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Fingertips21/연습장

세종연구원



세종연구원(Sejong Institution, 이사장 주명건)은 한국의 발전방향과 전략에 대한 연구분석을 통하여 현실적 정책대안을 마련하고 실질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국가발전에 기여하고자 1978년에 설립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심포지엄과 강연회를 개최하여 정부·기업·학계 등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함으로써 현실성 있는 정책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세종연구원은 한국을 초일류국가로 만들기 위해 지경학적 여건을 활용하는 국토개조전략(SMART Deal)을 제시해왔다. SMART Deal(Self-financed Maritime Air and River Transport Deal)은 내륙수운체계건설, 경기만 간척, 담수호 및 177개 상류댐 건설, 상수원 이전 및 델타형 국토개조전략 등을 포괄한다. SMART Deal은 재원을 자체 조달하여 물류비를 낮추고, 용수확보 및 상수원의 수질오염을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메가 프로젝트를 통해 한국은 생산성을 높이고, 복지재원을 조달함으로써 청년실업, 고령화,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도약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다.



목 차


1. 연혁

2. 주요연구영역

3. 주요활동내용

4. 바깥고리




1. 연혁



1978년 세종연구원 설립

1992년 사단법인화

2012년 재단법인화

2012년 신구 원장 취임




2. 주요연구영역



생산적 복지와 고용창출을 위한 재원조성 방안연구

항공우주산업의 현황과 발전방안 및 전략연구

한국을 FTA허브로 발전시키기 위한 전략연구

국제의사소통 수단인 세계어(Unish) 개발연구

수도권 상수원 합리화연구

물류혁명을 위한 국토운하 개발연구

통일시대를 대비한 경기만 개발연구




3. 주요활동내용



1) 심포지엄



국가적으로 민감한 주요과제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견해를 수렴하여 정부에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며, 학술연구의 주요 쟁점분야를 연구하기 위해 정부, 학계, 업계 등 사회 각 분야의 저명인사를 초청하여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있다.



가. 경기만 프로젝트_ 세계 경제의 중심으로 부상하는 동북아 지역의 허브항 건설과 경기만 간척부지에 다양한 국제기구를 유치하고 금융허브를 만듦으로써 한반도의 긴장관계를 해소하고 한국을 세계의 평화수도로 만들 수 있다.


경기만 개발의 필요성 (2011.6) 생산적 복지와 고용창출을 위한 재원조성 방안 (2012.1)



나. 내륙수운체계_ 4대강을 중심으로 수운기능을 갖춘 내륙수운체계의 구축은 국토의 균형적 발전, 물류비 절감을 통한 대외경쟁력 제고, 친환경적 수송에 의한 교통혼잡 감소 등 한국의 국가경쟁력을 제고시킬 수 있다.


한강과 낙동강운하 가능성과 내륙운하의 필요성 (1995.3)

한국의 내륙수운체계의 타당성에 관한 2차 분석 (1995.4)

대청지역 내륙운하의 필요성과 타당성 (1995.9)

수도권지역의 내륙운하 개발계획 (1995.10)

수도권지역 내륙운하의 국가방위 전략의 효과 (1996.1)

아시아 중추항만으로서의 신부산항 물류전략 (1996.5)

물자원 개발과 국가경쟁력 (1996.8)

경부, 경운 운하의 건설과 국가경쟁력 (1996.8)

운하시스템과 중추항만 개발의 가능성 (1997.7)

국가 운하 건설을 위한 SMART시스템 : 델타형 국토개조전략 (1999.8)



다. 경제통합_ 오늘날 세계는 지역주의 확산, 자본이동의 자유화에 따른 경제통합 등 국가사회에서 세계사회로 이전되면서 한 국가가 통제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게 되었다. 급변하는 세계 속에서 한국의 생존전략은 한-미 FTA, 한-EU FTA, 한-중 FTA를 완성해 세계의 FTA 허브가 되는 것이다.


경제블록화 추세와 한국의 미래 방향 (1992.10)

WORFTA의 경제적 이익 및 촉진 방법 (1993.11)

세계경제통합에 있어서 관광산업의 역할 (1994.4)

WTO의 도전과 효과적인 대응책 (1994.5)

APEC의 발전과 한국의 역할 (1994.11)

동남아 경제블록화 개념과 한국의 선택 (1995.10)

국제 교역전의 경제적 영향과 추진전략 (1997.9)

KONJAC 자유무역협정의 필요성과 추진방향 (1999.8)

경제통합 (2011.12)

한국의 FTA 허브 전략(2012.12)



라. 세계어(Unish)_ 국제기구의 다양한 공식어는 엄청난 비용을 초래하며, 다수의 공식어로 인해 조문의 사소한 해석 차이가 국제분쟁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국제기구의 공식어이자 나아가서는 세계시민 모두가 사용할 수 있는 세계공용어를 마련해야 한다.



세계공용어의 필요성과 한국어 제안 (1995.10)

창조인가 진화인가? 모든 사람이 귀 기울일 세계어 (1998.7)

Unish(세계어) 기본단어 선정 (1999.11)

Unish의 필요성과 개발방향 (1999.12)

세계어 Unish의 개발목적 (2000.6)



마. 항공우주산업_ 항공우주산업은 최첨단의 기술집약적 산업이고, 그 전후방산업에 대한 연관효과와 기술의 파급효과가 매우 크다. 따라서 항공우주산업은 국가의 전략산업이자 국가안보를 실현할 수 있는 핵심분야로 집중 육성되어야 한다.



유성과 지구와의 충돌 가능성 (1994.5)

세계 항공방산 및 상업용 우주산업의 현황과 우리나라 항공우주산업의 발전방안 및 전략 (2013.2)



바. 통일문제_ 북한의 핵개발은 세계의 안보를 위협하고 있으며, 무기체계의 발달로 전쟁이 발발한다면 세계는 공멸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한국은 북한의 핵위협에 대비하고 갈등을 해소하여 한반도 나아가 세계의 평화질서를 수립해야 한다.


통일한국의 갈등관리 (1994.5)

김일성 사망 이후의 남북한 관계 (1996.5)

북한 핵, 대응책은 무엇인가? (2011.8)

국가정체성 위기 극복 방안은 무엇인가? (2011.12)



2) 연사초청특강



세계화 및 개방화에 따른 세계 환경의 변화 속에서 국가발전의 주도적인 역할을 위해 경제, 산업·무역, 기업, 과학·기술, 노동·복지, 정치·외교, 문화·관광, 지역발전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서 관·산·학·연의 전문가를 초청하여 토론하는 강연을 월 1회 개최하고 있다.


가. 경제부문_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7번째로 20-50클럽에 가입하는 저력을 발휘하였으나, 몇 년 동안 1인당 국민소득이 2만달러대에 머물며 중진국의 덫에 빠져있다. 우리나라가 선진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고용확대와 신산업육성 그리고 사회통합이라는 중요 과제를 달성해야 한다.



새로운 대한민국을 위한 경제정책 (1993.4 김영태 경제기획원 차관)

한국 경제정책의 재구축 (1993.6 강경식 의원)

세계 경제환경의 변화와 한국에 주는 시사점 (1994.4 나웅배 의원)

국제화 시대에 있어서의 한국 경제 (1994.6 이경식 경제부총리)

신정부 경제정책의 기본 방향 (1998.4 김원길 정책위원회 의장)

최근 경제동향과 통화신용정책 (2001.10 전철환 한국은행 총재)

국제환경 동향과 우리의 대응전략 (2001.11 김명자 환경부 장관)

최근 경제동향 및 향후 정책과제 (2002.5 전윤철 경제부총리)

대한민국의 미래 (2010.10 김문수 경기도지사)

세계 속의 한국 (2011.2 이재오 특임장관)

최근 경제여건 및 향후 경제정책방향 (2011.4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2011.6 Jeffrey D. Jones 주한미상공회의소 명예회장)

"5년 후의 중국", 그 변화와 한국의 대응 (2012.2 전병서 중국경제금융연구소 소장)

한국경제현황과 정책방향 (2012.6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

글로벌 경제여건 변화와 우리경제의 과제 (2012.11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

박근혜정부의 경제정책 방향 (2013.4 안종범 의원)

최근 금융환경과 감독방향 (2013.10 최수현 금융감독원 원장)



나. 산업·무역부문_ 우리나라가 일류 선진국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앞으로도 무역에 크게 의존할 수밖에 없다. 산업과 무역부문의 국제경쟁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정책을 모색한다.



국제 경쟁력 강화와 선진 유통 시스템을 위한 방안 (1994. 10 오 명 건교부 장관)

새로운 경제를 위한 무역 산업정책 (1995. 6 박재윤 통상산업부 장관)

한국의 무역산업 정책 (1997.10 임창열 통상산업부 장관)

21세기를 준비하는 새로운 산업 정책 (1999.11 장덕구 산업자원부 장관)

테러에 의한 한국경제의 영향 및 통상현안 전망 (2001.9 홍두연 통상교섭본부장)

건설교통정책의 발전방향 (2002.6 임인택 건설교통부 장관)

Hidden Champion (2011.12 황창규 지식경제부 R&D전략기획단 단장)

한국의 FTA정책 : 현황과 향후 추진정책 (2012.4 박태호 외교부 통상교섭본부장)

홍석우의 사과이야기 (2012.7 홍석우 지식경제부 장관)



다. 기업부문_ 경제환경에 따라 기업은 변화할 수밖에 없는데, 기업경영의 내실을 기하기 위한 경영진단 및 정책분석을 통해 미래의 투자전략을 모색한다.



경제환경의 변화와 공정거래정책의 방향 (1996.6 이석채 정보통신부 장관)

공정거래 20년의 회고와 향후 정책방향 (2001.4 이남기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

한국기업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2002.12 박용성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저출산 극복과 기업경영 (2010.11 진수희 보건복지부 장관)

공정거래정책방향 (2012.5 김동수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



라. 과학·기술부문_ 21세기는 기술의 고도화를 넘어 융합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시대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과학기술의 경쟁력을 제고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지식․정보사회를 향한 정보화 추진방향 (1998.11 전윤철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

기술혁신, 어떻게 추진할 것인가? (1999.6 서정욱 과학기술부 장관)

과학기술과 국가경쟁력 (2001.6 김영환 과학기술부 장관)

IT강국을 위한 2002년도 정보통신정책방향 (2002.3 양승택 정보통신부 장관)

과학기술 예산편성 및 정책방향 (2011.7 이현구 대통령 과학기술특별보좌관)

한국경제와 ICT (2011.10 이석채 KT회장)



마. 노동·복지부문_ 저출산, 고령화 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복지에 대한 요구가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으며 실업, 빈곤, 재해, 노령, 질병 등의 사회적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은 이 시대의 주요 이슈가 되고 있다.



새로운 노사관계를 위한 정책방향 (1996.10 진 념 노동부 장관)

희망찬 복지국가를 향한 전진 (2012.1 임채민 보건복지부 장관)

안전사회를 위한 정책방향 (2013.1 김광두 국가미래연구원 이사장)

행복교육의 의미와 실천 (2013.7 문용린 서울시교육감)



바. 정치·외교부문_ 오늘날 미국과 중국, 일본과 중국 간의 갈등은 국제정치적, 군사적 측면뿐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매우 민감한 이슈가 되고 있다. 따라서 G2가 각축전을 벌이는 상황에서 강대국들의 틈바구니 끼인 한국은 그 어느 때보다 현명한 정치력과 외교력을 발휘해야만 한다.



신동북아시대의 한반도 통일 (2010.12 박세일 한반도선진화재단 이사장)

한반도평화와 핵 균형론 (2011.3 김대중 조선일보 고문)

중국의 부상과 우리외교의 앞날 (2011.9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

대선과 경제민주화 (2012.8 새누리당 선거대책본부 공동위원장)

경제와 안보의 선순환 구축 (2012.10 노대래 방위사업청장)

박근혜정부와 시대정신 (2013.2 박효종 서울대 교수)

국정철학과 정부조직 개편 (2013.5 옥동석 인천대 교수)



사. 문화·관광부문_ 문화의 가치를 사회전반에 확산시켜 정치·경제를 포함한 모든 분야의 기본원리로 작동하고 국가발전의 토대가 되며, 이로써 국민의 행복수준을 높여야 한다.



월드컵 축구와 관광정책 (2001.4 남궁진 문화부 장관)

유대인의 창조정신, 후츠파(Chutzpah) (2012.12 윤종록 연세대 교수)

이승만 대통령의 업적 대평가 (2013.3 유영익 한동대 석좌교수)

박근혜정부의 교육문화정책 (2013.6 모철민 교육문화수석)

문화융성의 의미와 정책방향 (2013.9 유진룡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아. 지역발전부문_ 지방자치제도는 지역사회 발전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였지만 불균형발전을 심화시켜 지방의 자치기반은 더욱 취약해진 상황이다. 지역불균형을 완화하고 재정자립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지역발전전략을 모색한다.



국제 경쟁력 강화와 지방 자치제의 전망 (1994.9 최형우 내무부 장관)

지방자치와 내무부 (1995. 9 김용태 내무부 장관)

경기도 지방 경제활성화를 위한 계획 (1995.11 이인제 경기도지사)

서울의 희망, 대한민국의 미래 (2011.1 오세훈 서울특별시장)

국가 균형발전을 위한 농어촌정책방향 (2011.5 유정복 농림수산식품부 장관)

국토관리방향 및 주요정책과제 (2011.8 권도엽 국토해양부 장관)

혁신적 도시, 전환적 내일 (2012.9 박원순 서울특별시장)



3) 발간물


정부의 정책수립, 학계의 연구활동 등을 위해 주요 정책 과제에 대한 연구논문과 정책자료집인 『Global Affiars : 세계전략연구』를 분기별로 출간하고 있으며, 주요 정책적 과제에 대한 연구 결과를 단행본으로 출간하고 있다.


WORFTA의 경제적 이점과 그 촉진전략 (1994.3)

북한 핵 쟁점 상태와 효과적인 대책 (1994.6)

국제 이슈 분석 (1994.6)

동아시아의 경제적 통합 (1994.6)

물류혁명과 국토개조전략 (1996.6)

경부·경안운하와 물류혁명 (1997.5)

동북아 물류중심항 서울항 (1997.7)

VISION 2045 (1997.10)

운하와 항만건설을 통한 국토개조 (1998.4)

국난 극복을 위한 SMART -물자원 개발과 국토개조전략- (1998.12)

국운 개척을 위한 SMART -델타형 국토개조전략- (1999.12)

국가운하건설을 위한 델타형 국토개조전략 (1999.12)

뉴밀레니엄 WTO의 전망 (1999.12)

삼국시대의 언어와 일본으로의 도입 (2000.5)

21세기 한국의 생존전략 (2012.2)

경기만(뉴서울) 프로젝트 -제2국민연금 기금조성과 고용창출 방안- (2012.3)



4. 바깥고리


세종연구원 홈페이지www.sejonginstitution.com

세계어연구소 홈페이지(www.unish.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