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HYEWON KANG/연습장

== 1. 소개 및 연혁 == 

1.1. 소개

편집

- ‘마리몬드’는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원예 심리치료 과정 중 하나인 압화 작품을 이용하여 핸드폰케이스, 에코백, 티셔츠 등 다양한 제품을 만드는 사회적 기업이다.

- 대표자는 ‘윤홍조’이며 대학시절부터 구상한 프로젝트를 토대로 마리몬드를 설립했다.

- 마리몬드라는 브랜드명은 나비를 뜻하는 라틴어 ‘마리포사(mariposa)’와 아몬드(almond)를 합친 것이다. 꽃의 이야기를 널리 전하는 나비처럼 존귀함의 이야기를 멈추지 않는 브랜드가 되고자 하는 뜻을 가지고 있다.

- 제품 매출의 5%를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와 위안부 역사관 박물관 건립 기금, 위안부 할머니들의 생활복지 기금 등으로 사용한다. 캠페인 제품에 한해서는 순수익금 전액을 기부하기 때문에 브랜드에 대한 인식이 아주 좋다.

- Miss A의 수지의 핸드폰 케이스가 마리몬드 제품이라는 것이 알려지며 대중들의 관심이 모이기 시작했다. 이후 마리몬드 제품을 사용하는 연예인들에 대한 호감이 상승하기도 했다.

1.2. 핵심 키워드

편집

- 마리몬드는 공감, 재조명, 기억의 세 가지 핵심 키워드를 중심으로 기업 활동과 캠페인을 이어나가고 있다.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에 대한 진심 어린 공감을 토대로 재조명하고 기억하려는 기업의 성격을 알 수 있다.

- 공감: 누구나 상처를 가지고 있지만 공감을 통해 존재의 가치와 소중함을 깨달을 수 있다고 믿는다. 공감을 통해 위로받고 자신의 가치를 깨달은 많은 이들이 자연스럽게 타인의 존귀함에도 귀를 기울이고 서로를 회복하게 만들기를 바란다.

- 재조명: 누구나 존재만으로도 귀하기에 그 귀함이 훼손되었을지라도 재조명을 통해 회복할 수 있다고 믿는다.

- 기억: 재조명과 공감의 이야기가 미래 세대에도 전해져 그 가치가 이어지고 긍정적인 영향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1.3. 비전

편집

- 마리몬드의 미션은 회사가 존재하는 이유로 알려진다. 회사를 왜 설립했는지, 이후 어떤 방향으로 갈 것인지에 대한 의미를 담은 총칭이기도 하다.

- 마리몬드는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 뿐 아니라 우리 사회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존귀함을 회복하는 것을 임무로 여긴다.

- 따라서 사람들의 존재 가치를 재조명하는 디자인 제품과 콘텐츠로 그들의 존귀함 회복을 실현하는 것이 마리몬드의 비전이다.

- 이를 위해 디자인 제품과 콘텐츠를 해외로 수출하여 마리몬드의 동반자들 즉,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존재 이유와 가치를 전 세계에 전하고, 국내외 존귀함 회복이 필요한 더 많은 사람들을 찾아 그들의 존재 가치까지 재조명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1.4. 연혁

편집

- 2012. 05. ~ 2013. 03.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청년 등 사회적 기업가 육성사업 선정

- 2012. 10. 25. 유한책임회사 블루밍패션 설립

- 2013. 03. 브랜드 <희움 더 클래식> 런칭

- 2013. 05. ~ 2014. 03. 현대차정몽구재단 H-온드림 펠로우 선정

- 2013. 12.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주관, 우리은행 후원, 스타사회적기업가 육성사업 우승팀선정

- 2014. 01. 2014년 성북임팩트투자 컨테스트 장려상

- 2014. 03. <희움 더 클래식>에서 <마리몬드>로 브랜드 리뉴얼

- 2014, 07, 2014년 사회적기업 육성 유공 정부포상 고용노동부 장관상

- 2015. 06. 아모레퍼시픽 ‘마몽드’와의 복숭아꽃 커버파우더 쿠션 콜라보레이션

- 2015. 07. 중국 베이징 K-Style Fair 출전

- 2015. 09. 프랑스 파리 Mission & Object 출전

- 2015. 11.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김학순 상’ 수상     

1.5. 조직

편집

- 27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으며, 타사와 같이 경영지원실, 브랜드 전략실 등의 팀의 구조를 갖추고 있다.

- 특별한 점은 사내 조직 중에 ‘브랜드 스토리실’이 있다는 것이다. 할머니들을 만나고 스토리를 발굴해 콘텐츠를 만드는 일을 하는 곳이다. 이 부서를 통해 회사 미션에 진정성을 입히고 있다. 

1.6. 파트너

편집

- NGO :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정의기억재단

- 협력단체 : 두손컴퍼니, 좋은세상 열린복지, ROOTIMPACT, hobbyful, tree planet(트리플래닛), Frip, HGI