006.02.033. PMID 16730542.  |title=에 라인 피드 문자가 있음(위치 73) (도움말)
  11. {{cite journal |vauthors =Paradise JL, Bluestone CD, Rogers KD |title=Efficacy of adenoidectomy for recurrent otitis media in children previously treated with tympanostomy-tube placement. Results of parallel randomized and nonrandomized trials |journal=JAMA |volume=263 |issue=15 |pages=2066–73 |date=April 1990|pmid=2181158 |url=http://jama.jamanetwork.com/article.aspx?volume=263&page=2066 |doi=10.1001/jama.1990.03440150074029|display-authors=etal}}
  12. {{cite journal |vauthors =van den Aardweg MT, Boonacker CW, Rovers MM, Hoes AW, Schilder AG |title=Effectiveness of adenoidectomy in children with recurrent upp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open randomised controlled trial |journal=BMJ |volume=343 |pages=d5154 |year=2011 |pmid=21896611 |pmc=3167877 |doi=10.1136/bmj.d5154 |url=http://www.bmj.com/cgi/pmidlookup?view=long&pmid=21896611}}
  13. {{Cite journal|last=Rynnel-Dagöö|first=Britta|last2=Ahlbom|first2=Anders|last3=Schiratzki|first3=Helge|date=2016-06-28|title=Effects of Adenoidectomy|url=http://journals.sagepub.com/doi/10.1177/000348947808700223%7Cjournal=Annals of Otology, Rhinology & Laryngology|language=en|volume=87|issue=2|pages=272–278|doi=10.1177/000348947808700223}}

 


Bibliography
  • Darrow D, Siemens C (2002). “Indications for tonsillectomy and adenoidectomy”. 《Laryngoscope》 112 (8 Pt 2 Suppl 100):   6–10. doi:10.1002/lary.5541121404. PMID 12172229.  |vauthors=에 라인 피드 문자가 있음(위치 10) (도움말)
  • Derkay C, Darrow D, LeFebvre S (1995). “Pediatric tonsillectomy and adenoidectomy

procedures”. 《AORN J》 62 (6):   885–904. doi:10.1016/S0001-2092(06)63556-4. PMID 9128745.  |vauthors=에 라인 피드 문자가 있음(위치 10) (도움말); |title=에 라인 피드 문자가 있음(위치 42) (도움말)

 


외부 링크

편집

[https://web.archive.org/web/20111112040833/http://www.surgeryinformation.info/2011/07/adenoidectomy-surgery.html Adenoidectomy Information]

 


{{Operations and other procedures on the nose, mouth, and pharynx}}

틀:Lymphatic organ proced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