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2020012023 임선영/연습장

버즘나무 방패벌레
버즘나무 방패벌레의 성충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Animalia)
문: 절지동물문(Arthropoda)
강: 곤충강(Insecta)
목: 노린재목(Hemiptera)
과: 방패벌레과(Tingitidae)
속: Corythucha
학명
Corythucha ciliata
[출처 필요]

버즘나무 방패벌레

편집

버즘나무 방패벌레는 노린재목 방패벌레과이며 학명은 Corythucha ciliata 이다. 주로 한국, 미국, 캐나다, 유럽에서 분포한다.[1] 주로 버즘나무류, 물푸레나무류, 닥나무를 가해한다.[2]

피해

편집

북아메리카와 유럽에 분포하여 주로 양버즘나무를 가해하는 해충으로 아시아지역에는 분포하지 않았던 해충이다. 1995년 충북 청주에서 국내 첫 발생이 확인된 후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약충이 버즘나무류의 잎 뒷면에 모여 흡즙 가해하는 흡즙성 해충이며, 피해 잎은 황백색으로 변한다. 임목을 고사시킬 정도로 심한 피해를 주지 않으나 가로수인 버즘나무의 잎을 변색시켜 경관을 크게 해친다.[1] 특히 장마를 거친 후나 장마가 끝나는 8월 경에 피해가 심해진다. [3]

형태

편집

성충은 몸길이가 3.0~3.2mm이며 몸은 검은색이나 날개가 유백색이다. 머리 부분이 유백색의 원추형이고 더듬이는 4마디로 연황색이다. 앞날개는 편평하며 그물 모양의 작은 방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백색이다. 앞날개의 옆에는 짧은 검은 가시들이 있고 중앙에는 검은색의 둥근 돌기가 발달 되어 있다. 노숙한 약충은 크기가 성충과 같으며 검은색이고 머리는 장방형이며 겹눈이 잘 발달 되어 있다. 앞가슴 옆판은 옆으로 팽창되어 있으며 납작한 모양을 띠고 측면에는 3개의 가시 다발이 있다. 배의 마지막 두 마디의 복판에는 가늘고 짧은 연황색 털이 밀생되어 있다.[1]

생태

편집

연 3세대가 발생하고 9월 하순부터 성충으로 월동한다.[1] 이듬해 4월 하순에 잎으로 이동 후 잎 뒷면에 무더기로 산란한다. 산란수는 평균 23개이며 난기간은 2주이다. 약충은 4회 탈피하며 노숙유충이 되며 기간은 5~6주로 14일 정도이다.[3] 6월 이후 온도가 상승하며 발육속도가 빨라져 7월 경에는 2-3세대가 혼재한다.[2]

방제법

편집
화학적 방제 - 장마 이후 많은 발생이 예상되므로 7월 중에 6mm의 드릴을 이용하여 나무줄기에 구멍을 뚫고 침투 이행성 살충제인 이미다클로프리드 분산성 액제(20%)를 흉고직경(cm)당 0.3㎖의 약량을 나무에 주사한다. [2]

- 피해 초기 또는 장마 후에 에토펜프록스 유제(20%) 또는 수화제(10%) 1,000배액을 수관에 살포한다. [2]

생물적 방제 - 포식성 천적인 무당벌레류, 풀잠자리류, 거미류 등을 보호한다. [3]
물리적 방제 - 피해 잎을 제거하여 소각한다. [3]

각주(출처)

편집

[1] 산림청: https://www.forest.go.kr/kfsweb/mer/fip/dbhis/selectInsectDetail.do?dbhisIdno=249&dbhisTpcd=20&searchCnd=&searchWrd=&pageIndex=1&orgId=&mn=NKFS_02_02_02_02_01

[2] 대전광역시 한밭수목원 수목병해충정보: https://www.daejeon.go.kr/gar/board/boardNormalView.do?boardId=normal_0002&menuSeq=2304&ntatcSeq=11942&pageIndex=1&searchKeyword=%EB%B2%84%EC%A6%98%EB%82%98%EB%AC%B4

[3] 산림조합중앙회: http://iforest.nfcf.or.kr/forest/user.tdf?a=common.HtmlApp&c=3001&d=&page=/cyber/information/Tree0609.html&mc=CYB_FIF_NMJ_ZYB_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