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Chltjdgh20/연습장

가신신앙

편집

가택 자체 또는 가택의 구조마다 신이 존재하여 그 공간에 사는 가족 구성원을 보살펴 준다고 믿는 신앙으로 한국 민간 신앙의 한 유형이다. 가신의 대상은 다양하며 집 인에 모실 수 있는 곳이라면 어느 곳이나 존재할 만큼 수가 많다.[1]가신을 위로하고 집안의 안녕을 바라면서 안택(安宅)과 고사 라는 의례를 행한다.

용어

편집

가신을 섬기는 신앙을 ‘가신신앙’·‘가족신앙’·‘가정신앙’이라고 일컬으며, 가신의 명칭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다.[2] 김태곤과 현용준은 ‘가신신앙’, 장주근과 박계홍은 ‘가정신앙’이라고 하였으며, 이문웅과 김선풍은 ‘가족신앙’과 ‘가신신앙’을 병기한 것을 보면 해당 지역 조사자에 따라 가신신앙에 대한 용어를 달리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3] 현재는 ‘가신신앙’·‘가정신앙’이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한편, 집 안에 있는 신들을 표현할 때 김광언은 가신에 해당하는 우리말인 ‘집지킴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고,[4] 일제강점기 때 우리 민속에 관한 글을 남긴 이능화는 가신을 ‘가택신(家宅神)’이라는 용어로 표현하였다.[5]

종류와 기능

편집

가신의 종류를 이능화(李能和)는 성주(城主)·터주·제석(帝釋)·업(業)·조왕·문신(門神) 등 6종을 들었고, 아키바(秋葉隆)는 성주·제석·대감(大監)·지신(地神)·터주·조왕·걸립(乞粒)·수문장·측신(厠神) 등 9종을, 그리고 임동권(任東權)은 성주·터주·제석·사창신(司倉神)·조왕·수문신·측신 등 8종을 든 바 있다.[6]

성주신

편집

조상신

편집

조왕신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