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와니와니/연습장

소나무좀

편집
 
헝가리에서 촬영된 성인 소나무좀


학명은 Tomicus piniperda (Linnaeus),

영명은 Pine Bark Beetle이다. 한국, 일본, 중국, 시베리아, 유럽, 북미에 분포한다.

분류체계

편집

계 (Kingdom): 동물계 (Animalia)

문 (Phylum): 절지동물문 (Arthropoda)

강 (Class): 곤충강 (Insecta)

목 (Order): 딱정벌레목(Coleoptera)

과 (Family): 나무좀과(Scolytidae)

속 (Genus): 소나무좀속(Tomicus)

종 (Species): 소나무좀(piniperda)

피해

편집

소나무좀은 소나무, 해송, 잣나무, 스트로브잣나무 등의 소나무류를 가해하는데 30년생 정도의 나무에서 피해가 심한 경향이 있다. 수세가 쇠약한 벌목, 고사목에 기생한다. 월동성충이 수피를 뚫고 들어가 산란한 알에서 부화한 유충이 수피밑을 식해한다. 쇠약한 나무나 벌채한 나무에 기생하지만 대발생할 때에는 건전한 나무도 가해하여 고사시키기도한다. 신성충은 신초속을 뚫고 들어가 식해하여 고사시킨다.[1]

형태

편집

성충의 몸길이는 4~4.5mm이고 긴 타원형이며 체색은 광택이 광택이 있는 암갈색내지 흑색이며 회색의 털이 나있다. 촉각의 선단이 계란형이고 4절이다. 앞가슴은 앞쪽이 좁고 등쪽에는 점각이 있고 중앙에는 매끈하고 광택이 있는 종선이 있다. 앞날개에도 작은 점각이 있고 끝에는 1열의 둔한 돌기와 억센 털이 있다. 앞날개의 제 2열 사이에는 이것이 없다. 유충은 유백색으로 몸길이는 3mm 정도로 원통형이며 배쪽은 C자모양으로 구부러져 있다. 유충의 외형적인 형태로 나무좀 종류를 동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일반적으로 야외에서 식흔의 모양으로 구분하는 경우가 많다.

생태

편집

연 1회 발생하며 성충으로 월동한다. 봄과 여름 두번 가해한다. 지제부의 수피 틈에서 월동한 성충이 3월말~4월초에 평균기온이 15'C 정도 2~3일 계속되면 월동처에서 나와 쇠약목, 벌채목의 수피에 구멍을 뜷고 침입한다. 암컷성충이 앞서서 천공하고 들어가면 수컷이 따라 들어가며 교미를 끝낸 암컷은 밑에서 위로 10cm 가량의 갱도를 뚫고 갱도 양측에 약 60개의 알을 낳으며 산란기간은 12~20일이다. 부화한 유충은 갱도와 직각 방향으로 내수피를 파먹어 들어가면서 유충 갱도를 형성한다. 유충기간은 약 20일이고 2회 탈피한다. 유충은 5월 하순경에 갱도 끝에 타원형의 번데기집을 만들고 목질 섬유로 둘러 싼 후 그 속에서 번데기가 되며 번데기 기간은 16~20일이다. 신성충은 6월초부터 수피에 원형의 구멍을 뚫고 나와 가해 수종으로 이동하여 1년생 새가지 속을 위쪽으로 가해하다가 늦가을에 가해수종의 지제부 수피 틈에서 월동한다.

소나무좀 생활경과표
충태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성충
유충
번데기

방제

편집

화학적 방제

편집

약제 방제로는 3월하순 ~ 4월 중순에 페니트로티온 유제(50%) 또는 티아클로프리드 액상수화제(10%) 500배액을 1주일 간격으로 2~3회 살포한다.

생물적 방제

편집

기생성 천적인 좀벌류, 맵시벌류, 기생파리류 등을 보호한다. 딱따구리류 및 해충을 잡아먹는 각종 조류를 보호한다.

임업적 방제

편집

수세 쇠약목을 주로 가해하기 때문에 수세를 강화시키는 것이 가장 좋은 예방법이다. 수세가 쇠약한 나무는 미리 제거하고 원목과 침적은 5월 이전에 수피를 벗겨 번식처를 없앤다. 1~2월 중에 벌채된 소나무 원목을 1m 가량 잘라 2월 말에 임내에 세워 유인 산란시킨 후 5월 중에 껍질을 벗겨 유충을 구제한다. 숲 가꾸기 지역 내 벌채목을 제거하여 6월에 신성충의 후식 피해를 막는다.

물리적 방제

편집

1~2월중에 벌채된 소나무 원목을 1m가량 잘라 2월 말에 임내에 세워 유인 산란시킨 후 이것을 수집하여 소각한다.

종류

편집

소나무뿔나무좀, 소나무좁은나무좀, 소나무검정좀붙이, 가시소나무좀, 소나무줄나무좀, 갈색소나무좀, 세쌍니나무좀, 여섯가시큰나무좀 등이 있다.

각주

편집

외부링크

편집

나무로닷컴-병해충도감 : 소나무좀 산림청-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1] 산림조합중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