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Dagongpark/연습장

옥성득 (한국기독교 역사학자)


옥성득(1959년~)은 현재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학교(UCLA) 아시아언어문화학과의 임동순임미자 석좌 한국기독교 교수이다. 1984년 아펜젤러 문서를 번역하면서 한국 기독교사 연구를 시작했다. 2002-03년 UCLA에서 Henry Luce Foundation Postdoctoral Fellow of Korean Christianity로 일한 이후 전임강사를 거쳐 2007년 7월에 조교수, 2011년 7월에 부교수(종신직)로 임명되었으며 한국기독교, 한국종교, 한국근대사상사 등을 가르치고 있다. UCLA는 해외에서 한국기독교를 정식 과목으로 가르치는 유일한 일반 대학교이다. 한국기독교 석좌직은 임동순 임미자 부부의 기금으로 2007년에 만들어졌으며, 학술대회와 초청 강연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http://alc.ucla.edu/people1/117[http://www.pckworld.com/news/articleView.html?idxno=38197


학력:
서울대학교 영문학과(1986)와 국사학과(1988)를 졸업했다. 장로회신학대학교에서 목회학석사(1991)와 신학석사(1993)를 한 후 미국에 유학 가서 프린스턴신학교에서 신학석사(1994)로 졸업했고, 보스턴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기독교역사로 신학박사(2002년) 학위를 받았다. 박사학위 논문은 "The Indigenization of Christianity in Korea: Protestant Missionaries' Attitudes toward Korean Religions, 1884-1910" (지도교수 Dana L. Robert)였다. http://www.international.ucla.edu/korea/people/person.asp?Facultystaff_ID=616


출판물 [http://koreanchristianity.humnet.ucla.edu/<br%20/> 옥성득의 주된 연구 주제는 개항기와 일제시대 한국 개신교의 역사로 개신교가 한국 종교와 만나 이루어진 기독교의 토착화 과정이다. 그의 '하나님' 용어 문제에 대한 논문이나 성경 번역사에 대한 연구 등은 한국적 기독교의 창출에 대한 연구이다. 그는 초기 선교사들과 의료선교, 근대 간호 역사 등을 연구하고 있다.

단독 저서:
2013 The Making of Korean Christianity: Protestant Encounters with Korean Religions, 1876~1915. Waco, TX: Baylor University Press (Sept. 2013).
2012 韓國看護 歷史畵報集 A Pictorial History of Nursing in Korea, 1885-1945. 서울: 대한간호협회.
2009 韓半島大復興 [The First Great Revivals: A Pictorial History of Korean Protestant Christianity, 1900~1910]. 서울: 홍성사.

공저:
1996 옥성득 외. 北韓敎會史. 서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5 옥성득, 류대영, 이만열, 大韓聖書公會史 II. 서울: 대한성서공회.
1993 옥성득, 이만열, 大韓聖書公會史 I. 서울: 대한성서공회.

단독 편역서:
2011 馬布三悅 書翰集 Samuel Austin Moffett Papers. vol. I. 1868~1894. 서울: 두란노아카데미.
2011 韓國看護史資料集 Sources of Nursing History in Korea. vol. I. 1886~1911. 서울: 대한간호협회.
2011 大韓聖書公會 歷史資料集 3: 밀러總務書信 Correspondence of Hugh Miller, 1909~1937. 서울: 대한성서공회.
2005 Selected Reports and Tracts of the Korea Mission of the PCUSA. 서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4 Sources of Korean Christianity, 1832~1945. Seoul: Institute for Korean Church History.

공동 편역서:
2010~05 언더우드 資料集. 전5권 Horace Grant Underwood Papers. 5 vols. 1884~1922. 서울: 연세대학교출판부,
2007 韓國敎會 復興運動 資料集 Primary Sources of the Great Revival Movement in Korea, 1903~1908.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006 大韓聖書公會 歷史資料集 2:켄뮤어總務書信 Correspondence of Alexander Kenmure,1900~1905. 서울: 대한성서공회.
2004 大韓聖書公會 歷史資料集 1:로스書信과 루미스書信 Correspondence of John Ross and Correspondence of Henry Loomis. 서울: 대한성서공회.

최근 논문
2012 "Competing Chinese Names for God: The Chinese Term Question and Its Influence upon Korea," Journal of Korean Religions 3-2 (Oct. 2012): 1-27.[1]
2012 "Major Protestant Revivals in Korea, 1903-1935," Studies of World Christianity 18.3 (Oct. 2012):269–290. [2].
2012 "初期 改新敎 看護와 看護敎育의 正體性:1903年에 設立된 保救女館 看護員養成學敎와 에드먼즈를 中心으로" 한국기독교와 역사 (March 2012): 185-225.
2010 "Images of the Cross in Early Modern Korea: The Geomantic Prophecy of the Chŏnggam-nok and the Protestant Flag of the Red Cross," Journal of Korean Religions 1 (Sept. 2010):117-161.
2010 “Healing and Exorcism: Christian Encounters with Shamanism in Early Modern Korea,”Asian Ethnology 65:1 (July 2010): 99-135.


출처와 추가 정보
Online Archive Korean Christianity: http://koreanchristianity.humnet.ucla.edu/
UCLA Department of Asian Languages and Cultures: http://alc.ucla.edu/
UCLA Center for Korean Studies: http://www.international.ucla.edu/korea/index.asp
Korea Daily, "Interview," (Los Angeles, May 8, 2012), p. 23. http://koreanchristianity.humnet.ucla.edu/images/%EC%98%A5%EC%84%B1%EB%93%9D%20korea%20daily%20interview.pdf
Center for Global Christianity and Missions, Boston University School of Theology, "Interview," Newsletter (Winter 2012). http://www.bu.edu/cgcm/files/2012/04/Winter-2012-newsletter.pdf
"Interview," Mokhoe wa Sinhak (Seoul: December 2011). http://qt1000.duranno.com/moksin/detail.asp?CTS_YER=2012&CTS_MON=1&CTS_ID=88769&CTS_CTG_COD=67
Center for Global Christianity and Mission, Boston University School of Theology, Newsletter (June 2007): http://www.bu.edu/cgcm/files/2010/08/CGCM-May-June-2007.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