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Alvis Jean/번역공장/모네 플랜

  • 이 문서는 한국어판 번역을 위하여 대기된 자료입니다.
이 문서는 1945년부터 1947년까지 제 2차 세계대전 전후의 계획에 관한것만을 다룹니다. 1950년 이후의 모네 플랜에 관한것은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 문서를 참조해주십시오.

모네 플랜은 프랑스의 경제기획원장 장 모네가 '현대화 및 설비 계획'이라는 이름으로 제 2차 세계대전 이후의 프랑스 재건을 위해 추진된 경제 계획이었다. It was a reconstruction plan for France that proposed giving 프랑스 control over the 독일 coal and steel areas of the 루르 지대 and 자를란트 and using these resources to bring France to 150% of pre-war industrial production. The plan was adopted by 샤를 드골 in early 1946. The plan would permanently limit Germany's industrial capacity. It would also ensure the use of Germany's resources for European reconstruction.


추진 배경

편집

The early French plans were concerned with keeping Germany weak and strengthening the French economy at the expense of that of Germany. French foreign policy aimed at dismantling German heavy industry, place the coal rich Ruhr area and Rhineland under French control or at a minimum internationalize them, and also to join the coal rich Saarland with the iron rich province of Lorraine (which had been handed over from Germany to France again in 1944).[1] When American diplomats reminded the French of what a devastating effect this would have on the German economy, France's response was to suggest the Germans would just have to "make [the] necessary adjustments" to deal with the inevitable foreign exchange deficit"."[1]

5개년 계획

편집
파일:West germany res 2972.jpg
West German resources map, 1972. Note the location of the Coal-fields, in Blue.

The "Monnet plan" was in effect the first Five year plan for Modernization and Equipment, a plan for national economic reconstruction which drew heavily on earlier French plans to make France the largest Steel producer in Europe. Monnets aim was to modernize the French economy so as to make it internationally competitive, especially versus German exports. To carry out his plans he shaped the Planning Commissariat and entrenched it in the French bureaucracy. Germany was seen as a necessary tool for carrying out the plans. The planned steel production increases to 15 million tonnes of steel a year could only be achieved by replacing former German steel exports and increasing the imports of German coal and coke, making control of this German resource vital.[2]

French proposals for the the area spanned by the German coal fields east of the Rhine had since late 1945 therefore been to turn it into an International State with its own currency and customs, and supervised by an International Authority which would include the U.S. and France. Part of the reason for these proposals were in 1946 explained to the U.S. by a French Foreign Office official: "With the aim of military security we prefer to increase French steel production and output to the detriment of the Ruhr".[2]

The U.K. and the U.S. were generally reluctant to acquiesce to the French demands, since they feared it would lead to increased Russian influence.[2]

Monnets records show that he showed no interest in European unity in the years 1945-1948. Western European integration is not in evidence until April 1948, when he realized it was a central US objective.[3] He then wrote to Schumann that to ward of the current dangers there was only one solution; it would "only be possible through the creation of a federation of the west".[3]

자를란트 지역 문제

편집
 
100 Saar franken coin

In 1947 France detached the coal rich Saar area from Germany and turned it into the Saar protectorate under French economic control. The area returned to German administration in Jaunuary 1, 1957, but France retained the right to mine from its coal mines until 1981.

As a protectorate the Saar area was economically integrated with France and nominally politically independent although security and foreign policy was dictated from France. In addition, France maintained a High Commissioner in the Saar with wide ranging powers. Parties advocating a return of the Saar to Germany were banned, with the consequence that West Germany did not recognize the democratic legality of the Saar government. In view of continued conflict between Germany and France over the future of the Saarland efforts were made by the other Western European nations to find a solution to the potentially dangerous problem. Placed under increasing international pressure France finally agreed to a compromise. The Saar territory was to be Europeanised under the context of the Western European Union. France and Germany agreed in the Paris Agreements that until a peace treaty was signed with Germany, the Saar area would be governed under a "statute" that was to be supervised by a European Commissioner who in turn would be responsible to the Council of Ministers of the Western European Union. The Saarland would however have to remain in economic union with France.[4][5]

Despite the endorsement of the statute by West Germany, in the 1955 referendum amongst the Saarlanders that was needed for it to come into effect the statute was rejected by 67.7% of the population. Despite French pre-referendum assertions that a no to the statute would simple result in the Saarland remaining in its previous status as a French controlled territory, the claim of the campaign group for a "no" to the statute that it would lead to unification with West Germany turned out to be correct. The Saarland was politically reintegrated with West Germany in 1 January 1957, but economic reintegration took many additional years. In return for agreeing to return the Saar France demanded and gained the following concessions: France was permitted to extract coal from the Warndt coal deposit until 1981. Germany had to agree to the channelisation of the Moselle. This reduced French freight costs in the Lorraine steel industry. Germany had to agree to the teaching of French as the first foreign language in schools in the Saarland. Although no longer binding, the agreement is still in the main followed.[6][5]

As one minor consequence of French efforts to Frenchify the territory, it was alone in the western occupied territories not to accept any refugees from the expulsions of Germans in the Eastern provinces and German settlements elsewhere in Eastern Europe. France did not wish to increase the German speaking population in the territory.

루르 공업지역 문제

편집
 
Map showing details of the French proposal for the detachment of the Ruhr area from Germany.

In September 1946 the US government stated in the Stuttgart speech Restatement of Policy on Germany that it would accept the French claims on the Saarland, but that: "the United States will not support any encroachment on territory which is indisputably German or any division of Germany which is not genuinely desired by the people concerned. So far as the United States is aware the people of the Ruhr area and the 라인라트 desire to remain united with the rest of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 is not going to oppose their desire."

The U.S. was at this point in time becoming more concerned by the risk of Western Germany slipping into the communist camp, and a detachment of the Ruhr from Germany was seen as dangerous from that standpoint.

However, in 1949 The Ruhr Agreement was imposed on the (West) Germans as a pre-condition for permitting them to establish the 독일연방공화국.[7] By controlling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coal and steel (i.e. how much coal and steel the Germans themselves would get), the International Authority for the Ruhr in effect controlled the entire West German economy, much to the dismay of the Germans. They were however permitted to send their delegations to the authority after the Petersberg agreement.

With the 1951 West German agreement to in 1952 join the European Coal and Steel Community in order to lift the restrictions imposed by the IAR,[8] thus also ensuring French security by perpetuating French access to Ruhr coal,[9] the role of the IAR was taken over by the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10]

함께 보기

편집


프독 공동교과서 소개 자료 몇가지

편집

임시정부는 1944년 3월 15일 레지스탕스 전국평의회가 채택한 강령을 토대로 국가의 재건과 현대화를 촉진하기 위한 일련의 사회경제적 개혁을 단행했다. 노동자들이 이 생산을 위한 투쟁의 전장에 홍보요원으로 동원되었다.

노동자 모두를 대상으로 하는 사회보장제의 도입은 사회복지국가 초기 프랑스만의 두드러진 특징이다. 정부는 생산에 박차를 가하고 투자를 조율하기 위해 산업과 재정의 핵심분야를 국유화했다. 1946년에는 경제기획원장 장 모네가 '현대화 및 설비 계획', 즉 프랑스 경제의 현대화를 위한 일종의 계획경제안을 완성했다. 이 모든 개혁을 통해 광점위한 공공분야가 공존하는 혼합경제체제가 구축되었다.

  • 사회보장제의 원칙과 목표

가) 1945년 10월 4일 제정된 법령 일부 사회조방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개인과 그 가족이 적정한 환경에서 생계를 유지해나가는 데 필요한 수단을 보장해주는것이다. 그 정당성은 기본적인 배렬를 통해 사회정의를 구현한다는데 있다. 사회보장은 노동자들을 미래에 대한 지속적인 불안감, 즉, 노동자들 사이에 열듬감을 조성할뿐만 아니라 자기 자신과 자신의 미래를 확신하는 유산자들과 매순간 빈곤의 나락으로 떨어질 위기에 처하곤 하는 노동자들을 계급으로 구분짓는 실질적이고도 뿌리깊은 토대이기도 한 불안감에서 해방시키려는 노력이다.

나) 피에르 라로크의 글, 사회보장은, 무엇보다 취업을 보장하는것이다. 일자리를 원하는 사람 누구나가 돈벌이가 되는 경제활동을 보장받아야 한다. 사회보장은 실업타파를 요구한다.

두번째로 사회보장은 소들을 보장해주는것이다. 일하는 사람들 모두가 적정수준의 생계비를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세번째로 사회보장은 노동력을 보장하는것이다. 이는 노동자가 갱계 유지에 필요한 비용을 온전히 확보할 수 있는 직업 활동을 유지하는 한편, 신체적 노동능력을 위협하는 모든 요소로들로부터 노동자를 보호하기 위한것이다. 이런맥락에서 사회보장은 의료문제까지 포괄한다.

(피에르 라르크, <사회보험부터 사회보장제도까지, 프랑스의 실험(프랑스어: De'assurance sociale à la Sécurité sociale, L'expérience française/Revue Internationale dy travail)

  • 현대회 및 설비계획 수립 수립령 1946년 1월 3일 공표

제 1조 6개월 안에 프랑스 본토와 해외영토의 현대화 및 산업설비 구축을 위한 1차 총괄계획을 수립한다. 계혹이 최우선적으로 지향하는 목표는 다음과 같다.

1. 프랑스 본토와 해외영토의 생산을 증대하고, 외국과의 물자 교역, 특히 프랑스의 입지가 유리한 분야의 교역을 활성화한다.

2. 가장 높은 국가 수준으로 노동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3. 노동 인력의 완전한 취업을 보장한다.

4. 인민의 생활 수준을 높이고, 주거환경을 개선한다.

이 계획은 전쟁으로 손상을 입거나 파괴된 공공시설 및 민간시설을 포함한다.

  • 프랑스식 계획경제: 국가가 주요부문에서 경제적 지침을 내리는 한편, 사기업들은 시장경제 원칙에 따라 활동하는 일종의 혼합경제. 프랑스식 계획경제는 정부가 경제를 완전히 통제하는 소비에트 연방식 계획경제와는 다르다.
  • 국유화시간표

1944년 12월 노르도와 파드칼레도의 탄전/1945년 1월 르노/1945년 3월 에어 프랑스/1945년 12월 프랑스 은행,리옹은행,소시에테 제네랄,국립산업은행,국립파리할인은행/1946년 3,4월 프랑스 전기공사,프랑스 가스공사, 프랑스 석탄공사/1948년 3월 파리교통공사

  • 르노 국영화 법령: 1945년 1월 16일 제정 법률

건설적인 미래를 지향하는 것은 예전 수준을 회복하는것만큼이나 중요한 일이다. (중략) 따라서 정부는 르노사의 공장들을 신속하게 재가동하는 데 주의를 기울이는 것 이상으로, 국가적 수요에 부응하는 생산계획을 수립하고 생산수단과 직공들의 노동조건을 점진적으로 개선하는 데 신경을 써야 한다. 생산과정의 합리화와 발전을 내포한 프랑스 자동차산업의 재건을 위한 총괄계획의 테두리 내에서, 국가는 르노사의 설비를 신속하게 현대화하고, 생산 및 판매방식도 완벽하게 재구축해야한다. 프랑스의 대규모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근본적인 혁력이 불가능할만큼 서로를 불신해왔다. 또한 기계및 시설의 빠른 노호화로 그 활력을 잠식당해왔다. 이러한 상황들을 노려한다면, 국가가 나서서 자동차 산업의 모범사례를 제시하며 산업발전을 위한 노력의 구심점이자 주축이 되어야 할 것이다.

(프독공동교과서 34/35쪽)

레지스탕스 전국평의회 강령 - 경제계의 거대 재벌빛 금융자본가들을 몰아내고 진정한 경제사회적 민주주의를 정립한다. - 국내생산에 참여하고 있는 모든 부문의 대표들과 논의 한 후 국가가 확정한 계획의 선상에서 국가의 생산활동을 집중한다. - 공공 노동의 산물인 에너지 자원, 지하자원, 보험회사와 대규모 은행같은 거대한 독점점 생산수단을 다시 국유화한다. - 기업 내에서 필요한 자질을 갖춘 노동자들이 관리직 및 행정직에서 일할 수 있는 기회와 노동자가 기업 경영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보장한다. (이상 A 경제부분) - 노동자와 그 자족이 안전과 품위,인간다운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적절한 임금과 대우를 보장한다. - 경제사회생활을 조직화하는데 있어서 폭 넓은 권한을 갖추고 전통적 자유를 구가하는 독립적 노조를 재창설한다. - 인민이 노동을 통해 생계를 이어갈 수 없는 경우에 대비하혀 완전한 사회보장계획을 수립한다. (이상 B 사회부문)

(프독공동교과서 33쪽)


참고 자료 일람

편집
  1. http://www.collectionscanada.ca/obj/s4/f2/dsk2/ftp03/MQ54257.pdf
  2. Alan S. Milward, "The Reconstruction of Western Europe, 1945-51" pp. 97-98
  3. Alan S. Milward, George Brennan, Federico Romero "The European Rescue of the Nation-state: Second Edition" p.295
  4. Yes or No, Time Magazine Monday, Oct. 17, 1955
  5. Bverfg No. 7 E 4, 157 1 BvF 1/55 "Saar Statute" Institute of Global Law, University College London (Google Caché)
  6. The issue of the Saar European NAvigator
  7. Amos Yoder, "The Ruhr Authority and the German Problem", The Review of Politics, Vol. 17, No. 3 (Jul., 1955), pp. 345-358
  8. No more guns from the Ruhr!
  9. France Restored: Cold War Diplomacy and the Quest for Leadership in Europe, 1944-1954 H-Net Reviews June 2001
  10. Information bulletin Frankfurt, Germany: Office of the US High Commissioner for Germany Office of Public Affairs, Public Relations Division, APO 757, US Army, January 1952 "Plans for terminating international authority for the Ruhr" , pp. 61-62] (main URL)

연결 고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