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Chaeyoung907/연습장


저자

편집

조영태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교수로 인구학자이다. 고려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텍사스대학교에서 사회학으로 석사를, 인구학으로 박사를 취득했다. 2004년부터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교수로 재직중이다. 우리나라는 물론 미국, 일본, 중국, 베트남 등 주요 국가들의 인구변동 특성을 통해 미래사회를 예측하려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고, 모바일기기로 수집되는 개인 건강관련 빅데이터가 보건분야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지에 대한 학술적 궁금증을 탐구하고 있다.

저서로 정해진 미래(2016, 북스톤), 정해진 미래 시장의 기회(2018, 북스톤)가 있다.

요약

편집

본문

편집

1) 현재가 아닌 미래를 기준으로 삼아라

-산아제한론과 출산촉진론

-한국,모범국의 아이러니

-한국 부동산 정책

2) 저출산 시대,모든 것이 공급과잉

-줄어드는 아동인구

-교육은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가

-군대는 누가 채우나

3) 저출산+고령화, 전쟁 같은 밥그릇 싸움

-저출산은 취업의 기회일까?

-노동시장의 노화

-대안은 시스템이다

4) 저출산+고령화+저성장, 대안은 해외에?

-어떤 인구가 발전에 유리한가

-생산인구가 한국에 들어오면 될까?

-해외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5) 작고 안정적인 한국을 준비하자

-여성들이 아이를 더 낳게 하려면

-인구대책, ‘복지’가 아닌 ‘투자’여야 한다

-작아지는 사회에 맞는 체질을 만들자

리뷰

편집

지난 10년 동안 100조라는 예산이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 쓰였다. 정책 개수도 200개나 된다. 그러나 효과는 미미하다. 왜 그럴까? 혼인세대는 결혼을 미루고 젊은 부부들은 아이 낳기를 겁낸다. 이유가 무엇일까? 인구정책이 ‘출산’이라는 그 자체의 틀 안에만 매몰돼 그들이 출산을 꺼리는 이유를 제대로 헤아리지 못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조영태 교수는 과거에서 미래까지, 한국의 추세부터 세계적 추세까지 모두 보여준다. 또, 해결되지 않는 저출산 문제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등장한 인구학적 관점에 대해 쉽게 소개한다.

이승욱(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전 한국인구학회 회장)


부존자원도 마땅히 없이 지난 70년간 기적같은 성장을 만들어낸 대한민국에서, 우리는 우리 ‘한국인’ 자체가 그 기적의 원천임을 미처 몰랐습니다. 이제 그 원천이 마르지 않을까 두려움에 사로잡힌 지금, ‘우리의 미래’는 상당히 정해져 있다는 불편한 진실을 저자는 낱낱이 보여줍니다. 정해진 미래 속 좀 더 나은 ‘각자의 미래’를 빨리 준비하시려는 분들에게 일독을 권합니다.

송길영(다음소프트 부사장, 『상상하지 말라』 저자)


저성장 흐름에 접어든 우리나라 경제에 ‘고령화’는 또 하나의 부담이 된다. 일시적인 위기가 아니라 10년 이상 계속 품고 가야 할 만성질환 같다는 점이 문제다. 인구구조가 급변하고 경쟁은 점점 치열해지는 오늘날, 보험뿐 아니라 모든 산업에 요구되는 자질은 바로 ‘적응’이 아닐까? 현재의 변화에 맞추는 것은 물론, 미래 우리 사회가 어떻게 변해갈지 가늠하고 적극적으로 적응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저명한 인구학자인 저자는 100세 시대에 적응하기 위해 갖춰야 할 마인드와 전략을 솔직하고도 소신 있게 제시한다. 개인과 기업과 정부가 저출산·고령화 시대의 대응전략을 고민할 때 유용한 참고가 되리라 생각한다.

이수창(생명보험협회 회장)


이 책의 이름이 정해진 미래인 이유는 우리가 인구와 인구구조의 변화를 파악하면 미래의 모습을 어느정도 예측할 수 있어서이다. 이 책은 기존 관점과 다른 주장을 몇 가지한다. 첫째, 기존에는 저출산 고령화가 변화시킬 거시적인 문제에 대한 생각이 많았다면, 저자는 개인과 일상의 변화에 대해 말한다.둘째, 이런 변화에 대한 새로운 대응방식을 제시한다. 저자는 과거의 관행이나 현재가 아니라 '어느 정도 정해진 미래'를 기준으로 정책을 수립하거나 선택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작아진 인구를 키우는 데에 집중하기보다는 다운사이징을 받아들이고, 그에 맞는 체질로 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최상오(국회휴먼네트워크 학예연구사)


저자는 인구 추이를 바탕으로 우리의 미래를 제시했다. 한국 베이비붐 세대는 1955~1974년 해마다 90만~100만명씩 출생했다. 그러나 2002년부터 출생 숫자가 50만명 밑으로, 2017년엔 30만명까지 내려갔다. 교육시설과 대형 아파트 같은 사회기반시설 모두 ‘공급과잉’이 되어 버린다. 이것이 바로 우리의 ‘정해진’ 미래다. 책에서는 단순히 출산율을 높일 방안에 대해서 얘기하지 않는다. 출산 외적인 요인을 함께 본다. 이 책을 계기로 성별·국적·인종 등에 대해 폭넓게 생각하는 계기로 삼으면 어떨까? 다문화가정은 물론 재외동포에 대해서도 ‘인적 자원, 한국의 대외 잠재력’으로 인식을 바꿀 때가 됐다.

이미경(코이카 이사장)

평가

편집

1) 비판

2) 사회적 영향

3) 논란

참고문헌

편집

https://www.naon.go.kr/content/html/2019/05/31/9eaf9263-d02b-4c8a-9502-8c203ab73c52.html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1904032238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